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산채류 이용의 역사적 고찰

        이미순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986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1 No.2

        The first historical record on the use of wild edible plants as foods in Korea involves sswuk and manul concerned with the mythology of Tangun. Numerous names of wild vegetables had been recorded in various ancient books. Wild edible plants are of great value as food resources and for domestication, since they have variable edible portions and quite a long picking season. Several kinds of wild edible plants have been already grown as vegetable crops. Doragi (Platycodon grandiflorum) is probably the one with the longest history of cultivation. During World War II, an attempt had been made to substitute vegetable crops for wild edible plants. As picking wild greens requires a great deal of labor and plants of wild growth are limited in the amount, domestication of wild vegetables as crops appears to be an urgent need for securing food resources in Korea.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섬쑥부쟁이의 휘발성 향미성분 분석

        이미순,정미숙 한국조리과학회 1998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14 No.5

        신선한 섬쑥부쟁이의 휘발성 향미성분을 분석하여 31가지의 peak를 확인하였다. 확인된 휘발성 향미성분은 탄화수소류가 17종으로 peak area 58.90%이었으며, 알코올류 7종 8.51%, 에스테르류 3종 2.1%, 옥사이드류 1종 2.10%, 산류 1종 1.65% 및 알데히드류 1종 0.48%로 나타났다. 섬쑥부쟁이의 주요 휘발성 향미성분은 α-pinene, limonene, δ-elemene, β-pinene, cis-3hexenol 및 myrcene으로 사료된다. 신선한 섬쑥부쟁이를 전자코로 분석한 결과 알코올과 같은 극성화합물을 민감하게 감지하는 PA2 sensor의 저항값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건조된 섬쑥부쟁이의 휘발성 향미성분의 패턴은 신선한 시료와 동일하였으나, 6개의 metal oxide sensor의 저항값은 신선한 시료 보다 모두 크게 나타났다. 또한 전자코에 의한 신선힌 시료와 건조된 시료의 향미성분의 강도 비교는 관능검사와 일치하였다. Essential oils in leaf of fresh Aster glehni were extracted by SDE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and extraction) method using diethyl ether as solvent. The yield of the essential oils was 0.05%. And their volatile flavor components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GC)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and identified by the RI of GC and mass spectrum of GC-MS. A total of 31 components, including 17 hydrocarbons, 2 aldehydes, 7 alcohols, 3 ester, 1 acid and 1 oxide were identified. The major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fresh Aster glehni were α-pinene, limonene, δ-elemene, β-pinene, cis-3-hexenol and myrcene. Volatile flavor patterns of fresh and dried Aster glehni were analyzed using an electronic nose. Sensor PA2 that was sensitive to alcohols showed the highest resistance for fresh and dried Aster glehni. Resistance of six metal oxide sensors was decreased in fresh sample compared with dried one.

      • KCI등재

        김기림의 <기상도>와 알레고리

        이미순 한국어교육학회 2007 국어교육 Vol.0 No.124

        This study aimed to reread Kim Ki-Rim's Kisang-do, forcusing that Kim used allegory as a rhetorical device and particular expression method. In the mid-1930s, he was oriented to allegory, for example, allegorical sign, montage, allegorical writing. He started to mention allegory theory when he attempted to develop his theory on poetry. After that, he was interested montage of modern technique media, especially that of cinema. In Kisang-do, he presented parable of <Faust> and other parables. In Kisang-do, characters and scenes were presented by allegorical signs. They signified fragments of modern culture. This means that they showed the priority of material over individuality and that they were montage of modern culture. In addition to, the allegory of history was disclosed in Kisang-do. 본 연구에서는 <기상도>에 나타나고 있는 알레고리의 양상과 그 의미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김기림은 1930년대 중반을 전후하여 알레고리적 글쓰기를 지향하는 태도를 보였다. 김기림은 시작 초기부터 언어에 대한 탐색을 지속적으로 해왔는데 이러한 논의 속에서 알레고리의 언어관을 보여주었다. 경험보다는 체험이 우위에 놓이게 된 환경 속에서 그는 영화, 신문, 라디오 등이 제공하는 순간적인 기억과 정보 등을 시에 활용하고자 하였고, 근대의 충격에 반응하는 알레고리적 글쓰기를 지향하였다. <기상도>에서 근대문명의 몰락과 재생을 기상도로 본 것 자체가 하나의 알레고리이다. 이러한 큰 틀 외에도 <기상도>에는 무수한 작은 이야기들이 끼어들어 있는데, 이러한 이야기들은 시적 주체의 인위적인 가공에 따라 원래의 맥락과 무관하게 제시되었다. <기상도>에는 몽타주도 상당히 많이 나타났다. 영화, 신문, 라디오 등 근대기술매체가 제공하는 단편적인 정보들이 나열되었고, 이것은 모두 알레고리로 제시되었다. 또한 <기상도>에는 알레고리적 역사관이 나타났다.

      • KCI등재

        한국고유식품의 역사적 연구 : 콩나물과 숙주나물

        이미순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986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1 No.2

        Soybean and mungbean sprouts are vegetables indigenous to Korea which have been grown throughout the year from the most remote age. They had been called interchangeably as duchaeah or duah. Control method of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soybean or mungbean sprouts growing had been already appreciated from long time ago. A growing method once developed might have been handed over considerable period. Siroo (시루) and yongsoo (용수) had been the most common containers and the watering skill is of the utmost importance for soybean sprouts growing. As the demand of soybean sprouts in the market increased, a pit has been used for bean sprouts growing, and transformed into regular soybean sprouts factory. Now bean sprouts are international food and the demand of bean sprouts seems permanent in Korea. Accordingly the long-term policy concerned with the production of soybean sprouts should be prepared, placing emphasis on improved quality and safety.

      • KCI등재

        참나물의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

        이미순,최향숙,송희순 한국조리과학회 1997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13 No.5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fresh, shady air dried, and presteamed shady air dried Chamnamul (Pimpinella brachycarpa) were collected by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extraction method, and essential oils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Twenty five, 17 and 23 volatile flavor components were identified in essential oils extracted from the fresh, shady air dried, and presteamed shady air dried Chamnamul samples, respectively; however, the kinds of individual components and its percent content of the total volatiles were varied depending on samples. The principal components of Chamnamul were isobutanal, trans caryophyllene, trans β-farnesene, and α-selinene. Terpenoid compounds reached 44.11%, 33.91% and 72.63% respectively in fresh, shady air dried, and presteamed shady air dried Chamnamul.

      • KCI등재

        일반학생과 중등영재의 가정환경에 대한 지각 및 탄력성이 창의성 및 동기에 미치는 영향

        이미순,강정아 한국영재학회 2019 영재교육연구 Vol.29 No.2

        본 연구는 중학생의 창의성 및 동기 계발을 위한 가정환경과 탄력성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영재교육원에 재원 중인 중학생(n=96)과 일반학생(n=95)을 대상으로 복합가정 질문지(Rathunde, 1989; Rathunde & Csikszentmihalyi, 1991), 탄력성 지수(Reivich & Shatté, 2002), 그리고 영재아 행동특성 평정척도(Renzulli et al., 2002) 중 창의성과 동기 척도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영재교육을 받는 중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중학생들보다 창의성과 동기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중등영재와 일반학생의 가정환경에 대한 지각을 비교하였을 때, 중등영재는 가정환경의 조화 요인을 높게 인식한 반면 일반학생은 가정환경의 공감 요인을 높게 인식하였다. 영재성에 따른 탄력성 하위요인의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 중등영재가 일반학생보다 모든 탄력성의 하위요인들이 높게 나타났다. 한편, 중학생의 창의성과 동기 계발을 위한 가정환경과 탄력성의 영향을 영재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을 때, 가정환경의 지각 중 조화 및 관여 그리고 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효능감과 정서이해가 일반학생의 창의성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이에 비해, 중등영재의 경우는 탄력성의 도전 요인만이 창의성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일반학생의 동기에 대한 유의한 설명력은 가정환경의 조화 요인 그리고 탄력성의 요인 중 도전과 분석력에서 나타났다. 중등영재의 경우, 동기는 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효능감과 분석력 요인에서 유의한 설명력이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일반학생과 중등영재의 창의성과 동기 계발을 위한 가정환경의 중요성과 탄력성을 증진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effect of family environment and resilienc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ir creativity and motivation. A total of 191 middle school students(96 gifted students, 95 non-gifted students) responded the Complex Family Questionnaire(Rathunde, 1989; Rathunde & Csikszentmihalyi, 1991), the Resilience Quotient(Reivich & Shatté, 2002), and creativity and motivation of SRBCSS-R(Renzulli et al., 2002).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creativity and motivation by student's giftedness. Second, gifted students perceived the higher harmony factor among family environment than non-gifted students, but non-gifted students perceived the higher sympathy factor than gifted students. Third, gifted students were higher in efficacy, challenge, emotional understanding, and analytical ability among resilience than non-gifted students. With respect to the effect of family environment and resilience on creativity and motiva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redictional way and degree of family environment and resilience on creativity and motivation by students’ giftedness. For these significant results, this study analyzed the possibile reasons and suggested the implications(or directions) in educational methods for the development of students’ potentials, expecially in creativity and motiv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