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운영·관리 및 서비스 지표에 기반한 정보시스템 유지보수 비용 추정 모델

        이병철(Byoung-Chol Lee),류성열(SungYul Rhew)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3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8 No.5

        본 연구는 소프트웨어의 변경을 가하는 순수 유지보수 비용 외에 운영 관리 및 서비스 향상을 위한 비용 측정지표를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정보시스템유비보수 비용 추정 모델을 제안한다. 운영 관리 및 서비스 향상 측정지표는 선행연구를 요약 분류하여 지표의 기반으로 도출하고 경험적인 측정지표를 추가 보완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유지보수 비용 추정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한 측정지표는 정보시스템 유지보수 범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상세한 유지보수 비용 산정이 가능하다. 제안한 유지보수 비용 측정지표와 비용 추정 모델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기존의 연구와 비교 검증하여 유효성을 입증하였다.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cost measurement metrics for the operation management and service improvement besides the general maintenance. The cost measurement metrics of the operation management and service improvement are based on the metrics that are classified and summarized precedent studies and complemented by empirical measuring indicators, and we propose the maintenance cost estimation model based on this metrics. The maintenance costs can be calculated detailedly, because the proposed metrics can be used selectively, depending on the scope of the information system mainten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aintenance cost measurement metrics and cost estimation model is verified by comparison between existing studies and our research.

      • KCI등재

        공급자 관점의 정보시스템 유지보수 비용항목과 조정계수 산정방안

        이병철 ( Byoung Chol Lee ),류성열 ( Sung Yul Rhew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2 No.11

        지금까지의 정보시스템 유지보수비 산정은 발주자 중심으로 이루어져 업무량에 비해 적은 비용으로 인한 공급자의 원가부담 문제점을 해결 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공급자 중심에서 정보시스템 유지보수 비용을 산정하기 위한 기반연구로서 유지보수의 비용 항목을 도출하고 발 주자와 공급자의 유지보수 비용의 격차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계수를 제안한다. 유지보수의 비용항목을 도출하기 위하여 기존의 유지보수 활동에 대한 비용요인 기반연구에 유지보수 공급자의 활동들 추가하여 고정비와 변동비로 구분하고 분류한다. 발주자와 공급자의 유지보수 비용의 격차를 조정하기 위하여, 발주자 중심의 유지보수 비용 산정 시 포함되지 않 은 자동화 도구에 의해 생성된 코드, 유틸리티, 컴포넌트 등과 같은 조정요인들을 찾아내고 K기업의 3년간 유지보수 수행 데이터를 검토 분석 하여 조정계수 요인에 대한 격차가 K기업의 경우 13%정도가 됨을 확인하였다. The estimation of maintenance cost of information system so far has been conducted centered on the ordering body, so the problem of provider`s having to cover the cost due to small cost compared to the amount of work is not solved. This study is a base study for estimating the maintenance cost of information system centered on provider, and it deduces cost items of maintenance and suggests adjustment factors for adjusting the gap between the ordering body and provider regarding the maintenance cost. In order to deduce the cost items of maintenance, this study adds the activities of the provider for maintenance to the base study of cost factors regarding the existing maintenance activity, divides, and classifies them into the fixed cost and variable cost. In order to adjust the gap between the ordering body and provider regarding the maintenance cost, this study found the adjustment factors such as the code, utility, and components created by the automatic tool that was not included when estimating the maintenance cost centered on the ordering body. After examining and analyzing K Company`s data of maintenance performance for three years, it confirmed that the gap regarding the adjustment factors was about 13% in case of K Company.

      • 디지털트윈 기반 소방활동정보시스템 개발

        이병철(Byoung Chol Lee),이주식(Ju Sik Lee),정종열(Jong Yeol Jung)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추계

        최근에 발생한 쿠팡 물류센터 화재,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 용인 SLC물류센터 화재 등의 공통점은 요구조자의 위치와 내부구조 파악이 어려워 인명 피해가 컸던 화재 사례이다. 화재나 재난발생 시 출동한 소방대가 건물 내부구조 파악을 위한 설계도면 없이는 구조활동이 어렵고 구조 파악이 가능하더라도 요구자가 건물 내 어느 곳에 있는지 알 수 없어 건물 내 모든 구역을 수색할 수 밖에 없다. 물론 관련법에 따라 건축물의 내부구조를 알 수 있는 설계도면을 관할 소방기관에 제출하도록 되어 있으나 화재 시 인명구조 골든타임 확보를 위해서는 건축물의 구조 파악과 요구조자의 위치 식별이 신속히 요구되는 상황에서 완벽한 방안이라할 수 없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한 건물 구조의 직관적인 파악과 건물 내 모든 구역의 실시간 잔류인원을 확인할 수 있는 디지털 트윈기반 소방활동정보시스템 개발내용이다. 소방활동정보시스템은 건물의 외형과 내부구조의 직관적인 파악이 가능하도록 건물 설계도를 기반으로 3D모델링하여 웹시스템으로 구축하고 복합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입⋅출입 인원을 계수하는 장치를 건물 내 모든 출입문 상단에 설치하여 잔류인원을 계산하여 표시하였다. 출구가 다수일지라도 그룹화하여 잔류인원을 계산하도록 하였다. 건물 외경에 건물 내 총 잔류인원과 층별 인원을 표시하고 특정 층을 클릭하면 해당 층 구조와 공간별 잔류인원을 표시하도록 하였다. 또한, 출동한 소방대가 쉽게 접속 가능하도록 소방활동정보시스템 웹 주소(URL)를 QR코드로 생성하여 건물 소방 송수전에 부착해두었다. 본 논문에 언급하는 소방활동정보시스템은 구조활동을 펼쳐야 할 대상 건물의 내부 공간의 배치 현황뿐만 아니라 그 공간 내 잔류인원 실시간 현황을 시스템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신속한 인명구조 활동을 지원하여 대형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또한, 인공지능 기반 영상처리 기술과 디지털트윈 기술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이용한 재난안전관리와 구조활동 지원을 시스템화하고 자동화함으로써 효율적인 안전관리망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