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폴리머 기판 위에 전사된 실리콘 박막의 기계적 유연성 연구

        이미경,이은경,양민,천민우,이혁,임재성,좌성훈,Lee, Mi-Kyoung,Lee, Eun-Kyung,Yang, Min,Chon, Min-Woo,Lee, Hyouk,Lim, Jae Sung,Choa, Sung-Hoon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 2013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학회지 Vol.20 No.3

        현재까지 유연한 전자소자 개발은 주로 인쇄전자 기술을 이용한 유기재료 기반 위주로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유기 기반의 소자는 성능 및 신뢰성에 많은 제약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무기재료 기반의 실리콘 고성능 유연 전자소자를 개발하기 위한 방법으로 나노 및 마이크로 두께의 단결정 실리콘 박막을 transfer printing 기술을 이용하여 유연기판에 전사하여 제작하였다. 제작된 유연소자는 굽힘 시험과 인장 시험을 통하여 유연 신뢰성을 평가하였다. PI 기판에 부착된 두께 200 nm의 박막은 굽힘 시험 결과, 곡률 반경 4.8 mm 까지 굽힐 수 있었으며, 따라서 굽힘 유연성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인장 시험 결과 인장 변형률 1.8%에서 박막이 파괴되었으며, 기존 실리콘 박막에 비하여 연신율이 최대 1%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FPCB 기판에 부착된 마이크로 두께의 실리콘 박막의 경우 칩이 얇아질수록 굽힘 유연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으며, $20{\mu}m$ 두께의 박막의 경우 곡률 반경 2.5 mm 까지 굽힐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유연성의 증가는 실리콘 박막과 유연 기판 사이의 접착제의 완충작용 때문이다. 따라서 유연 전자소자의 유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박막 제작 시 공정 중의 결함을 최소화하고, 적절한 접착제를 사용한다면 유연성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Development of flexible electronic devices has primarily focused on printing technology using organic materials. However, organic-based flexible electronics have several disadvantages, including low electrical performance and long-term reliability. Therefore, we fabricated nano- and micro-thick silicon film attached to the polymer substrate using transfer printing technology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silicon-based flexible electronic devices with high performance and high flexibility. Flexibility of the fabricated samples was investigated using bending and stretching tests. The failure bending radius of the 200 nm-thick silicon film attached on a PI substrate was 4.5 mm, and the failure stretching strain was 1.8%. The failure bending radius of the micro-thick silicon film attached on a FPCB was 2 mm, and the failure strain was 3.5%, which showed superior flexibility compared with conventional silicon material. Improved flexibility was attributed to a buffering effect of the adhesive between the silicon film and the substrate. The superior flexibility of the thin silicon film demonstrates the possibility for flexible electronic devices with high performance.

      • KCI등재

        Inhibitory Activity of Three Varieties of Adlay (Coix Seed)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in 3T3-L1 cells

        이미경,Eunjin Shin,Qing Liu,황방연,Jungbok Lee,김선여,Jae-Hak Lee 한국생약학회 2010 Natural Product Sciences Vol.16 No.4

        In obesity, adipocytes undergo abnormal growth characterized by increased cell numbers and differentiation. Thus, inhibition of mitogenesis of preadipocytes and their differentiation to adipocytes would be beneficial for the prevention and progression of obesity. In the present study, we attempted to evaluate anti-adipogenic activity of adlay (Coix seed, the seed of Coix lacryma-jobi L. var. ma-yuen Stapf) employing preadipocytes cell line, 3T3-L1 as an in vitro assay system. Because several varieties of adlay are in use in Korea, anti-adipogenic activity of three varieties of adlay such as Sang-Gang, Jo-Hyun and Yulmu-Ilho was evaluated. All the three varieties of adlay showed significant inhibitory activity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as assessed by measuring fat accumulation using Oil Red O staining. Adlay, however, showed little effects on adipocyte proliferation. Further studies with interval treatment demonstrated that adlay exerted inhibitory activity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via acting on early stage of adipogenesis. Taken together, adlay might be useful in the prevention of obesity.

      • KCI등재

        한국 50대 여성의 부모 발달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이미경,이윤주,Lee. Mi-Kyung,Lee. Yoon-Joo 한국가족학회 2015 가족과 문화 Vol.2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에서 1950-60년대에 출생하여 성장하고 자신이 다시 부모 양육을 경험한 현재 50대인 여성들이 자녀로 자라면서 그들이 경험했을 양육에 대한 태도와 자신의 자녀를 양육하는 양육경험을 통하여 이룩하게 된 개인의 부모경험과 발달경험의 의미를 알아보고자 함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질적 연구방법인 내러티브 탐구방법(Narrative Inquiry) 을 통하여 한국 50대 어머니가 겪었던 자신의 성장과정과 양육과정을 되새기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4명의 어머니를 관찰, 심층 면접 과정을 통하여 개개인의 부모가 가지는 양육의 의미를 살펴보는 한편 사회적, 시대적 특징들과 개인적인 양육 상황을 연관 탐색함으로써 인 간 발달의 한 역정인 부모로서의 발달과정을 탐구하였다. 이로써 각 개인의 생애경험을 ‘다시 이야기하기’를 통하여 제시하고 각자의 양육경험을 통한 공통의 발달경험을 도출하였다. 50대 어머니의 발달경험은 ‘양육과정에서 부모님의 덕목, 시대가치를 그대로 보전함’, ‘부모 에게 아쉬웠던 부분을 양육과정에서 보충하고 새로운 시도와 변화를 추구함’, ‘결혼과 양육에 대한 계획 또는 비전이 필요함을 인식함’, ‘성장을 촉진하는 양육의 동반자로서 환경과 남편 을 이해하고 받아들임’, ‘자녀와의 갈등 및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부모로서의 성장을 경험함’, ‘자식이 독립된 개체임을 수용하면서 ‘나’를 재발견함,’ ‘아직도 전진 중인 어머니들의 발달’로 요약할 수 있었다. 연구과정을 통하여 참여자들은 양육을 통한 자신의 발달에 관한 성찰과 긍정적 재인식을 경험하였으며 본 연구결과는 자녀양육의 경험과 부모발달과정을 구체적, 반성적으로 고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중년 어머니들의 성장경험과 발달경험이 자 녀양육과 부모발달 이해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자녀양육에 분투하는 어머니들에게 지침과 위로가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study is to research the individual development experiences and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parental development experiences of middle aged women who are in their fifties. For this research, we adopted the research method of the narrative inquiry which was developed by Clandinin(2000). We chose 4 women who experienced the growth process as a child and bringing up their children as a mother. We had intensive interviews about their whole life story focusing on child and mother experiences and investigated the relevance with the social and the era's characteristics. From this, We "rewrite" their lives and parental stories, and could categorized their development stories as parents. The categories of the story are follows : "We keep and retain our parents' value and life style.", "We tried to change and challenged the old thought of the parents.", "We realized that the thinking about marriage before wedding is very important.", "We accepted our husbands as a partner gradually." "We experienced many conflicts with the children and tried to find the right way to raise them.", "The experiences of acceptance of child made us find ourselves." "Raising children experiences made us examine ourselves and made us prospect the future." Throughout the research process, mothers could experienced the positive recognition of individual and parental development process. We expect this research can be a good guide and stimulation for the mother who tries to be a good parent.

      • KCI등재

        가정용 인공호흡기 적용 환자의 가정간호서비스 이용실태

        이미경,송종례,오은경,윤영미,Lee, Mi Kyoung,Song, Chong Rye,Oh, Eun Kyung,Yoon, Young Mi 한국가정간호학회 2017 가정간호학회지 Vol.24 No.2

        Purpose: The study aimed to describe the utilization of home healthcare in patients using home mechanical ventilator(HMV) Method: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design was used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s were sent to nation wide home healthcare agencies to assess their utilization status of home healthcare. A convenience sample of 158 patients data was reviewed. Result: A total of 88(55.7%) men with the mean age of 51.94(${\pm}19.52$) years were included in the study. Approximately 55.1% of patients at the outpatient department were referred to the home healthcare services after discharge. The underlying diseases were as follows : 129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nd 27 muscular dystrophies. A total of 155 patients have invasive HMV. Efficient home healthcare nursing activities provided by a highly skilled home healthcare advanced practice nurses(HHCAPN) were tracheotomy and gastrostomy tube management and urinary catheterization. The average frequency of home visit for one patient was 2.52times per month. The duration of home healthcare utilization with >1 year was 82.9%. HHCAPNs have limited knowledge and skill for HMV. Conclusion: The government support is required to provide sufficient home healthcare services to the patients discharged with HMV. HHCAPNs should be properly educated on the effective HMV care.

      • KCI등재

        휴지기 뇌파의 구역별 주파수 분석

        이미경,Lee, Migyung 대한수면의학회 2020 수면·정신생리 Vol.27 No.2

        목 적 : 뇌가 성숙해감에따라, 비대칭과 편측성역시 기능적, 효율적인 관점에서 볼 때, 성숙과 더불어 정보처리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인지적 복잡성이 높아지는 시기인 6~9세와 14~17세 사이의 뇌의 변화를 휴지기 뇌파를 주파수 분석을 하여 알아 본다. 방 법 : 본 연구는 6~9세(n = 24)와 14~17세(n = 26)의 피험자들의 뇌파는 공개된 자료(Multimodal Resource for Studying Information Processing in the Developing Brain, MIPDB)를 분석하였고, 정신과적 질환이 있거나, 잡파가 심한 뇌파의 피험자는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6~9세(n = 14)와 14~17세(n = 11)을 대상으로, EEGlab을 이용하여 뇌파를 분석하였고, 적어도 2분이상의 휴지기 뇌파 중 눈을 감은 상태의 뇌파를 이용하여 주파수 분석을 하였다. 뇌의 구역을 총 9구획으로 나눠서 주파수 분석을 하여, 주파수별 비대칭성과 편측성을 측정하였다. 결 과 : 전반적으로 서파의 파워는 나이가 어릴수록 높았으며, 이 현상은 절대파워와 상대파워에 상관없이 나타났다. 베타밴드의 상대파워는 좌우 편측성없이 14~17세 그룹이 높았다. 비대칭성의 경향은 휴지기 뇌파에서 세타밴드와 알파밴드의 상대파워에서만 두 그룹간의 차이가 관찰되었으며, 세타파는 왼쪽 전두엽 구획에서 14~17세군이 오른쪽 전두엽구획에 비해서 높게 측정되었고, 이 현상은 두정엽 구획으로 갈 수록 반대의 경향, 즉 두정엽 구획에서는 오른쪽 세타밴드파워가 왼쪽의 세타밴드파워에비해서 높게 측정되었다. 알파밴드의 상대파워는 두정엽구획에서 왼쪽의 파워가 오른쪽의 파워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편측성을 보이는 주파수는 알파밴드였으며, 절대파워와 상대파워 모두에서 왼쪽의 알파밴드파워가 오른쪽에 비해서 높게 나타났으며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결 론 : 6~9세의 피험자들에 비해서 14~17세의 피험자들은 성장기를 거치며 비교적 수준이 높은 인지기능 및 수행기능을 하게 되고, 이 기능과 관련하여 베타밴드와 알파밴드가 이 변화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Objectives: Brain maturation involves brain lateralization and asymmetry to achieve efficient information processing and cognitive controls. This study elucidates normal brain maturation change during the gap between ages 6-9 and age 14-17 using resting EEG. Methods: An EEG dataset was acquired from open source MIPDB (Multimodal Resource for Studying Information Processing in the Developing Brain). Ages 6-9 (n = 24) and ages 14-17 (n = 26) were selected for analysis, and subjects with psychiatric illness or EEG with severe noise were excluded. Finally, ages 6-9 (n = 14) and ages 14-17 (n = 11) were subjected to EEG analysis using EEGlab. A 120-sec length of resting EEG when eyes were closed was secured for analysis. Brain topography was compartmentalized into nine regions, best fitted with brain anatomical structure. Results: Absolute power of the delta band and theta band in ages 6-9 was greater than that of ages 14-17 in the whole brain, and, also is relative power of delta band in frontal compartment, which is same line with previous studies. The relative power of the beta band of ages 14-17 was greater than that of ages 6-9 in the whole brain. In asymmetry evaluation, relative power of the theta band in ages 14-17 showed greater power in the left than right frontal compartment; the opposite finding was noted in the parietal compartment. For the alpha band, a strong relative power distribution in the left parietal compartment was observed in ages 14-17. Absolute and relative power of the alpha band is distributed with hemispheric left lateralization in ages 14-17. Conclusion: During the gap period between ages 6-9 and ages 14-17, brain work becomes more complicated and sophisticated, and alpha band and beta band plays important roles in brain maturation i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 SCOPUSKCI등재

        Ln^{3+}$-DMF계의 ^1H $-NMR 연구 (Ⅰ). DMF 분자의 교환과 CHO기의 양성자 화학적이동

        이미경,윤창주,최영상,Mi-Kyung Lee,Chang-Ju Yoon,Young-sang Choi 대한화학회 1992 대한화학회지 Vol.36 No.3

        Ln$(NO_3)_3$/DMF 상자성 용액의 양성자 선-나비와 화학적이동을 240 K부터 380 K 사이에서 측정하였다. 이들 데이터로부터 DMF 분자의 CHO기에 대한 배위구 교환속도와 열역학 교환파라미터를 추출하였다. 1/$T_2$ 와 ${\Dellta}{\omega}$ 데이터의 온도의존성을 자세하게 분석하고 고찰하여 결과를 정리하였다. 분석의 결과를 살펴보면 짝짓지 않은 전자 스핀이 몇몇 $Ln^{3+}$이온에서 첫 배위구를 넘어 퍼지면서 bulk 용매의 DMF 분자로 스칼라이완의 기여를 제공하는 것 같다. Proton lineshapes and chemical shifts of paramagnetic solutions of Ln$(NO_3)_3$ in DMF have been measured over the temperature range 240K to 3807K. Solvation sphere exchange rates and the thermodynamic exchange parameters for CHO group of the DMF molecules have been extracted from these data. The results were established through a detailed analysis and discussion of the temperature depending data of the 1/$T_2$ and ${\Dellta}{\omega}$ data were analyzed in detail, and it has been found that delocalization of the unpaired electron spin from some $Ln^{3+}$ ion to DMF molecules beyond the first solvation shell would occur, giving rise to a scalar relaxation contribution in the bulk solvent.

      • KCI등재

        고온 신뢰성 시험에서 발생된 플렉서블 OLED의 휨 변형

        이미경,서일웅,정훈선,이정훈,좌성훈,Lee, Mi-Kyoung,Suh, Il-Woong,Jung, Hoon-Sun,Lee, Jung-Hoon,Choa, Sung-Hoon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 2016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학회지 Vol.23 No.1

        플렉서블 OLED는 매우 다양한 유기(organic) 및 무기 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층을 증착하는 과정에 의하여 고온에 의한 휨(warpage)이 발생한다. 휨으로 인하여 발생한 굽힘 변형은 후속 공정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궁극적으로 생산 수율 및 신뢰성을 저하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플렉서블 OLED 소자의 고온 환경신뢰성 시험 및 공정 단계에서 발생하는 휨 변형을 수치해석을 이용하여 예측하였으며 실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이를 통하여 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재료를 파악하고, 궁극적으로 휨을 최소화 함으로써 플렉서블 OLED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휨의 측정 및 수치해석 결과, 편광 필름과 베리어 필름이 휨에 많은 영향을 줌을 알 수 있었으며, OCA가 휨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였다. 플렉서블 OLED의 휨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소재는 plastic cover이였으며, 휨을 최소화하기 위한 plastic cover 소재의 최적 물성을 실험계획법으로 계산한 결과, 탄성 계수는 4.2 GPa, 열팽창계수는 $20ppm/^{\circ}C$ 일 경우 플렉서블 OLED의 휨은 1 mm 이하가 됨을 알 수 있었다. Flexible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evices consist of multi-stacked thin films or layers comprising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Due to thermal coefficient mismatch of the multi-layer films, warpage of the flexible OLED is generated during high temperature process of each layer. This warpage will create the critical issues for next production process, consequently lowering the production yield and reliability of the flexible OL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warpage behavior of the flexible OLED for each bonding process step of the multi-layer films using the experimental and numerical analysis. It is found that the polarizer film and barrier film show significant impact on warpage of flexible OLED, while the impact of the OCA film on warpage is negligible. The material that has the most dominant impact on the warpage is a plastic cover. In order to minimize the warpage of the flexible OLED, we estimate the optimal material properties of the plastic cover using design of experiment. It is found that the warpage of the flexible OLED is reduced to less than 1 mm using a cover plastic of optimized properties which are the elastic modulus of 4.2 GPa and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20ppm/^{\circ}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