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Diazoxide로 치료 중인 특발성 고인슐린성 저혈당증 1례

        이대열,김민선,박은혜,김선영 대한소아내분비학회 2007 Annals of Pediatirc Endocrinology & Metabolism Vol.12 No.2

        Congenital hyperinsulinism (CHI), the most important cause of hyperglycemia in early infancy, is a heterogenous disease characterized by dysregulation of insulin secretion. Mutations in five proteins have been associated with CHI: sulfonyl urea receptor 1; Kir 6.2; glucokinase; glutamate dehydrogenase and mitochondrial enzyme short-chain 3-hydroxyacyl-coenzyme A dehydrogenase. Early recognition of hypoglycemia, diagnosis of CHI and appropriate management of the hypoglycemia are of the utmost importance to prevent neurologic damage. We report a case of persistent hyperinsulinemic hypoglycemia in 8-month-old male infant. This patient has no mutation in previously mentioned genes. Treatment with diazoxide was successful without any severe side effects in this patient. 영아기에 지속적으로 고인슐린성 저혈당을 보이는 경우 저혈당증의 시작시기, 저혈당의 정도, 동반되는 임상증상, 고암모니아혈증 및 유전자 분석을 통해 원인을 규명하여 이에 따른 적절한 치료를 시행하여 심한 저혈당에 의한 신경학적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저자들은 원인이 규명되지는 않았지만 diazoxide 약물 치료로 정상 혈당을 유지하고 정상 성장 및 발달을 보이고 있는 고인슐린성 저혈당증 1례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후보

        비만 여성에서 운동 전후 혈장 Ghrelin 농도의 변화

        이대열,강은영,김민선,박은혜,김기진 대한소아내분비학회 2007 Annals of Pediatirc Endocrinology & Metabolism Vol.12 No.2

        Purpose : Ghrelin is the known orexigenic hormone as well as an endogenous ligand for the growth hormone secretagogue receptor and has been shown to be related with the regulation of energy homeostasi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plasma ghrelin levels in response to weight loss induced by exercise, we measured fasting plasma ghrelin levels in obese and control groups before and after exercise intervention. Methods :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BMI), total 32 adult women were divided into obese group (n=14, BMI≥25 kg/m2) and control group (n=18, BMI<25 kg/m2). All subjects underwent weight reduction exercise intervention for 3 months. Before and after exercise, we measured body compositions, serum lipid profiles, serum glucose, plasma ghrelin levels in all subjects. Results : At baseline, the plasma ghrelin levels in obese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After the exercise intervention, the plasma ghrelin levels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174.8±40.8 to 235.9±53.1 pg/mL (P<0.05) in obese group and from 244.4±42.6 to 276.5±45.1 pg/mL (P< 0.05) in control group. The changes of plasma ghrelin levels in obese group (38.7±30.8 pg/mL)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14.6±20.3 pg/mL, P<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s of plasma ghrelin levels and various parameters in the obese group after exercise. Conclusion : In this study, the plasma ghrelin levels in obese adul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associated with exercise-induced weight los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stablish the precise roles of ghrelin in the regulation of energy homeostasis in obesity. 목 적 : 이번 연구는 성인 비만군에서 운동 전후 체중 감소와 관련하여 에너지 항상성 조절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혈장 ghrelin 농도의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방 법 : 총 32명의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BMI 25 kg/ m2를 기준으로 18명의 정상 대조군과 14명의 비만군으로 구분하여 12주간의 체중 감량운동을 실시하였다. 각 운동 전후 체중, BMI, 체질량 지수, 체지방 측정을 포함한 신체 계측과 혈장 지질 농도 및 ghrelin의 농도를 측정하여 두 군에서의 각 측정치의 변화량을 비교하였다. 결 과 : 운동 전 비만군에서는 체중, BMI, 체지방률, WHR와 총 콜레스테롤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운동 전 혈장 ghrelin의 농도는 성인 비만군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되어 있었다. 운동 후 체중 감소와 관련하여 비만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혈장 ghrelin 농도가 증가하였으며, 혈장 ghrelin의 평균 변화량은 대조군에 비해 비만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두 군에서 운동 전후의 체중 감소량과 혈장 ghrelin 농도 간의 유의한 선형적인 상관관계는 없었으며, 전체 대상군에서 운동 전 혈장 ghrelin 농도는 체중, BMI, 체지방률, 총 콜레스테롤, 유리 지방산 농도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운동 후 혈장 ghrelin 농도의 변화량은 BMI의 변화량과 유의한 음의 상관성이 있었다. 하지만 비만군에서 운동 후 혈장 ghrelin 농도의 변화량과 상관성 있는 어떤 신체계측치 및 생화학적 검사치는 없었다. 결 론 : 이번 연구에서 비만 성인에서의 운동 전 혈장 ghrelin 농도는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고, 운동 후에는 체중 감소와 관련하여 비만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더 많은 혈장 ghrelin 농도의 증가가 있었으며 이는 ghrelin이 체중 감소에 따른 보상반응으로 에너지 항상성을 유지하려는 기전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 항공 야시장비체계의 필요성과 적용실례

        이대열,권종광,Lee, Dae-Yeol,Gwon, Jong-Gwang 한국방위산업진흥회 1999 國防과 技術 Vol.- No.247

        과거는 항공기의 야간임무 수행시 항법장비와 계기에 의존하여 작전을 수행하였다. 이것은 조종사로 하여금 비행 안정감을 주지 못하여 심리적 작전 저해요소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야간 비행시에도 낮과 유사한 비행조건을 만들어주는 장비 즉, 야시장비체계 개발이 본격화 되었다. 야시장비가 장착된 항공기를 탑승하기 위해서는 야간 투시경(NVG)이 필요하며 항공기 내, 외부 조명의 개조가 전제되어야 한다. 이 글에서는 항공기 야시장비체계 개조의 필요성과 적용실례를 들어 야시장비체계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 헬기가 지상의 왕자인 전차를 대체할 수 있는가

        이대열,Lee, Dae-Yeol 한국방위산업진흥회 2000 國防과 技術 Vol.- No.261

        과학과 기술의 발달로 급격히 발전하는 무기체계와 전략전술은 현대전의 양상을 과거의 대량물량전과는 달리 최단기간에 최대의 전과를 거둘 수 있도록 "속전속결" 중심으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속전속결전의 생명은 신속한 제공권 장악과 그에 따른 입체 기동전에 의한 기동력 확보이다. 제공권 장악에 있어 전투기의 미비점을 보완해오던 헬기는 잇따른 첨단장비와 기술 개발로 지상전의 핵심전투력인 전차의 기능에까지 그 영역이 확대되는 추세에 있으며, 전차의 정체성에 대해 재고의 필요성을 요구하게 되었다. 과연 헬기는 전차를 대체할 수 있는가? 이 글은 헬기와 전차 기술개발의 현재와 미래를 살펴보고, 각각의 기능 및 운용을 면밀히 분석하여 그 발전개념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