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아연도금강판/알루미늄합금의 레이저 브레이징에 관한 연구

        이목영,최두열,엄상호,한도경,윤상만 대한용접·접합학회 2021 대한용접학회 특별강연 및 학술발표대회 개요집 Vol.2021 No.5

        자동차 배출가스에 대한 환경규제의 강화로 인하여 기존의 내연기관에 비하여 친환경자동차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전기자동차에서 주요 이슈는 총 주행거리이며, 이를 위하여 밧데리의 용량을 늘리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비용 및 무게가 상승하므로 내연기관에 비하여 차체 경량화에 대한 요구가 증가한다. 대표적인 경량소재는 초고강도강, 알루미늄합금, 마그네슘합금, CFRP 등이며, 이 가운데에서 초고강도강과 알루미늄합금의 사용이 상대적으로 많다. 다양한 소재로 자동차 차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소재를 접합하여야 하는데, 트렁크, 루프 등 특정한 부위에는 브레이징 접합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Al계 filler wire를 사용하여 아연도금강판과 알루미늄합금의 레이저 브레이징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레이저는 최대 출력 10kW 용량의 화이버 레이저를 사용하였으며, 레이저 조사 위치에서 가열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직경 600μm의 광섬유와 초점거리 300mm의 집속렌즈를 사용하였다. 접합부 폭 20mm인 경우, 접합부 강도는 3.8kN가량이었으며, 파단은 소재강판의 표면과 브레이징부 계면의 금속간화합물 층에서 발생하였다. 연구 결과 아연도금강판과 알루미늄합금의 레이저 브레이징 접합부의 특성은 양호하였으며, 차체 제조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Nd:YAG 레이저 및 아크의 복합 용접에 관한 연구

        이목영,김재웅,김기철 한국레이저가공학회 2003 학술발표대회 Vol.2003 No.1

        두께 2.0mm 열연강판을 대상으로 GMA 용접과 Nd:YAG 레이저 용접의 복합화에 따른 용접성을 알아보았다. GMA 용접과 레이저 용접의 공정 변수를 제어하므로서 용접부 크기제어가 가능하였으며, 특히 합금량이 높은 경우에는 filler의 성분을 조절하여 용접비드의 야금학적/기계적 특성 제어가 용이하였다. 레이저-아크 하이브리드 용접은 알루미늄 혹은 고강도강과 같이 용접이 어려운 소재의 용접에 적당하였으며, 상대적으로 낮은 출력의 레이저를 사용하므로서 용접 cost의 저감이 가능하였다.

      • KCI등재

        마그네슘합금과 철강 이종소재의 레이저 브레이징 특성에 미치는 도금층의 영향

        이목영,김숙환,ALI M. NASIRI,NORMAN Y. ZHOU 대한용접접합학회 2013 대한용접·접합학회지 Vol.31 No.4

        The dissimilar welding between magnesium alloy and steel sheet was required in automobile industry toincrease the strength of the dissimilar joints. Laser brazing is one of the good joining processes for Mgsteeldissimilar joint. In this study, the effect of coating materials was evaluated on the laser brazing for the dissimilar jointbetween AZ31 and coated steels such as Zn, Sn and Ni. Diode direct laser was used to braze the lap-edgejoint with Mg600 filler wire and Superior #21 flux. The wettability was best on Zn coated steel. Theinterlayer was formed at the interface between brazement and steel for all coating materials. The strengthsof brazed specimen were 146.5N/mm, 204.6N/mm and 101.6N/mm for Zn, Sn and Ni coated steelrespectively.

      • KCI등재

        마그네슘 박판 겹치기 이음부의 레이저 용접성에 관한 연구

        이목영,김재중 대한용접접합학회 2019 대한용접·접합학회지 Vol.37 No.4

        In this study, over-lap joints were welded on thin sheet magnesium alloy using a CW high power fiber laser. The magnesium alloy sheet was 0.4mm thick AZ31B-O manufactured by strip casting and warm rolling. The surface of the magnesium alloy sheet was ground with sandpaper and cleaned with ethanol to remove the oxide layer and moisture. The laser welding conditions were a welding speed of 3~11m/min, 390~1,100W of laser output power and a defocus distance of δ=0mm. Laser weldment was characterized using the bead width of the upper and lower sheet center. The weld strength was measured by a hydraulic fatigue machine with a U type grip. The failure modes showed interfacial, HAZ and weld metal failures. Consequently, bead width was varied between 0.5~0.7mm, and at optimum welding conditions peak load was more than 40N/mm. But solidification cracks formed in the crater because of weld metal shrinkage or limited weld metal thickness.

      • KCI등재

        체험마케팅을 활용한 메종 플래그쉽 스토어의 브랜드 정체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목영,정재윤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럭셔리 브랜드의 주 소비계층인 MZ세대 소비자는 자신만의 독특하고 차별화된 경험과 자신의 가치 확인을 위한 희소 경험 소비를 추구하고 있다. 소비자는 브랜드 경험을 중요시하고, 이러한 시장 변화에 따라 럭셔리 패션 브랜드는 체험공간을 확장하여 메종 플래그쉽 스토어로 표현하고 있으며, 브랜드의 공간에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여 브랜드 정체성을 나타내고, 브랜드 이미지와 가치를 공유하여 소비자와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체험마케팅을 활용한 메종 플래그쉽 스토어의 브랜드 정체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실증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메종 플래그쉽 스토어, 체험마케팅, 브랜드 정체성, 인터렉티브 디자인 요소, 구매의도 등을 고찰하였다. 둘째,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연구모형을 도출하고 가설을 설정하여 본 연구에 부합하는 측정도구를 선정하였다. 셋째, 설문조사는 2023년 4월 6일부터 4월 17일까지 진행하였으며, 럭셔리 패션 브랜드 의 메종 플래그쉽 스토어를 방문한 경험이 있는 MZ세대 고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총 400부를 최종 데이터로 활용하였다. (결과) 메종 플래그쉽 스토어의 체험마케팅 요인이 브랜드 정체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메종 플래그쉽 스토어의 체험마케팅은 인터렉티브 디자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브랜드 정체성과 구매의도 간의 관계에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렉티브 디자인은 구매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메종 플래그쉽 스토어의 체험마케팅은 구매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메종 플래그쉽 스토어의 체험마케팅은 인터렉티브 디자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인터렉티브 디자인은 구매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체험마케팅은 인터렉티브 디자인 요소를 매개로 구매의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체험마케팅이 구매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인터렉티브 디자인 요소를 매개로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브랜드의 희소 경험은 럭셔리 패션 브랜드의 정체성이 잘 드러나는 디자인 요소를 반영하여 브랜드 긍정적 이미지를 강화하고, 고객과 브랜드의 관계를 연결하여 유대감을 높이고 해당 브랜드의 일원으로 느낄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관계 형성에 집중해야 한다. 또한, 고객이 가치 소비를 할 수 있는 감성적 체험 기회를 제공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체험을 통해 형성된 브랜드의 긍정적 인식은 구매의도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게 만드는 중요한 요인임을 보여준다.

      • KCI등재

        Flow Drill Screw 공정에서 SOP(Screwing On Plate) 접합품질에 미치는 공정 변수의 영향 분석

        이목영,정성훈,이도엽 대한용접접합학회 2019 대한용접·접합학회지 Vol.37 No.1

        The multi-material application for automotive components is increasing, and dissimilar joining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Mechanical fastening is a practical solution for dissimilar joints. FDS is to conclude the rivet is formed by the screw, the process is simple, and the joint performance is uniform. Also, there is less constrained material bonding. This study saw the effect of process variables on the quality of SOP junction in the FDS joining process of aluminum sheet. SOP is a inventing method similar to the BOP (Bead on plate) in the conventional melt welding to recognize the fastening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mainly lower) and screw of the core of the fastening force in the FDS Junction as the abbreviation of the Screw on plate. The material used in the experiment was A6061-T6 plate of thickness 2.0mm. The main process parameters are tool force and spindle rotation at the time of penetration, and the experimental plan was designed by the central synthesis method. Reaction (quality) factor was the pull-out load. The maximum tensile load was 4.84kN and 4.87kN for predicted and experimental values,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SOP joining test was verified to be simple and accurate to evaluate the FDS joining performance.

      • 이것이 신기술이다 - 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재료 가공의 최신 동향

        이목영,Lee, Mok-Yeong 한국광학기기산업협회 2010 光學世界 Vol.125 No.-

        지구 온난화 혹은 에너지 고갈 문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새로운 소재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국내 제조업의 국제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고강도강, 비철재료 등 고기능 소재의 산업 적용이 증가하고 있다. 종래의 철강소재에 비해 새로운 소재들은 가공이 까다로울 뿐만아니라 상대적으로 높은 정밀도를 필요로 한다. 레이저는 높은 에너지 강도를 갖는 일종의 빛이며, 비접촉으로 재료를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동일한 장치를 이용하여 용접, 절단 열처리 등 대부분의 재료 가공이 가능하며 기존의 가공 방법에 비하여 가공속도가 빠를 뿐만 아니라 가공품질이 우수한 장점이 있기 때문에 산업 적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기술이다. 레이저를 이용하여 재료를 가공하는 방법에는 MEMS 등의 초미세 가공으로부터 조전용 후판에 이르기까지 다양하지만 본 보고에서는 출력 1kW 이상의 레이저를 이용한 금속의 용접 및 절단 가공에 대해서 서술하였다. 금속의 가공에 이용 가능한 출력 1kW 이상의 레이저는 $CO_2$ 레이저, YAG 레이저, Diode 레이저 등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