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풍력 터빈발전기의 구성요소별 위험도 우선순위 평가에 관한 연구

        이명근(Myung-Geun Lee),이민행(Min-Haeng Lee),김지명(Ji-Myung Kim),이예빈(Ye-Bin Lee),한형주(Hyeong-Ju Han),노대석(Dae-Seok Rho) 한국산학기술학회 202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5 No.5

        최근, 에너지 위기와 환경문제가 전 세계적인 이슈로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유엔 기후변화협약에 따라 탄소배출의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탄소배출을 감소시킬수 있는 신재생에너지원인 풍력 터빈발전기의 설치 용량이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풍력 터빈발전기의 단위 설비용량에 따라 고장 횟수도 증가하며, 화재 및 비화재 사고에 따라 각각의 위험도와 대응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이에 따른 고장원인 분석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풍력 터빈발전기의 고장원인의 분석 방법으로 고장모드 및 영향분석 방식이 사용되고 있지만, 기존 방식의 심각도(severity) 및 발생도(occurrence)는 전문가의 지식, 경험치와 고장확률을 기반으로 하는 정성적 분석이기 때문에, 실제 위험도 우선순위(risk priority)를 적정하게 나타내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화재 및 비화재 사고의 잠재적 원인을 구분하여 피해액을 고려한 심각도(severity)와 운용시간을 고려한 발생도(occurrence)의 산출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한 평가 방안을 바탕으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 심각도는 설비금액과 고장 시 정지시간에 따른 손실비를 고려하여 기존의 방법보다 세분화되고, 발생도는 기존의 고장률에 운용시간을 고려하여 적정하게 평가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 FMEA 방식에 정량적인 개념을 도입하고 화재 및 비화재를 구분함으로써 위험도 우선순위 평가의 적합성과 신뢰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Recently, as the energy crisis and environmental problems have become global issues, regulations on carbon emissions have been strengthened in accordance with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installation capacity of renewable energy source, such as wind turbines, to reduce carbon emissions is increasing worldwide. On the other hands, as the frequency of malfunctions is also rising according to the large size unit capacity of wind turbine and the risk analysis and counter measure are different depending on fire and non-fire incidents, an evaluation method of the causes of malfunctions is required. In general, the failure modes and effect analysis (FMEA) method is adopted to analyze the causes of malfunctions in wind turbines, but the severity and occurrence of existing methods are qualitative analyses based on experts knowledge and failure probability, which may not adequately reflect the actual risk priority.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solve these problems by calculating the severity degree considering the damage cost and the occurrence degree considering the operating time based on the fire and non-fire incidents. the simulation results based on the proposed evaluation method confirmed that the severity is more detailed than the existing method by considering the damage cost and that the occurrence had been evaluated appropriately by considering the failure rate and operating time. In addition, the performance and reliability of each risk priority is improved by introducing quantitative concepts to the existing FMEA method and categorizing fire and non-fire.

      • KCI등재
      • 웹기반 신용교육에서 학습자의 몰입이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분석

        이명근(Myung-Geun Lee),김형근(Hyung-Geun Kim)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1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19 No.2

        본 연구는 웹기반 신용교육에서 학습자의 몰입과 학습효과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이를 기반으로 프로그램의 기획, 설계에 있어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연구이다. 기존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웹기반 신용교육에서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들을 학습자의 자기효능감, 상호작용성, 프로그램 유용성으로 정리하고, 몰입수준, 학습효과간에 어떠한 인과적 관계가 있는지 규명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상호작용성과 프로그램 유용성이 몰입수준, 학업만족도, 학습전이도 등과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몰입 영향요인으로 정리된 자기효능감, 상호작용성, 프로그램 유용성은 모두 몰입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몰입 영향요인 중 상호작용성과 프로그램 유용성은 몰입수준 촉진을 매개로 하여 학습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 능력기반 교수학습환경의 원리와 효과성

        이명근(Myung-Geun Lee)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 No.1

        이 연구는 실무능력이 중시되는 맥락에서 유용한 능력기반 학습환경의 구축방안을 모색해보고, 그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기존의 교수설계 패러다임의 발전동향을 토대로 능력기반 학습환경 구축원리를 도출하고, 이른 토대로 일반대학의 교직과목의 하나를 선정하여 구체적인 교수학습 환경을 개발하고, 기본적 실험설계의 틀에 그 효과성을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원래 해당 과목이 지향한 3개의 능력 중 2개 능력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향상의 가능성을 보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이 학습환경 모형의 정련화와 아울러 효과검증 방법론을 보다 정련화하고, 표본수 증대를 통한 통계학적 검증이 요청된다.

      • 성형한계도 시험에서의 윤활 효과

        이명근(Myung Geun Lee),김흥규(Heung Kyu Kim),김형종(Hyung Jong Kim) 대한기계학회 2010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0 No.5

        The present study the effect of lubrication on the forming limit diagram (FLD) obtained from the stretch forming test with a hemispherical punch is investigated experimently. The methodology of the strain measurement and limit strain determination is based on the ISO 12004-2. An oil-type lubricant and a polyurethane membrane coated with tallow are used in the FLD tests and their effect is compared with each other and with the case of no lubricant.

      • 초등학교 수학 수업의 인지기제 활용 문제기반학습 효과분석

        이명근(Myung-Geun Lee),강수연(Su-Yeun Kang)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1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19 No.1

        이 연구는 인지기제를 활용한 문제기반학습이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우선 초등학교 수학과 학습에서 학습자들의 인지과정을 안내할 수 있는 문제기반학습 설계를 위해 문제기반학습 모형에 란다(N. Landa)의 인지기제 교수학습설계이론을 적용하여 인지기제 활용 문제기반학습 모형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초등학교 수학과 4학년 2학기 4개 단원의 8차시를 추출하여 문제를 개발하고 서울시 소재 'ㅈ'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 중 동질집단으로 확인된 2개 학급에 이 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인지기제 활용 문제기반학습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적용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 학업성취도 효과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수학적 태도와 관련해서는 하위영역 중 수학에 대한 자아개념과 수학에 대한 태도 영역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수학에 대한 학습습관 영역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특히 세부영역별로 자신감, 흥미, 우월감, 주의집중, 목적의식, 자율학습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학습기술 적용과 성취동기에 대해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KCI등재후보
      • 태양광전원이 연계된 아따우로섬 마이크로그리드의 구성 및 모델링에 관한 연구

        이명근(Myung-geun Lee),박찬욱(Chan-Wook Park),김경화(Kyung-Hwa Kim),최익준(Ik-Joon Choi),노대석(Dae-Seok Rho) 대한전기학회 2021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0

        현재, 동티모르의 아따우로섬에는 1 MW급 디젤발전기로 전력을 공급하고 있지만, 공급량의 부족으로 운용시간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어, 태양광전원을 증설하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태양광전원을 연계하는 경우, 태양광전원의 연계위치와 용량, 고장지점에 따라 사고전류의 크기와 방향이 변하게 되어, 보호기기들의 오동작과 부동작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PSCAD/ EMTDC를 이용하여, 태양광전원이 연계된 아따우로섬의 마이크로그리드 모델링을 제시한다. 이를 바탕으로, 정상상태를 특성과 사고상태 특성을 분석한 결과, 수용가의 전압은 규정전압(220(V)±5%) 이내로 유지되고, 사고전류의 크기는 태양광전원의 연계 전후와 변동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추후에는 산정된 사고전류를 바탕으로 보호기기들의 정정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할 예정이다.

      • 프로젝트 기반 초등 수학교육의 학습양식 효과분석

        이명근(Myung-Geun Lee),오유진(Eu-Gene Oh)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1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19 No.2

        이 연구에서는 프로젝트 기반 초등수학교육에서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태도에 대한 학습양식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프로젝트 기반 초등수학교육이 어떤 양식의 학습자에게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태도 신장에 더 효과적인지 검증하여, 학습자 중심교육 환경 설계에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104명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Kolb의 자기보고식 검사지를 사용하여 분산자, 융합자, 수렴자, 적응자 학습양식으로 분류하고, 4주간 12차시에 걸쳐 프로젝트 기반 수학교육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학습양식이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태도 향상에 효과를 나타내었다. 프로젝트 기반 초등수학교육은 수렴자 학습양식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수학적 태도의 세부요인에서는 수렴자 학습양식의 자신감, 목적의식 신장과 융합자 학습양식의 흥미신장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