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명응의 선천학적 수양론 형성 연구

        이대승(Lee Daeseung) 한국도교문화학회 2011 道敎文化硏究 Vol.34 No.-

        본 글은 徐命膺(保晩齋, 1716~1787)의 선천학을 통한 『참동계』 주해 배경의 고찰과 『참동고』에 나타난 선천학적 수양론의 형성 과정에 대한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서명응은 참동계 를 선천학의 근원으로 연결시키며 선천학 사상을 중심으로 해석하였다. 역학사 속에서 선천학의 『참동계』 기원론을 처음으로 제시한 인물이 주희이며, 서명응의 『참동계』에 대한 관점은 주희의 관점을 수용하고 발전시킨 결과이다. 그는 『참동고』에서 자신만의 독자적인 인체관과 수양론을 제시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소옹과 의학의 팔괘의 인체배당, 도교 연단법의 인체 비유, 의학과 『황정경』의 心에 대한 사유, 도교의 감리교구 등의 사유를 수용하고 융합하였다. 서명응의 『참동계』 주해는, 주희의 선천학의 『참동계』 기원론을 바탕으로 기존의 의학과 도교 전통의 사유를 융합해 낸 결과인 동시에, 주희의 선천학의 『참동계』 기원론을 정당화 한 작업이라 할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to discuss the background and formation process of Seo Myeong-Eung's interpretation of Cantong qi (參同契). Seo interpreted the Cantong qi in terms of self-cultivation; the ground of his interpretation was the Xiantian learning, which was shown well in his representative work, the Chamdonggo (參同攷). The authority Seo counted on for his interpretation was Zhu Xi, who found the origin of the Xiantian learning in the Cantong qi. Seo accepted and developed Zhu Xi, finally suggesting his unique understanding of human body and self-cultivation. In his work, Chamdonggo, Seo merged various strains of thought, such as the Xiantian learning, traditional medicine, and Daoism, into one; at the same time, Seo's Chamdonggo was the justification of Zhu Xi's understanding of Xiantian learning and the Cantong qi.

      • KCI등재

        保晩齋 徐命膺의 『參同攷』 硏究

        이대승(Lee Daeseung) 한국도교문화학회 2010 道敎文化硏究 Vol.33 No.-

        이 글은 徐命膺(保晩齋, 1716쪽-1787)의 『參同攷』에 대한 연구이다. 서명응은 『주역참동계』(이하 ?참동계?)에 선천학의 내용이 담겨 있다고 보고 『참동고』를 저술하였다. 그렇다면 그는 『참동고』에서 『참동계』와 선천학을 어떻게 연결시키는가. 또 『참동계』에 내재하는 도교의 煉丹사상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 본 논문에서는 위의 문제의식을 가지고 서명응의 ?참동계? 해설서인 「前三考」(「初擬攷」ㆍ「互體攷」ㆍ「因重攷」)에 나타난 주석 특징을 고찰하였다. 서명응은 「전삼고」 중 「초의고」에서 ?참동계?를 先天易學의 근원으로 긴밀하게 연결시키며 선천역학 사상을 중심으로 ?참동계?의 역학사상을 해석한다. 그리고 그는 「호체고」와 「인중고」에서 선천역학 사상을 인체에 적용한 인체관과 이를 바탕으로 연단을 논한 수양론을 전개한다. 그의 인체관은 「호체고」 제1장부터 제5장까지에서 다뤄지는데, 이는 기본적으로 건곤감리 사정괘를 인체의 폐장ㆍ비장ㆍ신장ㆍ심장으로 유비한 사유 체계이며, 여기에 심장(太極ㆍ中)을 중심으로 인체를 설명하는 사유 등이 섞여 있다. 서명응의 수양론은 「호체고」와 「인중고」 전반에 나타나는데, 그는 ?참동계?의금단법이란 易에서 淵源한 것으로 일반적인 丹家와 다르다고 표명하며, 자신의 인체관을 바탕으로 의학과 내단학의 사유를 융합한 선천학적 수양론을 전개한다. 서명응이 선천학의 사유를 통해 ?참동계?를 주해한 이유 무엇인가. 이는 18세기 서양의 과학기술이 조선에 유입되는 상황과 연관된 것으로 보인다. 그는 당시 서양의 과학기술을 선천역학 사상을 통해 수용하였기에, 그에게는 선천학의 정통성의 확보가 필요하였다. 그런데 일찍이 주희가 선천학의 원류를 ?참동계?로 보았기에, 서명응은 주희의 관점을 계승ㆍ발전시켜 선천학 사상을 통해 ?참동계?를 주해한 것이라 할 수 있다. This thesis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eo Myeong-Eung's Chamdonggo (參同攷) which he wrote to reveal that Zhouyi Cantong qi, contains aspects of xiantian-xue (先天學). The issue Seo faced was a way to connect Cantong qi with xiantian-xue and to comprehend the alchemy of Cantong qi as xiantian-xue. To do so, analysis is made of three parts of "Jeonsamgo" (前三考) in Chamdonggo as the main text: Chouigo (初擬攷), Hochego (互體攷), and Injunggo (因重攷). Seo Myeong-Eung explains the Cantong qi mainly through xiantian-yixue (先天易學) in Chouigo. Cantong qi scriptures are often interpreted as alchemy, but in Chouigo, Seo attempts to closely link his yixue thoughts on Cantong qi mainly through xiantian-yixue without interpreting Cantong qi scriptures as alchemy. In Hochego, Seo Myeong-Eung deals with the thought of the human body in chapters 1 to 5. Here he describes qian-kun-kan-li (乾坤坎離) as analogous to the lungs, the spleen, the kidney, and the heart, respectively, in the human body. In addition, his thought of the human body also contains oriental medicinal thought. In Hochego and Injunggo, Seo deals with the doctrine of self-cultivation. He considers Cantong qi's jindan-fa to have come from yi (易) and different from general danjia (丹家). He suggests a theory of xiantian-xue self-cultivation that based on his thought of the human body. Seo Myeong-Eung presents the logic of Cantong qi being related to xiantian-xue by analyzing and interpreting Cantong qi through the persepctive of xiantian-xue. He interprets Cantong qi throught xiantian-xue perhaps for the reason that he need to secure the orthodox of xiantian-xue of Zhu Xi's physis.

      • KCI등재
      • KCI등재

        先天 개념의 형성ㆍ발전과 의미

        이대승(Lee, Daeseung) 한국도교문화학회 2013 道敎文化硏究 Vol.38 No.-

        본 글은 선천역학과 도교의 내단학의 주요 개념 중 하나인 ‘선천’ 개념에 대한 연구이다. 선천은 후천 용어와 함께 동아시아 전통시기의 핵심 개념 가운데 하나로서, 이는 유학에서 소옹의 선천역학을 다룰 때 주로 다루어지며, 이외 도가ㆍ도교 사상에서 내단학 이론을 해설할 때 일부 다루어진다. 두 개념은 유학과 도가ㆍ도교의 사유 양자 모두에서 중요하지만, 이 개념들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어떤 사유의 노정을 거치면서 선천역학과 내단학에서 사용되게 되었는지, 역학과 내단학에서 사용될 때 의미의 차이는 무엇인지 등에 대한 전문적으로 다룬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글에서는 선천 개념의 기원에서부터 선천 개념이 형성되고 발전되어 가는 과정을 살피고, 이를 통해 전통시대 선천 개념의 의미에 대한 종합적 고찰을 시도하였다. 결론적으로 선천 용어는 의미론적 맥락에서 ?노자?의 ‘先天地生’에 기원을 두고, 언어활용적 맥락에서『주역』의 ‘先天而天弗違, 後天而奉天時’에 기원을 둔다. 위진시기에 ‘伏羲의 易’을 ‘선천’의 시기라 보는 사유가 나타나며, 당대에 이르면 ‘先天之生’을 담지하는 ‘先天’용어가 독립적으로 사용된다. 이후 ‘선천’ 개념은 당말오대에 이르러 내단학의 핵심 용어로 사용되며, 오대송초의 진단에 이르면 ‘선천’ 개념이 역학과 결합하여 소옹의 선천역학의 전초를 알리는 사유가 등장한다. 그리고 주희의 선천역학 수용으로 선천역학이 동아시아 사유의 전면으로 떠오른 이후, 선천ㆍ후천에 대한 논의는 더욱 다양하게 확장되어 간다. This thesis aims to examine xiantian (先天) which is one of the main concepts of the East Asian thought. Xiantian with houtian (後天) are the key concepts of xiantian-yixue (先天易學) and neidan-xue (內丹學) in the Northern Song Dynasty, but these concepts have not yet studied in depth. For seeking the meaning of xiantian, this paper researched the origin of xiantian and the formulated process of the concept by diachronic approach from the Pre-Qin Dynasty to the Northern Song Dynasty. As a result, the xiantian concept have two origins, one of which is the phrase xian tiandi sheng (先天地生) in the Daode jing, and the other of which is the phrase xian tian er tian fu wei (先天而天弗違), hou tian er feng tian shi (後天而奉天時) in the Zhouyi: The former relates to the essential meaning, while the latter relates to the language form. From the Wei-Jin dynasty to the end of the Tang Dynasty and the Five Dynasties, the xiantian concept connected to the various meanings, such as I Ching of Fu xi, The period of before Heaven, and Taiji (太極), and also to the neidan-xue thought. Finally, the xiantian concept related to Yixue by Chen Tuan (陳?) in the Early Song Dynasty, which thought connected to xiantian-yixue of Shao Yong (邵雍). After Zhu Xi (朱熹)"s embracing of the xiantian-yixue, the theory relating xiantian and houtian were broadly spreaded out in the East Asian intellects.

      • KCI등재

        도교 금단 전통에서 『주역참동계』의 의의

        이대승(Lee, Daeseung) 한국도교문화학회 2016 道敎文化硏究 Vol.44 No.-

        이 글은 “『참동계』는 왜 ‘만고 단경왕’이 되었는가”라는 문제를 중심으로 도교 금단 전통에서 『주역참동계』가 지니는 의의를 살폈다. 『참동계』는 ‘만고 단경왕’ ‘만고의 단경의 개조’ ‘현존하는 세계 最古의 연단 저작’ 등으로 불리면서 연단파의 가장 중요한 문헌으로 추숭되어 왔다. 하지만 『참동계』 이전에 이미 『황제구정신단경』 『태청금액신단경』 등의 연단문헌이 있었다는 점에서 『참동계』는 연단파의 ‘최고’의 저작이 아니다. 또 초기 연단 전통에서 ‘금단대도’를 숭상하여 단정파의 형성을 촉진시킨 것은 갈홍의 『포박자』라고 평가되기에, ‘만고 단경왕’이란 호칭은 『포박자』에 부여해도 무리가 없을 듯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으로 『참동계』를 단경의 개조로 보고 단경의 왕이라 호칭한 이유는 무엇일까. 『참동계』는 음양오행, 역학, 황로, 참위 등 한대 사상을 바탕으로 체계적인 이론 사유를 황백술·연단술에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연단은 단순히 정로 속의 물질 변화가 아니라 우주에서의 천지만물의 발생변화와 동등한 것이 되었고, 우주 생성의 순서에 부합하고 자연의 질서와 합치하는 이론적 토대를 지니게 되었다. 『참동계』가 진한시기 일부 방사들의 기술로서의 황백술·연단술에 우주론적 합리성을 제공함으로써, 당대이후 연단문헌은 연단에 대해 우주론적 논의를 할 수 있는 논리적인 역량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고 그 과정 속에서 『참동계』는 내외단 전통 모두에 주요한 경전적 근거가 된다. 그리고 송대 이후 『참동계』는 금단전통에서는 ‘만고 단경왕’ ‘만고의 단경의 개조’ 등으로 불리게 되었고, 역학 전통에서는 도교 역학을 기원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결국 『참동계』가 ‘만고 단경왕’이라 불리게 된 핵심 이유는 연단을 우주론적 논의로 확장시켜 내외단 모두에 적용할 수 있는 이론 근거와 토대를 마련하여 후대 연단서의 경전적 근거가 된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studied the significance of Zhouyi Cantong qi 周易參同契 in the Jindan Tradition 金丹派 by answering the question, “Why does Cantong qi become The King of Alchemical Scriptures of All Times (Wangu danjing wang 萬古丹經王)?” Zhouyi Cantong qi was getting respect as the most important text in Jindan tradition, by calling Wangu danjing wang, Wangu danjingzhizu 萬古丹經之祖, and the oldest alchemy book existing in the world. However, there were already some alchemy books, like Huangdi jiuding shendan jing 黃帝九鼎神丹經, Taiqing jinye shendan jing 太淸金液神丹經 etc., before Zhouyi Cantong qi, so this book is not the oldest alchemy book. Also Baopo zi 抱朴子 of Ge Hong 葛洪 was known as the text that respected Jindandadao 金丹大道 and promoted the Jindan tradition in early alchemy tradition, so it would be find that we call Baopozi Wangu danjing wang. Even though why Zhouyi Cantong qi is called as Wangu danjingzhizu and Wangu danjing wang? Zhouyi Cantong qi applied the Studies on the Changes (yixue 易學) to the early alchemy tradition, so Jindan tradition got a theoretical basis that alchemy was not a mere material’s chemical change but a cosmological change. The book provided the rationality of cosmological theory to the technique of the early alchemy tradition, so after that alchemy texts got a logical capability that argued a alchemy with a cosmological theory. Through these historical process Zhouyi Cantong qi became a kind of the alchemical scripture, and after Song dynasty the book called as Wangu danjing wang, Wangu danjingzhizu etc. Finally, the main reason of calling Zhouyi Cantong qi as Wangu danjing wang is that the book provide the rationality of cosmological theory to alchemy tradition so become a kind of the alchemical scripture.

      • KCI등재

        서명응 선천학의 스펙트럼과 초점

        이대승 ( Lee Daeseung ) 한국실학학회 2017 한국실학연구 Vol.0 No.33

        이 글은 서명응(徐命膺, 1716~1787) 선천학의 스펙트럼과 초점에 대한 연구이다. 서명응은 18세기 소론계의 대표적인 경화사족이자 중앙정계의 고위 관직을 두루 역임한 학자로 북학파의 비조로 평가되며 실학자로 분류되기도 한다. 그는 청대 학자들에 의해 비판되었던 「하도」 「낙서」론과 선천역학을 천착했을 뿐 아니라, 자신의 선천학 체계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서구천문학의 사유를 융합하고 더 나아가 도가·도교 문헌인 『참동계』와 『도덕경』에 대해 주해까지 하였다. 그렇다면 서명응의 선천학은 기존과 달리 어떤 특징을 보이며 또 어떤 스펙트럼을 지니는가? 나아가 서명응은 어떤 연유로 「하도」 「낙서」와 선천역학에 천착하고, 또 서구천문학을 탐구하고 『참동고』·『도덕지귀』까지 저술하였는가? 서명응의 선천학은 기존의 「하도」 「낙서」와 선천역학, 18세기 전래된 서구의 천문학, 그리고 도교문헌 『참동계』와 『도덕경』을 아우르는 스펙트럼을 지니는데, 그는 「하도」를 핵심으로 하는 역학적 사유를 중심으로 도교연단과 천문역법등을 종합하고 있다. 청대 학자들의 고증학적 역사적 연구 경향과 달리, 서명응은 철학적 해석 작업을 중시하는 입장에서 역학의 이치를 탐구하고, 나아가 서구천문학과 도가·도교의 사유 역시 고찰하였다. 서명응이 이처럼 유가가 아닌 학문까지 수용하게 된 이유는, 자신의 학문의 초점이 바로 `천`에 대한 탐구이기 때문이다. 결국 서명응의 선천학은, `천`을 주제로 삼아 유가와 도가·도교, 그리고 서구천문학을 하나의 역학 체계로 아우른 시도였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thesis aims to examine the spectrum and focus of Seo Myeong-Eung (徐命膺)`s Before Heaven Learning (Xiantinaxue 先天學). Seo Myeong-Eung is a representative scholar of the 18th century Soron 少論 and a scholar who served as a high ranking official of the central political system, and he is also regarded as a pioneer of Northern School of Practical Learning (北學派). He built his own Xiantinaxue system based on the Xiantinaxue of Zhu Xi 朱熹. In the process, he fused Western astronomy and even annotated on the Taoist books, Zhouyi Cantongqi 周易參同契 and Daodejing 道德經. If so, what characteristics do Xiantinaxue of Seo Myeong-Eung have in contrast to conventional Xiantinaxue? What is the spectrum of his Xiantinaxue? Also, for what reason did he study Xiantinaxue deeply, further explore astronomy, and even write Chamdonggo 參同考 and Dodeok jigwi 道德指歸? The spectrum of Seo Myeong-Eung Xiantinaxue encompasses Xiantinaxue of Zhu Xi, Western astronomy, and Taoism. However, he is synthesizing Taoism and Western astronomy centering on study of the Book of Changes (Yixue 易學) which regard Hetu 河圖 as the core. Qing scholars study Yixue in a way of philologico-bibliographical study (Gojeunghak 考證學). On the other hand, he explored Yixue in philosophical ways. In addition to Confucianism, the reason what he accepted the astronomy and Taoism is because the focus of his scholarship is Heaven 天.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Xiantinaxue of Seo Myeong-Eung was an attempt to incorporate Taoism and Western astronomy into Yixue with the theme of `天`.

      • 비정형 농산물 재고 및 품질 관리 시스템 개발

        이대승(DaeSeung Lee),한도윤(DoYoon Han),이준희(JunHui Lee),장세호(SeHo Jang),이한용(HanYong Lee) 한국정보기술학회 2024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24 No.5

        이 논문은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비정형 농산물인 고추의 재고 및 품질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 시스템은 고추의 수입, 적재, 보관 및 판매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분석하여, 농산물의 수요 및 공급을 효율적으로 조절하고 품질을 정밀하게 평가한다. 이를 통해 농산물의 생산 및 유통 과정이 최적화되어 비용 절감과 품질 향상이 기대된다. This paper aims to develop an inventory and quality management system for non-standard agricultural products, specifically chili peppers, utiliz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big data. This system collects and analyzes data on the import, storage, and sales of chili peppers in real-time, enabling efficient regulation of supply and demand and precise quality assessment. As a result,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processes of agricultural products are expected to be optimized, reducing costs and improving quality.

      • KCI등재

        19세기 후반, 동아시아인의 서구 심리학 수용 -니시 아마네와 옌용징의 ‘mental philosophy’·‘psychology’ 번역을 중심으로-

        이대승 ( Lee¸ Dae-seung ) 한국동서철학회 2020 동서철학연구 Vol.0 No.98

        이 글은 조셉 헤이븐의 Mental Philosophy(1857)에 대한 니시 아마네(西周)와 옌용징(顏永京)의 번역서를 중심으로 19세기 후반 동아시아인의 서구 심리학 수용 양상을 탐색하였다. 동아시아에 최초로 번역된 서구 심리학서는 조셉 헤이븐의 Mental Philosophy이다. 이 책은 일본의 니시 아마네에 의해 『心理學』(1875~76)이라는 제목으로 번역된다. 이 책이 동아시아 최초의 서구 심리학 번역서로, 니시 아마네가 여기서 사용한 ‘심리학’어휘는 ‘psychology’의 번역어로 현재 널리 사용된다. 하지만 그가 사용한 ‘심리학’은 본래 ‘심리철학’의 약칭으로서 ‘mental philosophy’의 역어이고, ‘性理學’이 ‘psychology’의 역어였다. 조셉 헤이븐의 책은 중국에서 옌용징에 의해 『心靈學』(1889)로 번역된다. 여기서 옌용징은 ‘mental philosophy’와 ‘psychology’를 모두 ‘심령학’으로 번역한다. 니시 아마네는 전통 유교 사상을 토대로 서구 심리학을 비교 해석하고 번역어를 선택한 반면, 옌용징은 선교사로서 신학을 지적 배경에 두고 서구 심리학을 이해하고 그에 적합한 번역어를 채택한다. 니시 아마네와 옌용징의 방식은 수용자 혹은 번역자의 학적 토대에 따라 역어의 선택이 달라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니시 아마네 이후 일본에서는 근대 학문으로서 신심리학이 점차 보급되고 정착되는데, 그 과정에서 ‘심리학’이 ‘psychology’의 역어로 자리하게 된다. 중국에서는 19세기 말에 일본의 ‘심리학’ 용어가 수용되어 20세기 초부터 널리 사용된다. This article explored the aspects of East Asians' acceptance of Western psychology in the late 19th century, focusing on translations of Nishi Amane and Yan Yongjing about Joseph Haven's writings, Mental Philosophy (1857). The first Western psychology book translated into East Asia is Joseph Haven's Mental Philosophy. The book is translated by Nishi Amane of Japan under the title Shinrigaku 心理學 (1875-76). This book is the first Western psychological translation of East Asia, where the term "心理學" is now widely used as a translation of "psychology". However, the term "心理學" used by Nishi Amane was originally an abbreviation for "Shinri philosophy 心理哲學", which was the term for "mental philosophy", "Senligaku 性理學" was the term for "psychology". Joseph Haven's book is translated into Xinling xue 心靈學 (1889) by Yan Yongjing in China. At this time, Yan Yongjing translated both 'mental philosophy' and 'psychology' into "Xinling xue 心靈學." Based on traditional Confucian ideas, Nishi Amane compared and interpreted Western psychology and chose a translation. Yan Yongjing, as a missionary, put theology in an intellectual background and understood Western psychology and adopted an appropriate translation. The cases of Nishi Amane and Yan Yongjing show that the choice of the terms depends on the academic foundation of the acceptor or translator. After Nishi Amane’s Shinrigaku 心理學, psychology as a modern science gradually spread and settled in Japan, in which the term "心理學" became the accepted translation for "psychology." In China, the Japanese term "心理學" was accepted and widely used after the end of the 19th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