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제제(製劑)의 효율에 관(關)한 연구(硏究) 1. Computer를 이용(利用)한 일차(一次) 흡수소실(吸收消失) model에서의 효율 및 흡수속도계산(吸收速度計算)

        이민화,Lee, Min-Hwa 한국약제학회 1971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Vol.1 No.1

        The method of assessing drug availability has been the subject of much concern and the equation is presented to estimate the drug availability of dosage forms and to calculate the desirable rates of drug absorption in a model. $Xmax/X_0=(k_1/k_2)^{{\frac{1}{1-^-k_1/k_2}}}$ To facilitate the calculations involved in the equation, a program in Fortran with Format was used in the IBM 1130 digital computer system. Using availability, $Xmax/X_0$, and the given rates of elimination from the blood, the desirable rates of drug absorption in the model were calculated and shown in detail. Applicabiliy of the equation to estimate the drug availability of dosage forms in the model was demonstrated with different sets of data from the literatures.

      • KCI등재

        기업가정신/벤처/창업/정책 : 1차 벤처붐의 성과에 대한 역사적 고찰과 평가

        이민화 ( Min Hwa Lee ),최선 ( Sun Choi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5 中小企業硏究 Vol.37 No.4

        창조경제 구현을 위한 2차 벤처붐을 위하여 정부와 산업계가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성장과 고용의 문제해결 대안이 벤처 활성화에 있다는 점에서 2차 벤처붐 조성을 위한 올바른 전략이 필요하다. 그 시작점은 2000년 1차 벤처붐에 대한 올바른 성찰과 역사적 평가를 통하여 장점은 살리고, 문제점은 보완하여 2차벤처 붐을 성공시키는 데 있을 것이다. 2000년 초 한국은 미국 버금가는 세계최고 수준의 벤처생태계를 형성하였다. IMF사태 이전인 1995년에 출범한 벤처기업협회의 제안으로 정부는 1996년 세계 두 번째로 신시장인 코스닥을 설립하였고, 1997년에는 세계 최초로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벤처특별법)을 제정하는 등 벤처기업이 성장할 수 있는토대를 마련하였다. 당시 인터넷 혁명의 결과, 전 세계적인 IT 붐은 나스닥의 급등으로 이어졌고, 한국도 코스닥의 급등이라는 벤처붐이 일어났다. 이는 세계적으로 1990년대부터 시작된 경제 패러다임이 생산성 경제에서 창조성 경제로의 전환을 반영한 것이라고 할수 있다. 민관협동의 1차 벤처붐은 1997년 말 다가온 미증유의 국가 위기인 IMF 사태극복에 결정적인 공헌을 하게 된다. 그 후 2001년 전 세계적인 IT 버블의 붕괴의 동조현상으로 나스닥과 함께 코스닥이 붕괴되며, 1차 벤처 붐은 막을 내리게 된다. 2002년 이후 정부단독 주도의 벤처건전화정책이 발표되면서 한국의 벤처생태계는 침체기로 들어가고, 15년넘게 코스닥은 회복이 안 되고 있다. 부분적 시장실패를 과도한 정부실패로 악화시킨 것이다. 반면 미국은 자연스런 조정기를 거쳐 2003년부터 나스닥의 회복이 시작되어 지금은 IT붐 때의 지수 이상으로 상승했다. 과도한 벤처건전화 정책이 한·미간의 괴리에 미친영향은 부정하기 어려울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경제 패러다임의 전환이라는 측면에서 1차 벤처 붐의 성과와 의미를 평가하고, 1차 벤처붐과 이후의 조치가 한국의 벤처생태계를 어떻게 변화시켰는지에 대한 역사적 평가를 시도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은 벤처의 경제적성과를 매출, 부가가치 창출의 측면에서 분석하여 수치적으로 객관적 평가를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1차 벤처 붐은 창조성 경제로의 경제 패러다임의 전환을 반영한 것이었으며, 코스닥과 벤처특별법은 벤처 붐 형성에 핵심적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IT버블 붕괴이후 정부의 보수적 벤처 정책은 벤처생태계를 약화시켰고, 한국 경제를 창조성 경제로 전환하는 것을 지연시켰다. 그러나 10년 벤처 빙하기에도 불구하고 이때 등장한 벤처기업들이 성장하면서 한국의 경제성장과 고용창출을 견인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2의 벤처 붐 정책은 1) 1차 벤처 붐 중 성공적이었던 생태계 복원 정책과 2) 기업가정신 교육 등 추가적인보완 정책으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The government and industry have been working hard to create a second venture boom to implement the Korea’s creative economy. A superior strategy is needed to troubleshoot the problems of growth and employment and help bring about a second venture boom; anything short of that will fail to revive the venture industry. The starting point for any such policy must come from the historical evaluation of, and proper reflection upon, the first venture boom in 2000. Through this process of analysis, the positive lessons can be utilized, and the problems with the original model fixed, so that a second venture boom can be nurtured in Korea. In early 2000, Korea formed a world-class venture ecosystem, closely followed by the United States. Prior to this venture boom, a new market KOSDAQ was launched in 1996, just the second of its kind in the world, led by the Government and the Korean Venture Business Association which had been established in 1995. The government also enacted the Venture Special Act to lay a strong foundation for fostering the venture industry. At the time, the Internet revolution and the global IT boom resulted in a surge in NASDAQ and the KOSDAQ also benefited from this boom, mirroring the world economic paradigm that began in the 1990s and reflecting the transition from a production economy to the creative economy. Indeed, the first venture boom led by Public-private joint policy in Korea made a vital contribution towards overcoming the unprecedented IMF crisis in 1997. However, when the global IT bubble collapsed in 2001, it took NASDAQ and KOSDAQ with it, and signaled the end of the venture boom. The original venture boom caused many social phenomena, including the birth, growth, and disappearance of a number of ventures. After Korean government announcing so-called “the Venture Rehabilitation Policy” in 2002, Korea’s venture ecosystem entered into recession. Partial market failure has boosted the economic failure of the government badly. In the mean time, the U.S. market has gone through a natural adjustment period; since 2003, the NASDAQ has been restored, but KOSDAQ is still suffering. The policy led by government can be part of the cause of difference between the stock index of the two new mark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y to assess the performance and evaluation of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first venture boom in terms of the economic paradigm of transition. It will also evaluate historically how the first venture boom and subsequent measures have changed the landscape of Korea’s venture ecosystem. The research method is to analyze the economic performance of venture companies in terms of their revenues, added values. Their numerical data will provide the objective evaluation of this study. The results will show that the first venture boom reflects the transition of the economic paradigm to the creative economy, and the KOSDAQ and the Venture Special Act have played a key role in forming a venture boom. However, the conservative venture policies of the government after the first venture boom has weakened the venture ecosystem and delayed the transition to the creative economy. On the other hand, through this period called “the ice age of ventures,” the growth of the numbers of venture companies has led Korea’s economic growth as well as creating new jobs. Accordingly, the policy of the second venture boom should be composed of two parts: 1) policies designed to restore the ecosystem of the first venture boom, 2) additional supplemental policies to reflect new realities in the econom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