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출산과 양육을 경험한 여군의 일・가정 양립에 대한 질적 연구

        이뿐새,서종건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21 여성연구 Vol.108 No.1

        본 연구는 군 조직 내에서 기혼 여군의 일・가정 양립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영아기 자녀를양육하는 여군 5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참여자들은 군 조직이라는특수한 환경이 출산과 양육에 비우호적일 수밖에 없다고 인식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둘째, 비우호적인 양육 환경의 영향으로 여군은 일보다 양육자의 역할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에 대한 정책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군 가족의 세부적 특성을 반영한 군 어린이집의 질적인확충이 필요하다. 둘째, 군 조직 내 가족친화적인 교육과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지속적 노력이필요하다. 셋째, 여군의 생애주기를 충분히 반영한 인사발령이 고려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논의를통해 본 연구는 군 조직 내 일・가정 양립에 대한 정책과 제도가 존재하더라도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조직 내에서의 심리사회적 환경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부모의 교육 참여가 자녀의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진로성숙도를 통한 주관적 행복의 매개된 조절효과

        이뿐새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7 학교사회복지 Vol.0 No.37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 which combines the mediating effects of subjective happiness with the moderating effect of career maturity on the relation between parental education participation and children’s academic str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71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grades 4, 5, and 6 who participated in the 10th year survey(2015) of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The analysis used SPSS 23.0 and SPSS macro to verify mediating effect, moderating effect, mediated moderation effect.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this study confirmed the mediating effects of children’s subjective happiness on the relation between the parental educational participation and their children’s academic stres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children’s career maturity moderated the effect of the parental educational participation on their children’s subjective happiness. Third, the moderating effects of parents’ educational participation and their child’s career maturity were mediated by subjective happiness, which confirmed 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 Through these results, it is found that parental education participation has a different effect on academic stress through subjective happiness depending on the size and direction of career maturity. 본 연구는 부모의 교육 참여와 자녀의 학업스트레스 관계에서 자녀의 주관적 행복감의 매개효과와 진로성숙도의 조절효과를 결합한 매개된 조절 효과를 검증 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한국복지패널 10차년도 조사(2015년)에 참여한 초등학교 4, 5, 6학년 아동 47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을 위해 SPSS 23.0과 SPSS macro를 활용하여 매개효과, 조절효과, 매개된 조절 효과를 검증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부모의 교육 참여와 자녀의 학업스트레스 관계에서 자녀의 주관적 행복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부모의 교육 참여가 자녀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자녀의 진로성숙도가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교육 참여와 학업스트레스의 관계를 자녀의 진로성숙도가 조절하며, 이러한 관계는 주관적 행복에 의해 매개되는 매개된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부모의 교육 참여는 진로성숙도의 크기와 방향에 따라 주관적 행복감을 통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 할 수 있다.

      • KCI우수등재

        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자녀가치가 이상적인 자녀수에 미치는 영향

        이뿐새(Bbeun Sae Lee) 한국아동학회 2016 아동학회지 Vol.37 No.6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diation effect of value of childre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ideal number of children and to verify whether perception of the adequacy of national public childcare facilities moderates this mediation relationship. Methods: For the analysis, the 6th year results (2013)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by the Korean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were used. The main subjects of the study were 1,611 mothers with children aged 60 - 66 months. Results: First, there was a partial mediation effect of mothers parenting stress influencing the ideal number of children through the value of children. Second, the enhancing effect of the perception of the adequacy of national public childcare facilities moderating the value of children and ideal number of children was verified. Third, perception of the adequacy of national public childcare facilities had enforcing effects moderating the value of children and ideal number of children and mediation effects moderating the influence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on ideal number of children through the value of children.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ansion of national public childcare facilities is a factor strengthening the maternal intention of birth.

      • KCI우수등재

        바깥놀이 신체활동이 유아의 대근육 발달에 미치는 영향: 체육수업의 조절효과

        이뿐새(LeeBbeunSae),최진락(ChoiJinLak) 한국체육학회 2018 한국체육학회지 Vol.57 No.2

        본 연구는 바깥놀이 신체활동과 유아 대근육 발달 관계에서 체육 수업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육아정책연구소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2014년) 조사에 참여한 만5세 유아 1,06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을 위해 SPSS 23.0을 사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 하였으며, SPSS macro를 사용하여 조절효과의 단순 기울기가 유의미함을 확인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바깥놀이 신체활동은 유아기 대근육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바깥놀이 신체활동과 유아기대근육 발달 관계에서 체육수업의 조절효과를 검증 하였다. 즉, 놀이 위주의 실외 신체활동은 유아기 대근육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체육수업은 이러한 효과를 촉진 한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기 건강한 성장을 위해서는 발달단계에 적절한 신체활동이 중요하다는 교육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Physical Educ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outdoor play physical activity and gross muscle develop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66 children aged 5 years who participated in the 7th year (2014) survey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KSC) of the Korean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KICC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as performed using SPSS 23.0 for analysis, and the simple slope of moderating effec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using SPSS macro. From the results of analysis, first, the outdoor play physical activit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gross muscle development in childhood.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Physical Education on the outdoor play physical activity and the gross muscle development in childhood was verified. In other words, play-based outdoor physical activity has a positive effect on childhood muscle strength development, and physical education class promotes this effec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 educational implication that appropriate physical activity is important for development stage for healthy growth in childhood.

      • KCI등재

        심리사회적 학교환경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학교폭력 피해경험의 조절효과-

        이뿐새 ( Lee Bbeun Sae )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7 학교사회복지 Vol.0 No.39

        본 연구는 심리사회적 학교환경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학교폭력 피해경험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한국보건사회연구원(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의 한국복지패널(Korea Welfare Panel Study) 10차년도(2015년) 아동 부가조사에 참여한 초등학교 4,5,6학년 45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절효과 분석을 위해 SPSS 23.0을 사용하여 동시입력(simultaneously entry) 회귀분석 하였으며, SPSS macro를 사용하여 조절효과의 단순기울기가 유의미함을 확인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심리사회적 학교환경이 진로성숙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하였다. 둘째, 심리사회적 학교환경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학교폭력 피해경험의 조절효과를 검증 하였다. 학교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진로성숙도를 높이지만 학교폭력 피해경험의 경험은 이러한 영향력을 감소시킨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기 발달에 위험요인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정책적·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in relation to psychosocial school environment and career maturity. The subjects were 458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rades 4, 5 and 6 who participated in the 10<sup>th</sup> Year (2015) Child Survey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For analysis of moderating effect, this study performed simultaneously entry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3.0 and confirmed that the simple slope of moderating effect is significant by using SPSS macro.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it is confirmed that psychosocial school environme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maturity.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school violence was examined in relation to psychosocial school environment and career maturity. It can be said that the positive perception of school increases the career maturity, but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reduces this influence. Accordingl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policy and practical measures to prevent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which is a risk factor in childhood development.

      • KCI우수등재

        보육서비스 품질요인이 서비스 만족과 재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

        이뿐새(Bbeunsae Lee),박현선(Hyunsun Park) 한국아동학회 2015 아동학회지 Vol.36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the factors related to quality in child care services effect decision making of parents to use such services again, using the parameter of parental satisfaction as a measure. In order to support the researcher’s hypothesis, data was gathered from 566 households who send their children to one of the child care facilities in Goyang-Shi, Gyeonggi-Do. The collected data was then analyzed by mean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assurance, service tangibility and empathy were, the more the parents were satisfied with the service. The more they were satisfied,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service again increased relatively. In conclusion, various poli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also addressed and discussed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with the aim to improve the factors of quality in child care services and parental satisfaction.

      • KCI등재

        아버지의 성역할가치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이뿐새 ( Lee Bbeunsae ),류성연 ( Ryu Sungyeon ),송민영 ( Song Minyo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6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성역할가치가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하여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한국아동패널(PSKC) 7차년도 조사(2014년)에 참여한 아버지 1,483명과 어머니 1,565명이며, 분석은 SPSS 23.0, Amo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가 인식한 성역할가치는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의 성역할가치는 어머니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하여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모형은 완전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아버지의 성역할가치는 어머니의 주관적인 인식인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하여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에 영향력을 발휘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으며, 결론에서는 어머니와 아버지가 양육에 대한 동등한 성역할가치관을 증진시켜야 함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fathers' perceived value of gender roles of fathers is associated with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through its relation to mothers' self-esteem. 1,483 fathers and 1,565 mothers of infants participated in the 7th year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in 2014. The key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self-esteem mediated a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fathers' perceived values for gender roles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Second, mothers' self-esteem also mediated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fathers' perceived values for gender roles and mothers' parenting efficacy. These results showed that fathers' perceived values for gender roles would be an important factor for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efficacy through mothers' self-esteem. Ways to promote gender equality in parenting roles of both mothers and fathers were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의 진로정체감이 학업성취가치에 미치는 영향: 학교 진로상담의 조절효과

        이뿐새 ( Lee Bbeun Sae )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7 학교사회복지 Vol.0 No.38

        본 연구는 청소년의 진로정체감과 학업성취가치의 관계에서 학교 진로상담 시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의 한국아동·청소년패널(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6차년도 조사(2015년)에 참여한 고등학교 3학년 학생 2,35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을 위해 SPSS 23.0과 SPSS macro를 활용하여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청소년의 진로정체감은 학업성취가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진로정체감과 학업성취가치의 관계에서 학교 진로 상담 시간의 조절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청소년들이 학업에 대한 성취 가치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기 위해서는 진로에 대한 내재적 목적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진로 지도의 방향이 중요함을 확인 할 수 있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school career counseling tim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identity and academic achievement value of youth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351 high school third year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6th year survey (2015) of the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of the Korea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For the analysis, SPSS 23.0 and SPSS macro were us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the career identity of youth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value.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school career counseling time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identity and academic achievement value of youth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confirmed that the direction of career guidance that supports the intrinsic purpose of the career is important in order for the youths to recognize the achievement value of their academic works positively.

      • KCI우수등재

        가구소득과 자녀에 대한 소비성 지출 비율이 유아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이뿐새(Bbeun Sae Lee) 한국아동학회 2018 아동학회지 Vol.39 No.1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influence of household income and the rate of consumption-oriented spending on children on changes in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ith young children. Methods: Data from the 5th year (2012), 6th year (2013), and 7th year (2014)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were used for analysis. The main subjects of the survey were 2,150 mothers who were raising young children, and a Latent Growth Model was verified using the survey data at times when the children were 3, 4, and 5 years old. Results: From the results of analysis, first,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in early childhood follows a gradually decreasing trajectory. Second, the higher the household income, the lower th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ith very young children.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was found to decrease slowly with time in low-income families. Third, in early childhood, the higher the child support costs, the higher the parenting stress, but over time, the parenting stress of a mother with a low child support rate decreases slowly.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s that household income and consumption spending for children function not only as physical deficits but also psychological disturbances. Therefore, to alleviate the burden of child rearing experiences in early childhoo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publicity of Childrearing Services, which can fill gaps in the parenting environment.

      • KCI등재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유아 또래놀이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송민영 ( Song Minyoung ),류성연 ( Ryu Sungyeon ),이뿐새 ( Lee Bbeunsa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행복감과 유아 또래놀이 상호작용, 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와 세 요인의 관계에서 교사의 상호작용이 매개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지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PSKC) 7차년도 데이터(2014)의 만5세 유아 1,203명과 해당 유아가 다니는 육아지원기관의 교사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은 SPSS 23.0, SPSS macro, AMO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의 행복감은 유아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교사-유아 상호작용에는 직접적인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또한 교사 행복감과 유아 또래놀이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매개적인 역할을 하여 본 연구의 구조모형은 완전매개모형임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교사가 느끼는 행복이라는 감정은 교사의 상호작용이라는 교수활동의 질을 향상시키며, 이는 다시 유아의 사회적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진 것이다. 따라서 유아의 사회적 능력 향상을 촉발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행복감을 향상시키는 것과 그에 따른 상호작용 질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며, 결론에서는 이를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eacher-child interactions, teachers` happiness, and child-peer play interaction. For this study, analyzed the seven wave(2014) of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and the subjects were 1,203 children and their teachers`.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analysis of data was conducted with SPSS 23.0, AMOS 21.0, SPSS macr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happiness did not directly affect the peer play interaction of children, however it had a direct effe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Second, teacher-child interactions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teachers` happiness and child-peer play inter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mprove the teachers` happines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in order to boost social skills of children like interaction. Therefore, society should formulate support plan and policies for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happiness, and teachers` should also make efforts to promote happiness, improvements in the quality of inter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