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독도 유관속 식물상과 종조성 분석

        이돈화,조성호,박재홍 한국식물분류학회 2007 식물 분류학회지 Vol.37 No.4

        The investigated vascular plants of Dok-do island were confirmed that consisted of 46 species, 1 subspecies, 1 varieties in total of 48 taxa growing spontaneously. 1 taxa of Pteridophyta, 36 taxa of Dicotyledon and 11 taxa of Monocotyledon identified. In 48 identified taxa in this study, total 13 taxa included Orobanche coerulescens Stephan, Fallopia sachalinensis (F. Schmidt) Ronse Deer., Lonicera insularis Nakai identified according to the Korean plant taxa for environmental assessment. Planting species were about 10 taxa included Pinus thunbergii Par1., Hibiscus syriacus L. and etc. Four species confirmed in this study such as between Chenopodium virgatum Thunb. and Chenopodium album L., Echinochlcα crusgalli (L.) P.Beauv. and Echinochlcα crusgalli var. oryzicola (Vasinger) Ohwi. were doubt on identification in taxonomic entity due to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dispersion type of Dok-do plants were anemochore 31 taxa, zoodchore 8 taxa, hydrochore 2 taxa and the others by artificial means. 2005년 11월부터 2006년 11월까지 총 4회에 걸쳐 독도의 유관속식물상을 조사하였다. 독도에서는 26과 44속 46종 1아종 1변종으로 총 48분류군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양치식물 1분류군, 쌍자엽식물 36분류군, 단자엽식물 11분류군으로 이루어져 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로는 V등급종인 초종용(Orobanche coerulescens Stephan)과 IV등급종인 왕호장근[Fallopia sachalinensis (F.Schmidt) RonseDecr.] 섬괴불나무(Lonicera insularis Nakai), 섬초롱꽃(Campanula takesimana Nakai), 왕김의털(Festuca rubra L.) 등 총 1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재된 종으로는 곰솔(Pinus thunbergii Parl.), 동백나무(Camellia japonicα L,) 보리장나무(Elaeagnus glabra Thunb), 무궁화(Hibiscus syriacus L.) 등이 있다. 분류학적으로 실체가 의심되는 종(species)으로는 가는명아주(Chenopodium virgatum Thunb.), 돌피 [Echinochlca crusgalli (L.) P.Beauv.]로써 각각 흰명아주(Chenopodium album L,) 물피[Echinochloa crusgalli var. oryzicola (Vasinger) Ohwi]와 구분되는 형질을 공유하거나 불분명하여 동정에 있어서 혼란이 야기된다. 종유입 방법별로는 풍산포(anemochore) 31분류군, 동물산포(zoochore) 8분류군, 해류산포 (hydrochore) 2분류군인 것으로 판단되며, 이외의 종들은 인위적 수단에 의하여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 아세톤-물 혼합용매내에서 염화벤조일류의 가용매분해반응에 대한 압력의 영향

        경진범,윤진수,권오천,이돈화 漢陽大學校 基礎科學硏究所 1994 基礎科學論文集 Vol.13 No.-

        아세톤-물 혼합용매내에서 염화벤조일류, ??에 대한 가용매분해반응속도상수를 여러 압력하에서 전도도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이들 속도상수로부터 활성화파라미터들을 구하였다. ??와 ??의 값은 모두 음의 값을, ??는 양의 값을 ??는 큰 음의 값을 얻었다. 이 현상을 용매구조변화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이들 결과로부터 염화벤조일류의 가용매분해 반응은 전형적인 ??반응이라고 추정되나 파라니트로염화벤조일의 가용매분해반응은 여러 활성화 파라미터 값들에 근거하여 전이상태에서 결합형성이 결합파괴보다 더 우세한 ??메카니즘으로 진행됨을 알았다. Solvolysis rate constants for benzoyl cholrides, ?? have been determined conductometrically under various pressures in acetone-water mixtures. The activation parameters have been estimated from the rates. The values of ?? and ?? are both negative, but ?? is positive and ?? is large negative. This behavior is discussed in terms of electrostriction of solvation. From these results, it could be postulated that the solvolyses of benzoyl chlorides proceed in typical ?? mechanism, but the solvoysis of p-nitrobenzoyl chloride has been found to proceed by ?? mechanism in which bond formation is more advanced than bond breaking in the transition state based on the ??, ??, ?? values and ?? valu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