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화기 · 일제강점기 비제도교육 연구의 현황과 과제 : With a Focus on the Korean Enlightenment and Japanese Colonial Periods

        이명실 韓國敎育史學會 2006 한국교육사학 Vol.28 No.1

        This study aims to critically review research done since 1990 on non-formal education during the Korean Enlightenment and Japanese Colonial Periods. To this end, I technically defined the category of non-formal education. I also collected papers from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the National Digital Library, and the Society for the History of Education. Finally, I analyzed the papers about the present condition, the tendency of subjects studied, and the issues related to non-formal education. Quantitatively, I demonstrate that compared to other realms of study less research has been done on non-formal education in the Korean Enlightenment and Japanese Colonial period. I also demonstrate that there is a change in the types of contents and the amounts these studies have been viewed compared with previous papers. Especially,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Doctoral dissertations. This shows a positive prospect for research on non-formal education in the future. In this study, the subject tendency of the papers is characterized as follows: 1) Papers on the social enlightenment and the formation of the social education system. 2) Papers on social education institutions such as evening classes, village classes, and other classes. 3) Papers on social education bodies such as enlightenment bodies or religious bodies. 4) Papers on movements and policies of social education in rural communities. 5) Papers on the institutions and policies for korean socialization such as libraries and museums. Through my examination of the tendency of subjects, I concluded the following: First, this research shows a tendency to overcome the viewpoints of previous studies that educational events of the Korean Enlightenment and Japanese Colonial periods were decided under transcendental cognition. Second, it demonstrates that there was a tendency for filling in the blank of the educational events in the Korean Enlightenment and Japanese Colonial periods. Finally, this research shows an attempt to look at the origin of present educational problems in the educational events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형제사고 목격자의 트라우마와 자녀양육 경험에 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이명실,김현진,서우경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7

        목적 본 연구는 아동기에 형제사고를 목격한 트라우마 경험이 자녀양육에 미치는 영향과 의미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연구자의 주관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자신의 시점에서 서술하고 자료를 수집⋅분석하는 개인 내부자적 관점을 강조하는 자문화기술지(auto-ethnography), 그 중에서도 연구자 개인의 경험을 보다 심층적이고 다양한 시각에서 분석하기 위해 협력적 자문화기술지(a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연구 방법을 채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첫째, 아동기에 형제사고를 목격한 트라우마로 인해 만성적인 죄책감이 내면화되어 왜곡된 사고가 잘못 형성되었으며 심리적인 문제로까지 나타났다. 둘째, 형제사고를 목격한 트라우마는 부정적인 정서가 아동기에서 끝나지 않고 자녀를 양육하는과정에서도 나타났다. 이로 인해 미해결 감정으로 인한 신념이 자녀에게 안정적인 애착형성과 건강한 성장⋅발달에 악영향을 미쳤다. 셋째, 전문가들과 함께 작업하는 협력적자문화기술지 연구를 통한 성찰과 자기 고백을 통해 부모⋅자녀 간의 불안애착의 갈등을해소하고 안전한 유대감과 신뢰를 통해 치유가 되어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형제사고를 목격한 트라우마 경험자가 자녀양육 과정에서 나타난 부정적인 정서 경험과 반응에 대한 영향을 어떻게극복하는지를 보여주고, 외상 후 성장 경험이 어떠한지를 보여줌으로써 이를 심리코칭과 상담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제공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도야’ 개념의 수용에 관한 일 고찰

        이명실 한국교육사학회 2017 한국교육사학 Vol.39 No.4

        In this paper, I focused on the acceptance and spread process of the concept ‘Dōya’ that has been known as the basic concept or term of Pedagogy. After the Gabo Educational Reform(1895), the modern educational theories, educa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concepts or terminology, which were accepted in modern schools, were based on the achievements of western pedagogy. But, they were introduced through China or Japan. Because Korea did not have the conditions to introduce and stabilize them in modern times. After Meiji period, Geman ‘Bildung’ was translated in to ‘Dōya’ in Japan and was used in educational materials as a basic concept of Pedagogy. In Japanese occupation period, ‘Dōya’ was preached into Chosen at that time through the Japanese professors or the educational materials of the Keijō Imperial University and Keijō Teacher’s College. Through this process, ‘Dōya’ has been widely used in Korean academic circles since 1945, and is still widely accepted in terms of Pedagogy. Not only does the historical concept represent the facts outside of the language, it becomes an element of consciousness and behaviour itself. Figuring out how the terms or concepts of Pedagogy that have been used for a long period has come to the present is to ask the validity of the current use and to create a new meaning of the concept. 오랜 기간 동안 당연한 것으로 사용되어 왔던 교육학 관련 용어나 개념이 어떤 과정을 거쳐 현재에까지 이르렀는가를 파악하는 작업은 현재적 사용의 타당성을 묻는 것이면서 동시에 새로운 개념의 창출을 추동하는 작업이 된다.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본 논문에서는 교육학의 기본 개념 혹은 용어라고 알려진 ‘도야’가 어떤 과정을 거쳐 우리에게 수용되었는지를 추적해 보기로 한다. 갑오개혁 이후 한국에서는 근대적 교육제도의 구축과 함께 근대적 학교가 설립되었는데, 거기서 가르치는 근대적 교육이론이나 방법, 그리고 개념이나 용어는 서구교육학의 성과에 근거를 둔 것이 많았다. 당시 서구교육학의 성과를 주체적으로 도입하고 정착시킬 수 있는 여건이 빈약했던 우리 상황 속에서, 학교교육의 운영 및 관리에 관한 많은 부분들은 미국이나 유럽, 그리고 일본을 통해 들어왔다. ‘도야’는 독일어 Bildung의 번역어로, 1870년 전후 일본에서 처음 사용된 이래 메이기시기를 거치면서 일본의 교육학 교재에 등장하였고, 일제강점기의 경성제국대학이나 경성사범학교의 일본인 교수 및 그들이 사용한 교육학 교재를 통해 식민지 조선의 학생들에게 교육학의 기본 개념으로 전파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한국에 도입된 ‘도야’는 해방 후 한국 교육학계에 수용되었고, 지금까지도 교육학 용어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 KCI등재후보

        서당의 의미 재고를 위한 시론

        이명실 숙명여자대학교 인문학 연구소 2022 횡단인문학 Vol.10 No.1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의 전통적 교육기관으로 알려진 서당의 이미지가 근대 이후 어떻게 변용되고 확정되어 갔는지를 분명히 하면서, 서당의 의미 재규정에 대한 문제의식을 공유하는데 있다. 흔히 서당은 향교나 성균관으로 진학하기 위한 준비교육기관이며 초등단계의 교육시설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렇게 서당을 규정하는 방식은 근대 이후 만들어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를 입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i)조선시대 서당이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다양한 내용과 방법으로 운영되었다는 연구 성과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초등교육기관이나 준비교육기관으로서의 이미지가 널리 유포되고 있으며, 이러한 이미지는 ii)일제강점기 전후 일본인 교육관료 및 식민지 당국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 iii)해방 이후 뚜렷한 검증의 과정 없이 그대로 답습되어 왔음을 분명히 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서당의 의미를 재정립해야 할 필요성을 공론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해방된 지 70여년이 지난 현재에도 여전히 존재하는 식민지시대의 교육적 유산이 어떤 방식으로 그 명맥을 유지해 왔는지를 성찰하는 계기를 제공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what kind of transformation in the image of Seodang, known as a traditional educational institution, has undergone since modern times. Often, Seodang is a preparatory education facility for advancing to Hyanggyo and Seongkyunkwan, and is known as a facility that provides elementary education. However, it can be said that this image were not originally like this, but were created after modern times. To prove this, this study examines how the meaning of Seodang has spread to academic circles based on the writings published so far, and analyzes the images of Seodang recognized by Japanese education officials and colonial authorities before and after Japanese colonial era. In this process, the meaning of Seodang, which has been widely distributed in academia so far, became clear. And this image was created by Japanese education officials or colonial authorities before and after Japanese colonial era, and continued to be used without a critical review since 1945. This paper will not only contribute to publicizing the need to redefine the meaning of Seodang, but will also provide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how the educational legacy of the Colonial era that still exists more than 70 years after 1945.

      • KCI등재

        일본의 교육잡지『제국교육(帝国教育)』에 관한 일 고찰: 서지정보 및 지면구성의 분석을 중심으로

        이명실 한국교육사학회 2023 한국교육사학 Vol.45 No.4

        『제국교육』은 1909년부터 1944년까지 일본에서 발행된 잡지였다. 320호부터 787호까지 매달 1-2회 발행된 이 잡지는 전국규모의 교육가 단체인 제국교육회의 기관지였다. 여기에는 일본의 교육적 이슈뿐 아니라 국내외의 정치적 상황과 해외 교육의 동향, 그리고 조선을 비롯한 식민지 및 점령지에 관한 정보도 게재되었다.『제국교육』의 구독자나 투고자가 전국의 교육가 및 문부 관료였다는 점은 이 잡지가 당시 교육계에서 차지하고 있던 위상을 짐작케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국교육』의 내용 분석을 통해 당시 일본 정부 및 교육계의 관심거리였던 교육적 이슈가 무엇이었으며, 독자들에게 전달하려 했던 식민지 및 점령지에 관한 정보가 무엇이었는지를 파악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제국교육』이 발간되었던 시대적 배경과 더불어 이 잡지를 만든 단체인 제국교육회가 성립하기까지의 과정 및 활동 상황을 살펴본다. 둘째,『제국교육』의 서지정보나 지면 구성에 관해 고찰하고 이 잡지가 가진 특징과 성격을 분명히 하고자 한다. 셋째,『제국교육』에 나타난 식민지 및 점령지, 특히 조선교육에 관련된 정보를 검토한다. 이를 통해 당시 일본의 교육가 및 문부 관료들이 가지고 있던 식민지 및 점령지에 관한 인식의 일단을 분명히 하고자 한다. Teikoku-kyoiuku was a magazine published from 1909 to 1944. Published once or twice a month from 320 to 787 issues, the magazine was the journal of Teikoku-kyoiuku-kai(the Educational Association of Empire of Japan), a nationwide group of educators. The magazine published information on domestic educational issues in Japan, political situations at home and abroad, trends in overseas education, and colonies, including Joseon. The organization, whose members included not only educators at school sites but also administrators at the Ministry of Education, was known as an advocacy group for the educational policies promot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at the time. This shows the magazine's status in Japan's educational community at the time. In this paper, I analyze the contents of Teikoku-kyoiuku to understand the educational issues which the Japanese government, educators, and intellectuals were interested in at the time. To this end, first, I will examine the historical context in which the magazine was published, as well as the trends and activities of Teikoku-kyoiuku-kai that published this magazine. Second, I would like to consider the bibliographic information or page composition of Teikoku-kyoiuku and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this magazine. Third, I examine the information on colonial and Joseon education that appeared in the magazine. By doing so, I would like to clarify what educational issues were of interest in Japan at the time and what colonial information the magazine was trying to convey to its readers. This will provide a basis for examining Japanese perceptions of colonial education at that ti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