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주 도시한옥의 증개축양상에 관한 연구

        이민경(Lee, Min-Kyoung),김태영(Kim, Tai-Young) 한국주거학회 2008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19 No.2

        Recently, many urban traditional houses have been replaced by villas and apartments for the inconvenience of lifestyl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present distribution condition, research the extension and alteration, focused on Korean urban traditional houses in Cheongju which is the old city in an inland area, and inquire into the behavior patterns of an aged living alone livelihood and a large household. As a result, in the typical 'ㄱ' types of central inland houses, all the rear and side parts are nearly extended except facades facing court, while the detached houses for an aged living alones and tenants have enlarged rooms, kitchen and 'Daecheong' within the existing wooden framework. We could grasp the enlargement of room, 'Daecheong', corridor, and storage in the layout of the existing house. There are so many alterations such as the stand-up kitchen and a water closet. A new extension on an old house was intensely built for tenants.

      • KCI등재

        연구논문 : 빅토리아 중기 여성 담론의 공적 출현 -잉글리시 우먼스 저널을 중심으로-

        이민경 ( Min Kyoung Lee ) 영국사학회 2014 영국연구 Vol.31 No.-

        본고는 중기 빅토리아 시대에 여성들이 인쇄 미디어로 연결된 수사학적 공적 영역에서 여성 담론을 형성하며 사회 변화를 유도하는 주체자로서 공적으로 출현하고 있었던 현상을 주목한다. 『잉글리시 우먼스 저널』은 여성이란 젠더를 표면화하는 정기간행물 가운데 처음으로 ‘여성을 위한, 여성에 의한’ 정기간행물로서 여성들에 대한 당대 사회의식의 변환을 유도하며 자신들의 주장을 펼친 담론을 중심으로 한 수사학적 공적 영역을 형성하고 주도하였다. 『잉글리시 우먼스 저널』은 여성들에게 정치·사회·문화·경제 담론들에 참가할 수 있는 지속적인 기회를 제공하면서, 빅토리아 사회 전반에 존재하던 고정관념적인 의식을 비판하고 변화시킬 것을 주창하였다. 저널에서 드러내고자 했던 담론의 수사들은 당대 주요 언론에 몸담고 있던 남녀 저널리스트들로 하여금 여성과 관련된 문제들에 주목 및 동참하게 하였다. 그렇게 함으로써 빅토리아 사회에서 하찮은 영역으로 여겨지던 여성의 문제가 개혁의 주요 아젠다로서 공개적으로 토론되며 사적 담론에서 공적 담론으로 여성 담론의 역사적 이동을 만들어 내었다. 『잉글리시 우먼스 저널』은 여성들로 하여금 수사학적 공적 영역의 일원으로 자신들의 문제를 인식하고 공론화하는 적극적 주체자로 서게 하였으며, 후에 오는 본격적인 페미니스트 운동에 그 지표가 되는 역사적 중요성을 갖는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phenomenon that women appeared in public as an agent deriving social changes with the discourse in rhetorical sphere connected by the printed media. The English Woman’s Journal by the Langham Place Circle, the first periodical ‘for women and by women,’ in which female gender comes to the surface, lead to build a discursive rhetorical sphere trying to assert women’s rights and interests as well as to change social consciousness on women in Victorian period. The Langham Place Circle provided women continuous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public discourses on political, social, cultural, and economical issues, and proposed to change stereotypical consciousness on women in the Victorian society. The discourses on Women Question stated in the Journal, attracted male and female journalists in the major journals of the day and became important social issues. On this progress, a historical shift of discourse on woman was made from private discourse to public one. The discourse on women which was considered as marginalized one became an important agenda to compose public arguments to make social reforms. The English Woman’s Journal made women be aware of and publicize actively their own problems as members in rhetorical public sphere and achieve a historical importance as a cornerstone for the full-fledged feminists’ movement in the later stage.

      • KCI등재

        오스트레일리아의 부정적 문화유산(Negative Heritage)과 다크 투어리즘(Dark Tourism)의 기억 -태즈메이니아(Tasmania) 지역을 중심으로-

        이민경 ( Lee¸ Min-kyoung ) 영국사학회 2020 영국연구 Vol.43 No.-

        본고는 오스트레일리아 태즈메이니아의 부정적 문화유산과 투어리즘을 역사학적 관점에서 검토하며 다크 투어리즘과 기억의 유산에 대한 역사성을 고찰해보는 시도이다. 먼저 이 지역 다크 투어리즘의 실질적 대상인 유형지와 유형수, 그리고 투어리즘과 관련된 기억의 유산들을 살펴보면서 부정적 과거에 대한 기억의 산물이 어떻게 투어리즘의 주체적 대상으로 승화되는지를 고찰한다. 이를 위해 19세기 후반 이후 확산된 투어리즘의 역사를 추적하는 한편, 태즈메이니아의 유형지 기억과 오스트레일리아의 과거 유산에 대한 인식의 변화, 그리고 다크 투어리즘 현상의 의미를 추적해 본다. 이를 통해 본고는 태즈메이니아의 부정적 문화유산을 탐방하는 관광의 상품화가 19세기 사상적, 경제적, 사회사적 맥락과 닿은 역사적 의미를 지님을 보여준다. 아울러 지역의 부정적 기억이 다크 투어리즘을 통해 제국의 건설을 이루어간 영국인들의 역량을 역사로 합리화시키는 일종의 표식으로 전환됨을 확인한다. 또한 기념과 기억에 대한 시대적 맥락에서 그 가치를 더해가는 보존의 대상으로 변화함을 밝히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negative heritage of Tasmania in Australia, from a historical point of view, and discusses the historical nature of dark tourism and of what heritage remembers. First of all, it looks over the penal places and transported criminals, the tangible objects of dark tourism, and the heritage of memories related to the tourism. And it explores how the products of memory of the negative past of the colonial times are sublimated into the subjects of tourism. Also it traces the history of tourism that has spread since the late 19th century, while tracking the changing perception of Tasmania’s negative past and Australia’s past heritage, and the meaning of dark tourism. As a result, this study shows that the commercialization of tourism to explore Tasmania’s negative heritage, has historical significance within the ideological, economic and social historical context of the 19th century. In addition, it confirms that the negative memories of Tasmania, through the dark tourism, have turned into a sort of sign that rationalizes the capabilities of British people into history. And also it reveals that the negative heritage of the place has changed into a subject of conservation that has been added value in the context of its time-honoured justification as commemoration and memory of the Australia’s origins.

      • KCI등재

        『런던 사람들의 역사』(A People’s History of London)를 통해 본 이주민들의 런던과 현재

        이민경 ( Lee Min-kyoung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7 도시인문학연구 Vol.9 No.2

        이 글은 린제이 저먼(Lindsey German)과 존 리스(John Rees)의 『런던 사람들의 역사』(A People’s History of London)를 통해 브렉시트후 현재 런던에서 발생하고 있는 일련의 사태들이 영국 런던의 역사 속에서 어떻게 조망될 수 있는지, 비평적 시각으로 고찰해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저먼과 리스는 부와 권력의 중심지일 뿐만 아니라 불일치와 급진주의의 중심지로서 런던을 저서 『런던 사람들의 역사』에서 주목하고 있다. 런던의 역사는 군주와의 관계, 자유와 충돌, 필요와 논쟁, 그리고 만족과 불만,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정부의 필요성을 내포하는 다양성의 역사를 소재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런던의 특성은 다양한 유입 이주자들이 포함된 거부와 포용, 반란과 폭동의 역사를 관찰하게 한다. 이에 따라 이 글은 폭동 주체자들이란 관점에서 현재까지의 런던 역사 속에서 다양한 이민자들과의 갈등이 왜 지금까지 지속되고 있는 지, 그 궤적을 추적하기 위해 저항의 역사를 주목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본 런던의 빈도 높은 폭동과 반란, 시위 형태의 저항의 역사는 ‘보수주의’를 떠올리게 하는 영국의 대표 이미지와는 달리 급진적인 투쟁의 역사를 보게 한다. 그리고 인종주의와 사회적 편견과 차별, 불평등에 대항한 많은 투쟁들을 통해 다양한 런던인들 모두가 자신들의 주장이 관철될 것을 요구하는 공간이 런던임을 드러낸다. 그리고 그것이 급진적인 문화와 정치학을 갖는 런던이고, 현재의 런던임을 주지시킨다. 유입 이민자들이 동참한 런던의 건설’과는 달리 다름과 차별의 심화가 존재하는 『런던 사람들의 역사』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사태들이 속할 런던의 역사가 변화해야 할 바를 사고하게 한다. 그것은 런던을 기능하도록 한 모든 ‘런던 사람들’이 단지 ‘불평등’으로 보상을 받는 사회가 아니라, 고통과 행복의 ‘공평한 분담’을 갖는 사회를 가질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확인하게 한다. This article examines how a series of current events in London after the Brexit can be viewed in the history of London based on A People's History of London by Lindsey German and John Rees. The authors give their attention to London and history of London not only as the centers of wealth and power, but also as a center of disunity and radicalism. To them, London's history is a history of diversity that includes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a stable and effective government need as well as a history of relationship with monarchy, freedom and conflict, needs and arguments. This characteristic of London allows us to observe the history of embracing, rejection, rebellion and rioting that various immigrants have participated in. This article, therefore, explores how conflicts with diverse immigrants in London's history, and also observes the history of resistance that keeps track of its trajectory. The history of London's frequent riots, insurrections and protests, as opposed to Britain's representative image of 'conservatism', tells a history of radical struggles. And it informs that London is a space where various Londoners can hear their voices and ask for their assertions through a lot of struggles against racism, social prejudice, discrimination and inequality; that is London with radical culture and politics, and that is today‘s London. The “History of the people of Londo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construction of London by immigrants as suggested by Germans and Rees, reveals deepening of differences and discrimination. Nevertheless, it conveys that all 'Londoners' who have made London function should not only have a society that is rewarded with 'inequality' but a society that has a 'fair share' of pain and happiness.

      • KCI등재

        비엔나 고전주의 거장들의 피아노 음악에서의 호른 동기들 그 음악적 상징 기호들의 분석

        이민경 ( Min-Kyoung Lee ) 한국음악학학회 2004 음악학 Vol.11 No.-

        The hunt was a means of privileged social display in the 18th century; thus the sounds of horn in the hunting field was a reminder of the chivalrous ideals of the noble classes, of desirable virtue embodied in the aristocratic way of thinking. In music, the sound of the horn ran assume symbolic connotations as a mirror of nature and of society, and can also serve as a petent device for evoking royalty and hunting scene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ve force of horn motifs in Viennese classical piano music: What does the hunt symbolize? What does the horn symbolize? Why and how are such symbols presented in these keyboard works? Alexander Ringer has classified various actual horn signals and traced the development of the genre of the chasse in his dissertation. However, he did not specifically define the musical features of the horn motif as used in art music, nor did he examine the area of the Viennese piano music. This paper will attempt to establish criteria for recognizing horn motifs in the keyboard music. It will also examine the extra-musical implications of these horn motifs by analysing selected works of Mozart, Haydn, Beethoven, and Schubert. In its earlier stages, the horn motif stood for the hunt itself. However, after the social upheaval at the end of the 18th century, the hunt rapidly lost its special social significance, one of the last vestiges of feudalism. Increasingly the citing of hunt images in music connoted a spiritual communion with nature and the recollection of that communion with a sense of nostalgia. So, in music, the hunt became associated with feelings of awe: nature, magic, and the supernatural occupied the same space in the Romantic imagination. In Haydn, the horn motif was still a reminder of nature and the outdoors. In Mozart`s compositions, the sound-image was often transmuted, capable of invoking solemnity and deep emotion. With Beethoven and Schubert, the hern motifs acquired romantic connotations apart from the tributes to the chasse tra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association with the actual hunt in Viennese piano music became looser over time. The horn motifs came to function instead as a metaphor for the romantic spirit and gained a far greater symbolic significance than ever before.

      • KCI등재

        문화재정보에 게시된 역사적·학술적·건축적 가치의 내용적 의미

        이민경(Lee Min-Kyoung),김태영(Kim Tai-Young) 대한건축학회 2008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4 No.5

        The designated criteria are primarily classified with the historic, academic and architectural value in modern cultural heritage. This paper is aimed to study the significance of topic sentence published on heritage information from the view point of the historic, academic and architectural value, focused on modern house as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These have a specific significance as follows; the historic values are mainly referred to persons, composed with the periodica l·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historical accidents & places. The academic values are mainly referred to the data of modern house as cultural asset, and have a meaning for life history. The architectural values are expressed with languages such as architectural history and characteristics, composed with the new dwelling type, the transformation of korean traditional house, and the integration between technology and craftmanship in detail.

      • KCI등재

        연구논문 : 여성 이민 담론을 통해 본 19세기 중엽 영국 식민지로의 여성 이민

        이민경 ( Min Kyoung Lee ) 영국사학회 2014 영국연구 Vol.32 No.-

        본고는 19세기 중엽 영국 식민지로의 여성 이민에 있어 젠더 문제와 함께 그 특징을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19세기 중엽 인구조사에서 나타난 ‘잉여 여성’ 문제의 해결책으로 제시된 여성들의 식민지로의 이주에 대한 담론들을 분석하여 여성 이민에 대한 빅토리아 사회 시각 및 페미니즘 시각에서 빅토리아 중기 여성 이민에 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특히, 당대에 여성들의 이민 사업에 헌신적이었던 여성 이민협회들을 통해 19세기 영국 여성 이민의 현실을 파악하고, 이 시기 여성 이민 문제 중심에 퍼져있던 의식이 어떠한 면들을 드러내고 있는지 관찰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본고는 당대의 여성 이민이 본국 및 식민지의 젠더 균형을 위한 목적성을 가지는 동시에 가부장적 제국주의의 면모를 드러내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여성의 독립적 행보를 위한 사회관념 및 계층 이탈적 의식의 변화 측면에서는 답보적인 한계를 보여 주고 있다는 사실을 관찰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본고는 ‘남성 주도적’이라 생각하기 쉬운 당대의 이민 사업에 대한 선입견의 해체를 가져오고, 페미니즘적 시각에서 빅토리아 중기 여성들의 이민이 여성이 주체가 된 주도적 이민의 전형을 보여준다는 사실을 주목하고 있다. This essay examines both the characteristics and the gender issues surrounding the emigration of women to the British colonies in the mid-19th century. To illustrate these issues, this study looks at the social and feministic points of view on emigration through literatures of the times. It also analyzes the discourses which suggested women`s emigration to the colonies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redundant women’ of the time. Special focus is placed on the activities of female emigration societies that played important roles in such emigration and aided in understanding the actual situation, in particular, on social thought of the matter. From these studies, this essay demonstrates that the emigration of women reflected a sort of patriarchal British imperialism and that of gender-balancing type for both Great Britain and the colonie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t much progress in terms of changing social norms to recognize female independence and break from the Victorian concept of ‘social class.’ This essay concludes that the emigration of women in the mid-19th century brought about a deconstruction of the patriarchal prejudices that the activities of emigration agents were men`s business, as women played a crucial role in solving their own problems brought about by the problem of surplus population. Therefore, it can be stated that the role of women appeared here forms the basis for women advocating their rights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변화를 모색하는 이민사 연구 - 19세기 전반 영국인들의 오스트레일리아 이민을 돌아보며 -

        이민경 ( Lee Min-kyoung ) 영국사학회 2021 영국연구 Vol.45 No.-

        본 글은 영국인들의 식민지 오스트레일리아 이민에 관련해 다양한 시각을 제시하는 연구들을 검토하면서 이러한 연구 성과가 이민·이주사 연구에 어떠한 방향성을 제시하는지 생각의 장을 마련해 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우선 본 글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 이민연구에서 다소 주변화 되어 있는 19세기 전반기를 주목하여 이 시기 오스트레일리아 이민연구가 어떠한 면을 탐구하고 있는지 검토한다. 특히 기존 학계에서 주목해 온 산업사회의 문제 또는 영국의 경제 중심 분석 외에 이 시기 이민의 증가와 관련한 제 문제에 어떠한 것들이 있었는지 고찰한다. 이를 통해 이민·이주관련 주체와 객체에 따라 다를 수 있는 목적과 의도, 다양한 측면의 정책과 상황, 이민자 중심의 사고 등, 연구대상의 다변화와 함께 확장된 안목을 가진 발전적 이민사 연구의 전환을 모색한다. This essay examines current researches that present various perspectives on British colonial Australian immigration, and tries to set the stage for thinking about what these suggest for on-going studies of the field. First of all, it focuses on the studies of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which are somewhat marginalized in the field of Australian immigration history, and examines what these studies are exploring with regard to the period. In particular, besides the industrial society’s problems that have been noted by existing academia or the Great Britain’s economic-centered analyses, this study considers what was the problems related to the increase in immigration & emigration during this period. Above all it tries to seek for the development of immigration study with an extended perspective, requiring diversification of the subject, such as the purposes and intentions that may vary depending on immigration and migration-related subjects and objects, as well as aspects of policies and situations, and immigration-oriented thinking.

      • KCI등재

        영제국 식민지 초기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과 영국인 정착민 -바바라 다우슨의 『구경꾼의 눈으로』를 중심으로-

        이민경 ( Min-kyoung Lee ) 영국사학회 2016 영국연구 Vol.35 No.-

        영제국 오스트레일리아와 원주민에 관한 연구는 국내 다른 분야 연구보다 관심의 정도가 크지 않다. 하지만,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원주민 관련문제는 최근까지도 매스컴의 주목을 받는 사건들이 출현하고 있는 진행형 이슈이다. 본 논문은 이 같은 문제를 제국 식민지 초기 영국인 정착민과 원주민과의 관계를 통해 고찰한다. 특히, 최근 출판된 바바라 다우슨(Barbara Dawson)의 『구경꾼의 눈으로』(2014)를 주목하면서, 정착 초기 여성들의 눈에 비친 원주민과 기존의 원주민 서술에서의 이들에 대한 인식을 검토한다. 이를 통해 영국인 개척자들과 원주민에 관한 이야기가 남성 정복자적 관점의 방향으로 고착되어 왔음을 드러낸다. 신화화된 원주민 이야기와 폭력에 대한 기억이 ‘상호 협력과 공존 및 갈등’이라는 영국인 정착 초기의 긍정적 관계성을 왜곡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글은 대륙의 상이한 지역적 특색 및 다양한 원주민들과 정착민과의 관계라는 보다 넓은 시각의 형성을 유도하고, ‘폭력에 따른 정복’으로만 이해하는 상투적 역사이해와 일반화의 탈피를 제시한다. 그럼으로써 누구도 배제되지 않은 역사의 동참자로서 오스트레일리아 건설을 만들어 온 ‘오스트레일리아인’의 ‘협력과 평화로운 공존’이라는 발전적 모색을 피력한다. There has not been much study done in South Korea in referenc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British colonial Australia and the Aboriginal people. In Australia however, the Aboriginal problem is a current issue that often draws media attention. This paper deals with the Aboriginal problem by visi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ritish settlers and the indigenous people during the early stages of colonization of Australia. In specific, this paper focuses on Barbara Dawson’s In the Eye of the Beholder; What 6 Nineteenth Century Women Tells Us about Indigenous Authority and Identity published in 2014. The book reconstructs the perception of the indigenous people using records of British women at the early stage of the settlement, coupled with existing historical description. The book reveals that the story on the British frontiers and the Aboriginal people was told in a biased way, from the male conqueror’s viewpoint only. This half truth filled with mystified story and violence distorted the positive relationship seeking ‘mutual cooperation and coexistence with inner conflict’ created in the early stages of the British settlement. Thus this paper attempts to form a much broader perspective to show various relationships among settlers and the Aboriginal people with different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It also tries to break from the understanding of stereotyped history and from the generalizations of the British Colonial Australian history. This paper thereby suggests a constructive compromise to build the combined efforts and peaceful co-existence as ‘the Australian,’ not excluding anyone who participated in making the history of Australia.

      • KCI등재

        문화재 지정 근대기 한옥의 개조 및 변경에 대한 설계자의 의식조사

        이민경(Lee Min-Kyoung),김태영(Kim Tai-Young) 대한건축학회 2010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6 No.5

        The modern Korean traditional houses have been changed and altered by the present life style and pattern. And so, the six items(①connection and enlarging of rooms, ②installation of storage space, ③standup kitchen and its alteration, ④alteration and installation of toilet, ⑤installation of utility room, ⑥insulations and ventilation) have been established through the survey of Korean traditional houses. Questionnaire survey was made to architects who have experienced cultural properties repair design.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priority of six items by the change and alteration was defined as alteration of kitchen(③)and toilet(④), insulations and ventilation(⑥) in the order. On the other hand, installation of storage space(②) and utility rooms(⑤), which did not exist, are not to be installed for conservation. This will help preparing alteration manuals and further convenient for using the modern Korean traditional house as national cultural proper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