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먹물버섯 에탄올추출물이 Benzo(a)pyrene 투여에 의한 마우스의 간 손상에 미치는 영향

        이병훈(Byeung-Hun Lee),김현정(Hyun-Jeong Kim),장종선(Jong-Sun Chang),배준태(Jun-Tae Bae),박선희(Sun-Hee Park),이승언(Sung-On Lee),김옥미(Ok-Mi Kim),이별나(Byul-Ra Lee),최봉순(Bong-Soon Choi),이갑랑(Kap-Rang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8 No.6

        간 독성물질인 benzo(a)pyrene을 투여한 마우스에서 먹물버섯 에탄올 추출물의 간 손상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마우스에 B(a)P 투여로 증가된 혈청 aminotransferase의 활성, 간 조직의 과산화지질 함량과 cytochrome P-450의 활성은 먹물버섯 에탄올 추출물 투여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반면에 B(a)P의 투여에 의해 활성이 감소된 glutathions S-transferase와 glutathione 함량은 먹물버섯 에탄올 추출물 투여에 의해 다시 증가되었다. 또한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그리고 glutathione peroxidase의 활성은 B(a)P의 투여시 그 활성이 각각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가, 먹물버섯 에탄올 추출물 투여로 인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먹물버섯 에탄올 추출물은 B(a)P 투여로 감소된 glutathione 함량과 glutathione S-transferase의 증가와 함께 B(a)P 투여로 증가된 지질과산화물 생성의 감소와 여러 항산화적 방어계의 작용을 가진 효소 활성에 영향을 주어 지질과산화 및 간 손상 억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inhibiton effects of Coprinus comatus ethanol extract of edible mushroom on liver damage in benzo(a)pyrene (B(a)P)-treated mice. The activities of serum aminotransferase, cytochrome P-450 and hepatic content of lipid peroxide after B(a)P-treatment were increased than those of control, but those level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the treatment of Coprinus comatus ethanol extract. Whereas, the hepatic glutathione content and glutathione S-transferase activity were decreased by B(a)P-treatment than those of control, but those were increased by the treatment of Coprinus comatus ethanol extract. Also the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after B(a)P-treatment were markedly increased than those of control, but those levels were decreased by the treatment of Coprinus comatus ethanol extra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prinus comatus ethanol extract have a protective effect on liver damage by benzo(a)pyrene through the mechanisms of decreasing lipid peroxide and activities of free radical generating enzymes.

      • SCOPUSKCI등재

        벤조피렌을 투여한 마우스에서 향버섯 추출물의 간 손상 예방 효과

        배준태(Jun-Tae Bae),장종선(Jong-Sun Chang),박준홍(Jun-Hong Park),박선희(Sun-Hee Park),김지영(Ji-Young Kim),오은정(Eun-Jung Oh),김현정(Hyun-Jeong Kim),김옥미(Ok-Mi Kim),이별나(Byul-Ra Lee),이갑랑(Kap-Rang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0 No.2

        향버섯 메탄올 추출물이 간독성 물질인 B(a)P을 투여한 마우스에서 간 손상 억제 및 cytochrome P 450 1A1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B(a)P투여로 인한 혈청 ALT와 AST의 활성, 간조직 중의 lipid peroxide 함량, cytochrome P-450 함량, SOD, catalase 그리고 GSH-Px의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향버섯 메탄올 추출물의 투여시 이들 활성 및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반면, 간조직 중의 GSH 함량과 GST 활성은 B(a)P만 투여한 군에 비해 향버섯메탄올 추출물을 투여시 다소 증가하였다. 또한 immuno blotting 결과로부터 B(a)P 투여에 의해 현저히 증가되었던 cytochrome P-450 1A1 isozyme 단백질 함량이 향버섯 메탄올추출물의 투여로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향버섯 메탄올 추출물은 B(a)P에 의한 간 손상에 대한 보호 및 예방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arcodon aspratus methanol extract on liver damage in benzo(a)pyrene (B(a)P)-treated mice, mice were divided into 4 groups of control, B(a)P, Sarcodon aspratus methanol extract and Sarcodon aspratus methanol extract-B(a)P. The activities of serum aminotransferase, cytochrome P-450 and hepatic content of lipid peroxide after B(a)P-treatment were increased than control, but those level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the treatment of Sarcodon aspratus methanol extract. On the other hand, the hepatic glutathione content and glutathione S-transferase activity were increased by the treatment of Sarcodon aspratus methanol extract. Also the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were decreased by the treatment of Sarcodon aspratus methanol extract. In addition cytochrome P-450 1A1 isozyme protein level, which was remarkably increased by B(a)P treatment from results of immuno blotting, was decreased by the treatment with methanol extract of Sarcodon aspratu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arcodon aspratus methanol extract have protective effect on liver damage by decreasing lipid peroxide and activities of free radical generating enzymes.

      • KCI등재

        한국산 영지버섯에서 분리된 항응고성 다당

        나경수,이별나,이현수,권미향 한국식품영양학회 1997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10 No.3

        식용버섯을 대상으로 항응고 활성을 검색한 결과 영지버섯 알칼리 추출물이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영지버섯으로부터 추출한 조다당 획분인 GL-I은 1N NaOH로 8시간 추출물(GL-0)을 methanol 환류, 에탄올 침전을 거쳐 투석, 동결건조하여 조제하였다. GL-I 획분은 periodate 산화에 의해서는 활성이 크게 변하지만 pronase 소화시 활성의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보아 항응고 활성의 본체는 주로 당과 관계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GL-I의 구성당은 glucose:galactose:xylose:mannose:arabinose가 19.3 : 3.0 : 2.3 : 1.3 : 1.0 : 0.3의 molar ratio로 구성되어 있다. GL-I 획분을 DEAE-Toyopearl 650C(GL-Ⅰa→Ⅰf)와 Sephadex G-100(GL-Ⅰc-Ⅰ→GL-Ⅰc-Ⅱ)을 이용하여 부분 정제하였다. The anticoagulant polysaccharide was screened from the ediable mushrooms. Among them, alkali extract of Ganoderma lucidum showed the highest activity in aPTT. A crude polysaccharide fraction (GL-I) was prepared from the lN NaOH solution extract of Ganoderma lucidum followed by methanol-reflux, precipitation with ethanol, dialysis and lyophilization. GL-I inhibited the intrinsic pathway in blood coagulation pathway and exhibited concentration dependent anticoagulation effects. The anticoagulant activity of GL-I was decreased greatly by periodate oxidation, but was not changed by pronase digestion. These suggest that carbohydrate moiety may be related to the anticoagulant activity. GL-I consisted of glucose, galactose, fucose, xylose, mannose, arabinose in a molar ratio of 19.3 : 3.0 : 2.3 : 1.3 : 1.0 : 0.3. GL-I was partially purified on the DEAE-Toyopearl 650℃(GL-Ia→GL-If) and on the Sephadex G-100(GL-Ic-I→GL-Ic-Ⅱ).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