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포스트 코로나 시대 불교환경의 현황과 대응

        이병인 동국대학교 종학연구소 2020 宗學硏究 Vol.4 No.-

        이 글은 코로나19 발생 이후의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불교환경의현황과 대응에 관한 종합적 고찰이다. 코로나 19 대유행 이후 많은 사람들을 죽고 세계의 많은 지역에서경제와 삶을 정지시키는 비극으로 생명과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다양한 봉쇄 조치로 인해 경제성장이 둔화되고 실업률을증가시키며 빈곤과 배고픔을 증가시켰다. 이렇게 많은 사람 및 번영과 관련된 지속가능한 발전에 피해를 주고 있지만, 지구 관련 지속가능성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2020년의 연간 CO2 배출량은 작년보다 4~7퍼센트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공기와 물은 깨끗해 졌으며 많은 곳에서 자연의 복원이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상이한 결과는발전과 번영을 달성하는 현재의 방법이 지구의 건강에 위협이 된다는 것을 확인시켜 주고 있으며, 코로나 대유행 이후에도 지구전체의 공존과 상생을 위한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알려주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오늘날 한국불교가 가지고 있는 장점을 특성화하는방안으로서 포스트 코로나시대 한국불교환경의 현황과 특성으로서불교의 수승한 친환경적 가르침과 생활양식 등 종교유산과 함께 사찰림 등 생태환경이 우수한 자연유산과 훌륭한 문화유산을 간직한 복합유산(Complex Heritage)적 특성에 대해서 확인해 보았다. 이제 한국불교는 불교의 친환경적 가르침과 생활양식, 그리고, 역대 조사들의 친환경적 전통을 오늘에 되살리는 청정성 회복운동(Clean Restore Movement)이 시대적으로 일어나야 하고, 더불어 근원적으로 인간과 자연의 인과관계 및 공생관계를 구현하는 환경에 대한깨달음과 한국불교의 특성을 바탕으로 하는 한국불교의 주체성(Identity)을 살림으로서 한국불교가 21세기 국가적, 지구적 환경보존및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을 위해 적극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This paper is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response and change of buddhist environment in the post-Corona period after the outbreak of Corona Virus Disease in 2019(COVID-19). Since the pandemic, many people have died and many parts of the world have experienced a direct impact on life and health with the tragedy of stopping both economy and people's life. Various containment measures have slowed down the economic growth, increased unemployment, poverty and hunger. While this phenomenon is damaging to such a large number of peopl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which relates to human prosperity, it showed positive impacts on overall global sustainability. Annual CO2 emissions in 2020 are expected to be 4-7 percent lower than last year. The air and water became clean and nature's restoration was observed in many places. These different results confirm that the current method of achieving human development and prosperity poses a great threat to the Earth's health, therefore, indicate the need of efforts to ensure global co-existence and co-prosperity even after the COVID-19 pandemic. In that sense, this paper addresses the merits of Korean buddhism in post COVID-19 era. The virtue of Korean buddhist environment lies in the fact that the environment itself is considered to be a complex heritage, encompassing the religious inherited heritage such as the eco-friendly teaching and lifestyle of buddhism, as well as the role of preserving the excellent and natural cultural heritage such as temple forests. Now, Korean Buddhism should move onto the era of clean restoration movement that brings back the eco-friendly tradition of buddhism's eco-friendly teaching and lifestyle. Moreover, Korean buddhism should actively contribute to overall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sustainability in the 21st century by comprehending the environment that embodies human-nature's symbiosis and causality, and utilizing the identity of Korean buddhism based on its characteristics.

      • 寺刹環境保全對策에 關한 基礎硏究

        李炳仁,李映庚 동국대학교 사찰조경연구소 1995 寺刹造景硏究 Vol.3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suggest several guidelines for the environmental cinservation of temple area by analyzing environmental problems that can be generally found in temple area, The environmental problems were categorized into four kinds: 1) destruction of surrounding natural forest area; 2) water pollution: 3) increase of waste; 4) increase of nois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above environmental problems, conservation quidelines were suggested to manage natural forest area, air and noise, water, and waste and manure.

      • 사찰환경보전을 위한 불교적 환경윤리의 모색

        이병인 동국대학교 사찰조경연구소 1996 寺刹造景硏究 Vol.4 No.-

        currently, environmental concerns have rised in a global level. The contemporary evironmental crisis, such as pollution of various sorts. overusages of natural resources, and extinction of rare species, force us to reconsider exactly what the right relationhsips between man and nature should be. This paper suggested buddhis as the most suitabel ethics to reformulate the right man-nature relationships.

      • KCI등재

        특수교육대상자 가족 관련 국내․외 연구 동향 분석 -한국(2007~2018)과 미국(2004~2018)의 특수교육 전문학술지를 중심으로-

        이병인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9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related to families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guide the direction of the research for the future. For this purpose, 560 families-related studies on special education subjects in 20 special education journals in Korea and 8 special education journals in the United States were analyzed by journals, research topics, research types, and research subjects. The findings were as below. First, regarding on family-related research, more researches about family as a professional, family-professional relationship and collaboration should be carried out. Second, family-centered support programs should be more provided along with institution-based family support programs to provide effective family-centered services. Third,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research continuously with interests in the study of the self-determination and respect of the rights of the families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Fourth, in addition to basic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using interviews in the study of family members as subjects, more in-depth and comprehensiv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by continuing to conduct research using various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ifth, the topics of family-related researches should be expanded to the brothers and sisters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such a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of disabilities and their siblings, and supports for their siblings. Sixth,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research reliable to the methodological procedures such as the accurate records of the information or data of the participants when performing the research on the subject of the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e direction of the family-related research by analyzing the study trend on the families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accordance with the Amendments of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Law and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ducation Improvement Act of the USA.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상자 가족 관련 국내․외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우리나라의 특수교육대상자 가족 연구의 방향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 20개 특수교육 관련 전문 학술지와 미국의 8개 특수교육 전문 학술지에 게재된 특수교육대상자 가족 관련 연구 560편을 학술지별, 연구 주제별, 연구 유형별, 연구 대상별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특수교육대상자 가족 관련 연구는 전문가로서의 가족, 가족-전문가 관계 및 협력에 관한 연구가 더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가족-중심 서비스의 효과적인 제공을 위해 기관-중심의 가족지원 프로그램과 함께 가정-중심의 가족지원 프로그램이 함께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특수교육대상자 가족의 자기 결정 및 권리 존중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특수교육대상자 가족 관련 연구에 있어서 면담을 활용한 기본적 질적 연구 방법 이외에 다양한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한 포괄적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특수교육대상자 가족 관련 연구의 대상이 장애형제와 비장애형제의 관계 및 비장애형제 지원 등 비장애형제로 확대된 연구가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여섯째, 특수교육대상자 가족 관련 연구를 수행할 때 연구 참여자 정보의 정확한 기록 등 연구 방법적 절차에 충실한 연구를 수행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국내 특수교육법의 신규 제정 및 국외 장애인 교육법의 개정 시점에 맞추어 특수교육대상자 가족 관련 연구를 분석함으로써 국내 특수교육대상자 가족 관련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2022 개정 역사과 교육과정의 세계사 서사와 핵심 아이디어

        이병인 청람사학회 2023 靑藍史學 Vol.37 No.-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와 고등학교 세계사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세계사의 서사와 핵심 아이디어의 호응 관계는 약했다. 교육과정의 세계사 서사는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는 긴 시간의 세계사를 상호작용의 관점에서 구성했는데, 상호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한 강대국에 관한 서술이 두드러지는 것을 피할 수없었다. 한편 교육과정에 나온 지식 범주의 핵심 아이디어는 단원을 요약하여 나열한 것에 가까워 상호작용으로 변해 온 세계사의 전체 내용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기능범주의 핵심 아이디어는 역사학의 일반적인 조작 능력을 서술하여 세계사 교육을 통해 익힐 과정⋅기능 능력을 표현하는 구체성이 떨어졌다. 서사구조와 핵심 아이디어의 불일치는 세계사 교육의 효과를 저하시킬 것이다. 대안은 서사구조와 핵심 아이디어의 상응관계를 높이는 것이다. 핵심 아이디어는 교과서의 서사 구조에 기초하여, 서사 내용 전체를 관통하는 일반화된 진술을 말한다. 따라서 핵심 아이디어의 지식 범주는 인간의 행동이 모종의 계기 혹은 발전에 따라 변화가 일어나고 그에 따라 다음 행동이 유발되는 과정을 일반화하여 진술하는 것이다. 즉 인간의 행동 + 시간에 따른 모종의 변화 + 인간의 새로운 행동이란 진술 형태를 말한다. 이것이 세계사 서사 구조의 지식 특성을 반영하여 장기 역사 과정을 일반화하는 핵심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기능 관련 핵심 아이디어는 추상적인 역사학 방법론을 언급하는 것이 아니라 세계사 지식을 다루는 과정에서 획득하는 중등학교 수준의 능력을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기능은 서사 구조와 관련된 지식을 다루면서 능력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따라서성취기준의 진술 형태는 탐구대상으로서의 지식, 탐구 방법, 탐구후의 성취수준이란 순서대로 서술하여 교육의 방법, 목표를 표현하는 것으로 바뀌어야 한다. 이런 방법을 사용할 때 서사구조와 지식범주, 기능 범주가 서로 상응하고, 세계사 교육과정이 전체 교육 내용을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미국의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IEP)과 개별화 가족 서비스 계획(IFSP)에 관한 비교연구

        이병인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1999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15 No.1

        미국의 공법 94-142는 3세에서 21세까지의 모든 장애아동에게 각 개개인의 개별적인 교육적인 필요들을 충족시키기 위한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IEP)을 작성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1986년 공포된 공법 99-457(1997년에 공법 105-17로 새로이 개정됨)은 장애아동의 공교육 대상을 0세에서 3세까지 확대, 실시함으로써 특수교육 발전에 획기적인 발전을 가져왔다. 공법 99-457의 주된 내용은 서비스 담당자(서비스 코디네이터 혹은 케이스 메니져)로 하여금 개별화된 가족 서비스 계획(IFSP)을 문서로 작성하게 함으로써 아동에게 필요한 서비스의 개발과 시행에 있어서 가족 구성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가족 중심의 교육 프로그램'을 법제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취지 아래 본 연구는 문헌 연구로써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IEP)과 개별화 가족 서비스 계획(IFSP)과 관련된 논문을 중심으로 분석하였고, 이 두 프로그램의 개발과 시행에 따른 과정상의 문제점과 적합성, 그리고 내용들을 고찰함으로써 영·유아를 포함한 모든 장애아동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별히 0세부터 3세까지의 장애 영·유아를 위한 구체적이고 통합된 교육 프로그램이 없는 우리 나라의 실정으로 볼 때 개별화된 가족 서비스 계획(IFSP)의 개발과 시행이야말로 우리 나라 조기 특수교육의 발전에 필수 불가결한 요소라 하겠다.

      • KCI등재

        청말(淸末) `교육회장정(敎育會章程)`의 적용(適用)과 변형(變形)-교육회(敎育會)의 `행정대행(行政代行)`과 `이익대변(利益代辨)`-

        이병인 중국사학회 2016 中國史硏究 Vol.105 No.-

        根据淸末敎育會章程, 敎育會作爲輔助敎育行政的民間團體, 其不同于作爲敎育行政机關的勸學所. 但是在建立縣級敎育會和勸學所的過程中, 兩個組織之間存在業務上的重疊以及組織之間工作人員的緊密聯系. 爲了代言地方敎育利益, 敎育會與勸學所共同商議事務, 形成了兩個不同性質的組織共同行使敎育行政的結構. 敎育會違反章程而干涉敎育行政幷不是民間團體的自治空間的擴張, 而是敎育會與勸學所共同掌握地方敎育行政權力而形成半官質行政團體所致的結果. 省級敎育總會和縣級敎育會雖在制度上沒有統屬關系, 但實質上形成了緊密的協作關系. 因爲勸學所總董和縣級敎育會會長可能以會員身分參加省敎育總會, 所以省敎育總會可以影響到縣級敎育行政. 卽使當省敎育行政机關不能充分行使職權時, 省敎育總會會通過勸學所和敎育會處理有關敎育行政的各項事務. 所以, 可以說省敎育總會充當了“准行政机關”的職能. 在這樣的結構下, 省敎育總會能把?們的計劃通過縣級敎育机關得以實現, 從而促進了中國敎育近代化的發展. 掌握敎育會的人大部分是擁有傳統功名的士紳, 其中大部分敎育會會長和副會長擁有傳統學位, 或曾有過官職. 通過敎育會和勸學所, 地方士紳獲得了參與地方敎育行政的制度保障. ?一方面, 敎育會會長和副會長當中, 有不少受到新式敎育的人員. 因此可以看出敎育界已經呈現出了專門化, 而且隨着新式敎育的發展, 這樣的趨勢也會理所當然得到發展.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