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텔레비전드라마의 여성인물 변화 양상 연구 - 2010년대 후반 작품을 중심으로 -

        이다운 ( Lee¸ Da-un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21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69

        본 연구의 궁극적 목표는 한국 텔레비전드라마가 여성인물을 어떻게 구현해 왔는지를 분석하고, 새로운 젠더적 가능성을 보여준 여성인물이 등장하는 텔레비전드라마를 분석하여 여성인물 재현의 변화 양상을 연구하는 것에 있다. 텔레비전드라마는 단순한 오락거리가 아니라 사회문화를 전달하고 구성하는 매개체이자 특정 대상에 대한 존재성을 구축하는 주요한 매체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텔레비전드라마에서 재현되는 여성인물과 그 기저에 있는 젠더의식의 실체를 규명하는 작업은 대중서사와 그 영향권 안에 있는 감상자가 여성에 대한 온전한 이미지를 구축하도록 하는 데 필요한 작업이다. 텔레비전드라마는 대중성과 상업성을 지향하면서도 심의 규정의 제한을 받기 때문에 보수적인 성향을 띠게 된다. 한국 텔레비전드라마 역시 상당히 보수적인 젠더의식을 표방해 왔으며, 특히 시대 변화에 따른 여성상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특정한 관념과 이미지로 여성을 한정한다는 점에서 오랫동안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그런데 가부장제 이데올로기 안에서 순응성과 여성다움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여성인물을 재현해 오던 한국 텔레비전드라마는 2010년 후반부터 변화의 가능성을 확장하기 시작한다. 2010년대 후반 이후 한국 텔레비전드라마에는 이전에는 보기 힘들었던 새로운 유형의 여성인물이 등장하고 여성을 재현하는 관점이 변화하거나 여성서사의 새로운 가능성을 체현하는 작품이 조금씩 증가하는 중이다. 예를 들어 <마녀의 법정>은 여성성과 남성성을 전복적으로 재현할 뿐만 아니라 한국 사회가 여성에게 얼마나 잔인한 곳인지를 보여줌으로써 ‘여성의 삶’을 적나라하게 고발한다. <멜로가 체질>은 한국 텔레비전드라마에서 만나기 힘든 독특한 캐릭터성을 가진 여성인물을 등장시키며 ‘여성 미시서사’의 가능성을 체현한다. 성차별적 언어 표현인 ‘미쓰리’를 전면화하여 낮은 신분의 여성을 향한 사회적 편견과 무관심을 일깨우는 <청일전자 미쓰리>는 이름을 상실한 채 미쓰리로 치부되는 평범한 ‘여성 청년’의 현실이 무엇인지를 보여준다. 나아가 이들 작품은 여성을 자신의 의무를 감당해 나가는 한 명의 사회인으로 재현함으로써 여성성에 관한 새로운 접근을 시도한다.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erform a comprehensive analysis on how television dramas in South Korea shaped female characters and also carry out a research on the possibilities of changes in female characters of television dramas by analyzing the problems and side effects based on the aspect of genders and television drama with female characters that show new gender possibilities. Television dramas are not just a source of entertainment, as it is a medium that delivers and forms social culture and an important medium to build the identity of specific subjects. Accordingly, verifying female characters in television dramas and the basis about gender awareness are required for public narrative and also to create an intact image about female for the viewers in the sphere of influence. Television dramas must aim for mass appeal and commercial potentials while it is restricted by broadcasting review regulations where it must satisfy the sentimental and ethical standards of all the members of families. For this reason, it inclines towards a conservative tendency. Korean television dramas also claimed to advocate conservative gender awareness and it was criticized for a long time because it did not properly consider the changes in female image based on the change of times and set limits for women by imposing specific ideas and images. From the late 2010s, Korean television dramas started to evade from the former emphasis on a chain of adaptability and femininity within the patriarchal ideology and expanded on the possibilities of changes. Ever since the late 2010s, Korean television dramas showed a trend of gradual increase in dramas with the emergence of new female characters that were hard to find before, changes in the perspectives about how women are portrayed, and personification of new potentials about female narratives. For instance, < Witch at Court > not only reenacts femininity and masculinity subversively as it shows how cruel the Korean society is to women and explicitly denounces the 'life as a woman.' < Be Melodramatic > introduces unique female characters that are uncommon in Korean television dramas and personifies the possibilities of female microscopic narrative. < Miss Lee > confronts the sexist remark 'Miss Lee' and also points out social prejudice about women with low status and indifference. This drama shows the reality of an ordinary young 'woman' discounted as Miss Lee instead of being called by her name. Furthermore, the drama expresses the female character as a member of the society capable of managing her personal responsibilities and attempts to make a new approach about women.

      • KCI등재

        세계 최장수 기업 곤고구미(金剛組)의 성립 배경에 관한 연구

        이다운(Da-un Lee),안윤숙(Yun-sook An) 한국경영사학회 2016 經營史學 Vol.79 No.-

        There are about 1078 long-lived companies in the world that have been in existence for over 200 years. Ten companies are over 1000 years old, and seven of them are Japanese companies. In particular, Kongo Gumi, which was founded in 578, is one of the best construction companies in the world. It has a history of 1438 years. Another reason why the company receives attention is that it was founded by a man from Baekje. Kongo Shigemitsu was a master builder, who was sent to Japan by King Wideok at Prince Shotoku`s request. He was originally sent to construct Shitenno-ji. After the temple was built, however, he remained in Japan and constructed Kongo Gumi in oder to keep it in accordance of Prince Shotoku`s command. Shitenno-ji was burnt down and destroyed several times, but it was rebuilt each time by Kongo Gumi as Prince Shotoku desired. Although there is no evidence in the official history of Japan that a master builder like Kongo Shigemitsu moved in Japan in 578, it is recorded in Nihonsyoki that a master builder was sent from Baekje to Japan in 577. Considering the difference in era by the principle used to define the first year of the King`s reign, it is believed that the master builder was Kongo Shigemitsu. Hoping that his royal family would thrive, King Wideok built Wangheung-sa. In the same year, he sent Kongo Shigemitsu to help the Japanese monarchy construct a temple for its prosperity. The Japanese monarchy may have asked for a master builder in order to strengthen its royal authority by building Japan`s first state-sponsored temples using high-technology. Unfortunately, however, there is no record of Kongo Shigemitsu in Baekje. It is, however, noteworthy that his name used the same Chinese characters as the name of Geumgangsaji (Temple Site) in Buyeo that was built in Baekje dynasty. 전 세계에서 200년 이상 존속하고 있는 장수기업은 약 1078개에 달하며, 1000년 이상의 기업도 10개나 현존하는 가운데 7개는 일본 기업이다. 특히 578년에 창업한 일본의 곤고구미(金剛組)는 세계 최장수 기업으로 1438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건설회사이다. 곤고구미가 주목을 받는 또 다른 이유는 창립자가 백제인이기 때문이다. 곤고 시게미쓰(金剛重光)는 쇼토쿠 태자(聖德太子)의 요청에 의해 백제 위덕왕이 파견한 사공(寺工)이다. 그 목적은 시텐노지를 창건하기 위해서인데, 완공 후에는 사찰을 지키라는 쇼토쿠 태자의 명에 따라 일본에 남아 곤고구미를 설립하였다. 시텐노지는 이후 여러 차례의 재난으로 소실 또는 붕괴되었지만, 그때마다 쇼토쿠 태자의 바람대로 곤고구미에 의해 다시 재건되었다. 그러나 정사에는 578년에 곤고 시게미쓰 같은 사공이 일본에 도래하였다는 기록이 없다. 하지만 『일본서기』에는 이보다 1년 앞선 577년에 사공이 파견되었다는 기록을 남기고 있어, 고대사에 흔히 나타나는 칭원법에 의한 연대 차이를 감안하면, 이때 파견된 사공이 곤고 시게미쓰로 판단된다. 위덕왕은 왕실의 흥성을 기원하기 위한 왕흥사를 창건하던 해에 일본 왕실도 사찰 창건을 통해 흥성하기를 바라면서 곤고 시게미쓰를 파견하였다. 또한 일본 왕실 입장에서도 백제의 하이테크 기술로 일본 최초의 관사(官寺)를 창건하고, 이를 통해 왕권을 강화할 목적으로 요청했을 것이다. 그러나 아쉽게도 곤고 시게미쓰가 백제에서 어떠한 인물이었는지에 대해 전하는 기록이 없다. 다만 백제시대에 창건된 부여 금강사지의 ``금강``과 이름이 같아 그 관련성이 주목될 뿐이다.

      • KCI등재

        직접파를 이용한 배경매질 유속정보 도출과 유속을 고려한 파형역산의 적용

        이다운 ( Dawoon Lee ),정우근 ( Wookeen Chung ),신성렬 ( Sungryul Shin ),배호석 ( Ho Seuk Bae )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 2017 지구물리와 물리탐사 Vol.20 No.4

        해상탐사에서 얻어지는 현장자료는 바람, 파도, 조류, 배경매질의 유속 등 다양한 환경요소에 영향을 받는다. 배경매질의 유속을 제외한 대부분의 환경요소는 자료처리 단계에서 적절한 보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배경매질의 유속정보가 파형역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배경매질의 유속정보를 고려하는 파동 방정식 모델링을 활용하여 관측자료를 생성하고, 생성된 자료를 통해 수치 실험을 진행하였다. 수치예제에는 다소 비현실적인 유속이 적용된 결과도 포함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탐사자료의 유속정보를 수치적 기법으로 도출하여 역산을 수행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수정된 Marmousi2 모델에 적용하여 유속에 따른 결과를 얻고자 하였다. 기존의 유속을 고려하지 않은 역산 결과와 제안된 알고리즘으로 수행한 역산 결과 비교를 통해 유속의 세기가 갱신되는 물성정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Field data obtained from marine exploration are influenced by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wind, waves, tidal current and flow velocity of a background medium. Most environmental factors except for the flow velocity are properly corrected in the data processing stage. In this study, the wave equation modeling considering flow velocity is used to generate observation data, and numerical experiments using the observation data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flow velocity on waveform inversion. The numerical examples include the results with unrealistic flow velocities. In addition, an algorithm is suggested to numerically extract flow velocity for waveform inversion. The proposed algorithm was applied to the modified Marmousi2 model to obtain the results depending on the flow velocity. The effect of flow velocity on updated physical properties was verified by comparing the inversion results without considering flow velocity and those obtained from the proposed algorithm.

      • KCI등재

        대학 글쓰기 수업 학습자를 위한 효율적인 자기소개서 교육 방안 연구: 오류 분석 및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이다운(Lee, Da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7

        본 논문은 글쓰기센터나 특강 등 연계 교육이 불가능한 현실에서 글쓰기 수업의 교수자가 자기소개서 작성법을 효과적으로 교육하기 위해 필요한 전략이 무엇인지를 연구하는 데서 출발한다. 대학 글쓰기 수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자기소개서 교육은 1-2주라는 짧은 시간 안에 지식을 전달해야 한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논문은 가장 효율적인 자기소개서 지도 방법을 이전 학습 자가 보편적으로 범한 오류를 미연에 방지하게 하고, 자기소개서의 장르적 특성을 명확하게 인지시켜 학습자가 전략적으로 글을 쓰도록 하는 것으로 판단했다. 이를 위해 2017-2018년 C대학에서 진행되었던 3개의 글쓰기 수업에서 수행된 총 110명의 자기소개서를 분석했다. 그 결과 학습자가 내용과 서술 그리고 형식 등에서 다양한 오류를 범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분석한 자료를 토대로 3시수로 진행되는 수업에서의 자기소개서 교수·학습 지도안을 고안한 뒤, 이를 2018년 2학기에 진행된 글쓰기 수업에 적용하였다. 자기소개서 교수·학습 지도안은 이전 학습자의 자기소개서 수행 분석 자료의 결과를 반영하여 학습자가 자기소개서 작성 과정에서 범할 수있는 오류를 최소화하고 효율적이고 주체적으로 전략을 설계하도록 고안했다. 또한 수업 이후에는 학습자의 과제와 교수자의 구체적인 피드백으로 자기소개서 교육이 완성되도록 했다. This paper starts from studying necessary strategies for writing class instructors to effectively teach self-introduction writing methods in a short time, as in reality, it is impossible to implement education connected to writing centers of special lectures. Self-introduction education in a university writing curriculum has limits in delivering knowledge in a brief time for one to two weeks. At this point in time, this paper considers that the most efficient self-introduction teaching method is to enable learners write strategically by preventing errors that former learners universally made, in advance and teaching genre characteristics of self-introduction clearly to them. For this study, self-introductions of a total of 110 learners in the writing class in 2017-2018 of C University were analyzed. It was found that the learners made diverse errors in the contents, descriptions, and formats. A self-introduction teaching and learning plan was devised so that learners could write a self-introduction which satisfies these purposes and characteristics and this was applied to a writing curriculum. Based on the result of former learners’ self-introduction analysis data, this self-introduction teaching and learning plan is focused on helping learners minimize errors that might occur while writing self-introductions and design strategies efficiently and independently. The instruction is then followed by a task for learners and instructor’s feedback to complete self-introduction education.

      • KCI등재

        유체-구조 연계해석을 통한 소형민수헬기(LCH) 공력 및 구조하중 해석

        이다운(Da-Woon Lee),김기로(Kiro Kim),이관중(Kwan-Jung Yee),정성남(Sung-Nam Jung) 한국항공우주학회 2019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47 No.7

        본 연구에서는 국내 개발 중인 소형 민수 헬리콥터(LCH)에 대해 유체-구조 연계 기법을 이용하여 로터 공력 및 구조 하중에 대한 고정밀 공탄성 해석을 수행하였다. LCH 로터는 일반적인 힌지형 로터와 달리 탄성체 베어링과 블레이드 상호 연계형 댐퍼 시스템을 탑재하였으며, 이에 대한 구조동역학 해석을 위해 CAMRAD-II 모델을 구축하였다. 주 운용조건인 전진비 0.28 순항조건에서 단일 로터 모델과 로터-동체 모델에 대한 유체-구조 연계해석을 수행하여 동체 모델링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동체 모델링이 로터의 하중 및 블레이드-와류 간섭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지만, 루트에서 발생한 와류가 동체 효과에 의해 꼬리 로터에 무시할 수 없는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수치적으로 확인하였다. 양력선 이론 기반의 구조동역학 해석 결과는 유체-구조 연계해석 결과와 대체로 부합하는 결과를 보였으나, 비정상 유동 예측 모델의 한계로 인해 공력 하중, 탄성 변위에 대한 peak-to-peak 크기를 낮게 예측하고 구조 진동 하중에서 주요한 위상 차이를 나타냈다. The airloads and structural loads of Light Civil Helicopter (LCH) rotor are investigated using a loose CFD/CSD coupling. The structural dynamics model for LCH 5-bladed rotor cwith elastomeric bearing and inter-bladed damper is constructed using CAMRAD-II. Either isolated rotor or rotor-fuselage model is used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fuselage on the aeromechanics behavior at a cruise speed of 0.28. The fuselage effect is shown to be marginal on the aeromechanics predictions of LCH rotor, though the effect can be non-negligible for the tail structure due to the prevailing root vortices strengthened by the fuselage upwash. A lifting-line based comprehensive analysis is also conducted to verify the CFD/CSD coupled analysis. The comparison study shows that the comprehensive analysis predictions are generally in good agreements with CFD/CSD coupled results. However, the predicted comprehensive analysis results underestimate peak-to-peak values of blade section airloads and elastic motions due to the limitation of unsteady aerodynamic predictions. Particularly, significant discrepancies appear in the structural loads with apparent phase differences.

      • KCI등재

        소규모 건설프로젝트에서 현장관리업무 개선방안

        이다운 ( Lee Da-un ),윤석헌 ( Yun Seok-heon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8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18 No.1

        2017년 2월부터 개정된 건축법에 의해 소규모 건축 프로젝트에 현장관리인을 투입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의 업무능률 향상을 위하여 이론 고찰을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고, 현장관리인의 보다 나은 업무 진행을 돕고자 현장 감리 업무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체크리스트를 대상으로 전문가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소규모 비상주감리 현장관리를 위한 체크리스트를 작성하고자 하였다. 또한 작성된 체크리스트를 기반으로 하는 현장관리시스템의 활용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BIM기반의 현장관리 시스템을 활용하면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이슈에 대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가능하여 프로젝트를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ince February 2017, site managers in small architectural projects are required by the revised building act. In order to address issues for site managers and to improve project efficiency, system improving methods are surveyed and proposed in this study. The key inspection items in the existing surveillance guidance manual were investigated, and the checklist for site managers for a small to medium sized construction site was analyzed. This study also tries to propose using web-based site management systems for improvement of the utilization of checklists. It is expected that these on-site management systems, along with BIM technology, will be able to monitor the small size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 in real time and effectively monitor the various problems occurring on-site.

      • KCI등재

        한국 TV드라마와 출생의 비밀

        이다운 ( Lee Daun ) 한국언어문화학회 2016 한국언어문화 Vol.0 No.60

        Korean TV dramas have sticked to blood ties, which is difficult to be seen from western or other Asian TV dramas. Secret of Birth, for example, the target for revenge is revealed to be a family member or a loved one is a half brother/sister have been handled in Korean TV dramas. As a result, expectation for Korean TV dramas and their dramatic level have declined, of course, and the negative recognition that “Korean TV dramas always form their dramatic conflicts in a similar way and also end in a similar way” has been reinforced. With the flooding of Secret of Birth, impure works reinforcing distorted notion continued to be created, which is also a problem. Now, such an easy composition of drama relying on the repetition of particular theme must be stopped for the future of Korean TV dramas. Creator’s sense of responsibility that TV dramas represent public sentiment should also be strengthened.

      • KCI등재

        악의 서사화와 정당화된 악 - 영화 <조커> 연구 -

        이다운 ( Lee Da-un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학연구 Vol.59 No.3

        악의 서사화는 개인과 사회 그리고 스토리텔링에 일련의 이익을 선사한다는 점에서 독특한 의의를 지닌다. 희대의 악으로 캐릭터화된 조커를 다시금 호명한 토드 필립스의 <조커>(2019) 역시 악의 서사화에 동참하여 대중의 호기심을 자극한 영화다. 특히 <조커>는 슈퍼 히어로인 배트맨에 대적해 온 조커가 왜 빌런(villain)이 되었는지를 재구성하며 전례없던 방식으로 악을 서사화한다. <조커>는 그동안 미디어가 범죄자를 악의 화신으로 규정하고 그들에게 또 다른 권력을 부여한 수많은 사례를 상기하게 하는 작품이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조커>를 논리적으로 분석해 보아야 하는 이유다. 가해자를 신화화하는 미디어처럼 평범한 인간이 외부 요인으로 인해 광기의 악마로 거듭난다는 방식으로 악을 서사화하는 <조커>는 조금 더 면밀한 방식으로 탐색해야 할 의무가 있는 대상이다. 슈퍼 히어로 영화에서 빌런은 그들이 왜 악을 추구하게 되었는가보다악을 추구하는 목적과 행위 자체에 초점을 두어 형상화된다. 즉 빌런과 내적 친밀도가 강화될 만한 상황이나 설정을 의도적으로 축약하는 것이 슈퍼 히어로 영화에서 악을 서사화하는 방법 중 하나다. 그런데 <조커>는 일종의 불문율을 깨고 아서 플렉이 빌런 조커로 각성하게 되는 원인과 과정 자체를 서사의 중심에 놓는다. 중요한 점은 <조커>가 빌런의 기원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악이 연민과 환호의 대상일 수 있다는 시선을 견지한다는 사실이다. <조커>는 아서 플렉을 빌런으로 각성케 하는 원인을 개인·가정·사회적 문제로 다양하게 제시하고 아서 플렉을 더할 나위 없는 가련한 존재로 형상화하는 데 주력한다. 그리고 종국에는 빌런을 부정한 세상을 나름의 방식으로 심판하는 프로파간다로 그려낸다. 결론적으로 <조커>는 악을 정당화하고 우상화하기 위해 서사적 패착과 윤리적 위험성 그리고 시리즈물 캐릭터의 오염이라는 부작용을 초래한 영화라 할 수 있다. The narrative of evil holds unique significance because it presents a series of benefits to individuals, the society, and storytelling. The film < Joker >(2019) by Todd Phillips, which pointed to Joker, a character described as a notorious villain, joined in the narrative of evil and stimulated curiosity of the public. In particular, < Joker > reconfigured the story to why Joker, the villain that stood against Batman, a super hero, ended up as a villain and presented a narrative of evil as an unprecedented method. < Joker > is a work of art that recalls on many cases where the media defined villains as the embodiment of the evil and also authorized other powers. This is the reason why a logical analysis about < Joker > is required. Just like how the media mythifies the villains, < Joker > provides a narrative of evil that humans reforms into the crazy devil due to external factors, and it can be said that it is a subject that should be explored with a more in-depth method. In super hero films, the embodied focus is placed on the intention and actions of the villains to pursue the evil rather than why they ended up chasing down the evil. In other words, one of the ways of presenting a narrative of evil in super hero films is by intentionally encompassing the situations or settings that could reinforce the inner level of closeness with the villains. However, < Joker > broke the series of unwritten rules and fixed the focus of the narration to the reason of awakening for Arthur Fleck as Joker and also the progress. The important fact is that < Joker > maintains the perspective that the evil can be the subject of sympathy and acclamation during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the origin of the villain. < Joker > suggests various personal, family related, and social problems as the cause of turning Arthur Fleck into a villain and concentrates on projecting Arthur Fleck as the most pitiful person. In the end, the film presents a form of propaganda by judging the world for denying the villains. In conclusion, < Joker > is a film that led to the side effects such as narrative failure, ethical risks, and tainted characters in the film series in order to justify and idolize the evil.

      • KCI등재

        조소혜 드라마 연구 - 신파적 비애와 보수적 미덕의 상응 -

        이다운 ( Lee Da-un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7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55

        본 논문은 텔레비전드라마 작가인 조소혜의 작품세계와 극작술을 분석하고, 9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조소혜의 작품이 대중에게 호응을 받은 원인이 무엇인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1984년 텔레비전드라마 작가로 데뷔한 조소혜는 <그해 겨울은 따뜻했네>와 <희망> 그리고 <억새바람> 등의 작품을 통해 사랑과 인생에 관한 깊이 있는 사유를 보여주었고, 서른 편 이상의 단막극을 집필하며 새로운 이야기를 보여주려는 시도를 멈추지 않았다. 90년대 중반 주말드라마 <젊은이의 양지>를 통해 전성기를 맞이한 조소혜는 이후 다섯 편의 주말드라마를 연이어 창작하며 작가로서의 입지를 굳혀나가게 된다. 그중 <첫사랑>은 한국 텔레비전드라마의 시청률 조사가 이루어진 이래 가장 높은 시청률을 기록한 작품으로 국민적 사랑을 받았다. 이처럼 조소혜는 8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텔레비전드라마 작가로 활동하며 유의미한 자취를 남겼지만 그의 작품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는 부재한 상황이다. 그러한 까닭에 조소혜의 작품은 언론이나 대중에 의해 단편적인 회상 수준으로만 논의되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 텔레비전드라마 작가로서 유의미한 흔적을 남긴 조소혜의 대표작을 중심으로 조소혜가 추구했던 세계관과 극작술의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조소혜는 누구나 인생의 장애물을 극복하고 성공할 수 있다거나 인생은 아름답고 희망적이라는 낭만적 판타지를 제시하기보다, 벗어나기 힘든 삶의 고통과 무게를 형상화하는 데 주력했다. 특히 조소혜는 빈곤의 무대화를 통해 한국인의 신파적 정서를 자극했으며 순정이나 순수, 이타와 희생 같은 보수적이고 도덕적인 미덕을 강조하는 세계관을 보여주었다. 또한 조소혜가 추구했던 비애의 정황과 보수적 세계관은 위로와 카타르시스 그리고 연민과 공감을 제공하며 당대 대중의 호응과 지지를 얻었다. From her debut in 1984 until the moment right before her death from liver cancer, Cho Sohye was a committed prolific TV dramatist. In particular, the < First Love > recorded the highest viewership since the commencement of the audience rating survey of Korean TV dramas, and was sensational across the nation to the extent that it has been mentioned to the present. Although she left a significant mark as a TV dramatist for two decades from the 1980s to the early 2000s, Cho Sohye and her works have not been well-documented but anecdotally recollected by media or the public. Still, Cho Sohye deserves to be noted further than just remembered as a `dramatist eminent in the 1990s` or one of the `most-watched and highest-rated dramatists`. Thus, the present paper focuses on Cho`s representative TV dramas that have left significant footprints to shed light on the world view and dramaturgic aspects she pursued. Cho did not portray a romantic fantasy that anyone could overcome obstacles in life and succeed or life is beautiful and hopeful but represented persistent adversities and hardships of life. Notably, Cho Sohye stimulated Koreans` histrionic sentiment by dramatizing poverty, while depicting the world view emphasizing such conservative and moral virtues as `innocence` and `altruism`. This paper ponders upon the determinants underlying the popularity of Cho Sohye`s dram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