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몬드리안 작품을 모티브로한 그리드모듈 구성의 헤어아트 작품 연구

        이길하,임희경 한국미용학회 2019 한국미용학회지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artistic development by combining the hair art works with the interior accessories to express modern lifestyle. By researching and studying the method and scope of the study are based on the various works of Mondrian and other works applying Mondrian’s method,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Grid 's textual structures and types in the consonants and vowels of Hangeul based on the compositional expression of Mondrian has been analyzed. Korean traditional crafts, the pattern of hanok 's inquiry, modrian' s trichromatic color and Ohbangsaek, and the composition of the open and closed grid of Hangul was linked with Mondrian works. In the process of creating of the art work, patterned Styrofoam and colored hair were cut and glued, and then paint work was done on the work.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possibility of visual art from making a hair art that combines the Ohbangsaek and the Hangul grid with the motif of Mondrian's work which is possible to redesign the Mondrian work by making the cube of the hair which is the fine line rather than the drawing of the brush, was found. This study shows the hair art work which is linked to hair art work hangul grid module structure. From the next study, I hope many further studies to be proceeded in various point of view.

      • KCI등재

        “The Rock Was Christ”: 1 Cor 10:4b–c as Pauline Challenge of the Corinthians’ Understanding of Wisdom

        이길하 한국기독교학회 2018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09 No.-

        This paper argues 1 Cor 10:4b–c was written to counter the Corinthians’ understanding of wisdom by modifying the Alexandrian rock tradition (Philo, Leg. 2.86; Wis 11:4) that understood the rock as Wisdom to an understanding of the rock as Christ. Realizing Paul’s modification of the Alexandrian tradition uncovers the implied message in v. 4b–c. It is a calling for the puffed–up Christians in the church of Corinth to put down their false wisdom, which provoked grave quarrels and divisions in the church and follow the path of Christ, the personified Wisdom of God (1:24, 30) as revealed on the cross (1:18–25), represented as the love of one’s brothers and sisters and surrendering one’s right.

      • KCI등재

        토지피복도와 구글어스를 이용한 백두산의 화산성 홍수에 의한 피해범위

        이길하,김성욱,최은경,이규환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4 국제지역연구 Vol.18 No.3

        This study calculated the extent of damages by utilizing 5 volcanic flooding scenarios in the Mt. Baekdu area by a numerical prediction model. Inventories of the affected area was built by utilizingland cover map and google earth images. The scenario having the widest extent of damages due to volcanic flooding was the case where thecollapse ratio was rated at k=100m/hr(scenario 5), and the urbanization/dry area according to thelnad cover classification system registered 2.89㎢, the agricultural area 71.17㎢, the grassland 78.91㎢,the water zone 3.42㎢, and forest area 671.44㎢. The forest area is showing the widest distribution. In the land cover map was made with a resolution of 1 km, the downtown distributed area wasunclear. We were re-calculated using the google earth images. As a result, the area of the urban areawas calculated as a maximum of 28.4km. 본 연구에서는 백두산 지역에서 수치예측모형으로 만들어지는 대표적인 5가지 화산성 홍수 시나리오를 활용하여 시나리오별 피해범위를 산정하고, 대상지역에 대한 인벤토리 구축을위하여 토지피복도와 구글어스를 활용하였다. 화산성 홍수에 의한 피해 범위가 가장 넓은 시나리오는 붕괴율 k=100m/hr 일 경우로써 토지피복도 분류상 시가화/건조지역은 2.89㎢, 농업지역은 71.17㎢, 초지는 78.91㎢, 수역은 3.42㎢, 산림지역은 671.44㎢로 산림지역의 분포가 가장 넓게 나타났다. 그러나 토지피복도의 경우 1km의 해상도로 작성되어 있어, 구글어스 영상을 이용하여 도심지의 분포지를 재확인 하였다. 그 결과 도심지의 면적은 최대 28.4㎢로 계산되었다.

      • KCI등재

        에어브러시를 이용한 색채감성의 배색표현에 관한 연구: 뷰티작품 사례를 중심으로

        이길하,임희경 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 2023 미용예술경영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에어브러시 기구의 이해와 에어브러시 기법을 이용한 다양한 채색 및 뷰티작품에 활용된 사례를 파악하였으며 에어브러시를 적용한 색채감성의 배색표현이 창의적 작품 구상에 폭넓게 응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작품의 색채계획 의도와 에어브러시를 통한 색채감성의 배색표현을 분석하기 위해 작품제작에 직접 참여와 심사, 참관하였다. 2017~2021년 에어브러시를 활용한 메이크업, 헤어, 일러스트레이션 분야의 아티스트 작품과 국내 미용학부, 아카데미 전공자의 전시, 졸업작품, 대회작품 중에서 비교적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작품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작품은 Munsell conversion (Ver.12.1.4)과 KSCA(Korea Standard Color Analysis)를 통해 8색 이하의 색상 수로 단순화하여 색채분석과 배색표현을 연구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에어브러시를 활용한 색채감성의 배색표현은 메이크업 작품에서는 기술적인 조화감과 감성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환타지 메이크업 작품과 대회 메이크업 작품은 다양한 색상이 사용되었으며 각각의 색상들이 주제를 표현 할 경우 화려함을 더하거나 색감의 구분을 위해 세퍼레이션(Separation) 기법을 활용한 블랙과 흰색의 사용을 많이 볼 수 있었다. 헤어아트 작품은 머리카락과 그 외 다양한 오브제를 활용한 작품이 많았으며 에어브러시를 통한 넓은 부분의 채색과 미숙한 부분을 보완하는 곳에 활용도가 높았다. 마스크 및 일러스트레이션 작품의 경우는 회화적 기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 분야로 나타났으며 에어브러시 기법 활용이 매우 다양하며 다채로운 색채를 활용하여 여러 색채 감성을 창조할 수 있는 분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에어브러시를 활용한 색채감성의 배색표현과 효과에 대한 자료는 향후 뷰티전공자의 색채 구성과 에어브러시를 활용한 작품 제작에 많은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경기만 유역의 기준 증발산량 산정을 위한 Hargreaves 공식의 보정 및 검정

        이길하,조홍연,오남선 한국수자원학회 2008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1 No.4

        기상자료가 부족하거나 결측 지역의 기준 증발산량 산정을 위하여 Penman-Monteith (PM) 공식을 이용한 Hargreaves 공식의 매개변수 추정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만 유역에 위치한 강화, 인천, 수원, 서산, 천안의 1997년2004년 기상자료를 바탕으로 PM 공식을 이용하여 계산한 기준 증발산량(이하 ETo)을 이용하여 Hargreaves 공식의 매개변수를 추정하였으며, 추정된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2005년2006년의 It is essential to locally adjust the Hargreaves parameter for estimating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with short data as a substitute of Penman-Monteith equation. In this study, evaluation of daily-based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is computed with Harg

      • KCI등재
      • KCI등재

        광역 기온자료를 이용한 국지 수온 추정오차 비교 분석

        이길하,조홍연 한국수자원학회 2011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4 No.4

        미래 기온변화 정보를 제공하는 General Circulation Model (GCM) 자료, 즉 광역 기온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국지 수온변화를 추정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지수온 추정은 마산만, 시화호, 낙동강 하구를 대상으로 Two-step 접근방법과 One-step 접근방법을 적용하여 각각의 추정오차를 비교 분석하였다. Two-step 추정방법은 광역 기온으로 국지기온을 추정하는 제1단계에서는 선형회귀분석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모든 지점에서 A local or site-specific water temperature is downscaled from the nation-wide air temperature that represents simulation by General Circulation Model (GCM). Both two-step and one-step method are tested and compared in three sites: Masan Bay, Lake Sihwa, 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