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佛敎와 四象醫學의 ‘醫’ 개념 - 天台 止觀書와 李濟馬의 東醫壽世保元에 나타난 病因論을 중심으로 -

        이기운 한국선학회 2012 한국선학 Vol.31 No.-

        본고는 불교와 의학의 融合을 통한 心身치유라는 연구과제의 일환으로 계획된 것이다. 연구 범위는 불 교에서 비교적 의학적 주장이 뚜렷한 天台의 醫學論과 四象醫學을 제창한 李濟馬의 의학론을 살펴보 았다. 먼저 이들의 의학적 토대를 알아보기 위하여 의학론의 대강을 살펴보고, 양쪽 인간의 신체에 대 한 입장과 병인 발생하는 원인을 비교해 보았다. 신체관에서 보면, 천태는 자신의 행위인 業이 心識으로 작용하고 色身의 四大에 들어가 있어 五臟 六 腑를 형성하고 그 장부(臟腑)사이에는 陰陽五行의 작용으로 신체 형성에 영향을 주고 있다. 이제마 또 한 장기가 형성되는데 있어서 음양이 장부의 長短에 영향을 주어 사상의 신체를 구성한다고 하고 있다 . 인체의 병이 발생하는 원인에 대해서 천태는 인체를 구성하는 사대가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지대 화대 수대 풍대의 기운이 커지거나 작아짐으로써 몸에서 균형이 깨져서 병이 발생한다고하였다. 그 외에도 음식을 조절하지 못함, 업보, 좌선불순, 귀신이나 魔의 작용을 들고 있다. 이에 비해 이제마는 인간이 하늘로부터 받은 四端의 성품에 喜 怒 愛 樂의 감정이 결합되어 있는데 욕심이 일어나면 四象體質에 영향을 주어 이들 신체기관의 크기와 고유 성질이 상충하여 오장의 손상을 가져와 병이 발생한다는 심 정 위주의 병인론을 들고 있다. 한편 천태는 인체의 형성과 병의 원인이 자신의 선악의 행위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업설을 바탕으로 一 念心에 의해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행위지표를 제시할 수 있다는 점이 잘 나타나고 있으며, 이제마는 희노애락의 심정의 변화가 어떻게 장부의 병인에 영향을 주는지 병인론의 구체성에서 자세히 설명하 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양가의 의학론을 잘 융섭하므로써 인간 병인의 예방과 치유에 어떤 단초를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is article is designed as part of the research assignment in pursuit of the cure of body and mind through combined efforts to integrate Buddhism and medicine. The scope of this investigation is restricted to both Tiantai(天台)’s Theory of Medicine, which contains Buddhist opinions on medicine relatively clearly, and Lee Jema(李濟馬)’s Theory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To trace the medicinal bases of both theories, the present author compared the perspectives of the two theories as to the human body and the causes of disease. As to the perspectives on the human body, Tiantai presented his theory as follows: The karma, which is one’s actions, works as his ‘mind and its contents(心識)’. The karma, inherent in the Four Great Elements(四大) of the body, influences the formation of the five viscera (i.e., heart, liver, spleen, lungs and kidneys) and the six entrails (i.e., gall bladder, stomach, small and large intestines, the paunch, the bladder and the bowels). Among these internal organs, Taoistic ‘Yin- Yang and Five Elements(陰陽五行)’ further function and influence the formation of the body. According to Lee Jema’s Dongui suse bowon (東醫壽世保元) The Korean Medicine for Long Life by Preserving Original Nature, He also advocated that in the formation of the internal organs, the Yin -Yang influences the length of the internal organs, and thus results in the Four Types of the bodies. The next topic is the causes of disease. Tiantai said that disease arises out of the disturbances to the body’s state of equilibrium. This is especially so when the Four Great Elements, which constitute our body, are out of harmony with each other, because the energy of the earth element, fire, water and wind becomes bigger or smaller. Not only that, there are other causes of disease like inability to control what one eats, karma, erroneous sitting meditation, the action of ghosts, and evil demons. On the contrary, Lee Jema brought forth the emotion-oriented causes of disease. From the Four Beginnings(四端) granted by heaven, according to Lee, emotions like ‘joy, anger, sorrow and pleasure(喜怒愛樂)’ and desires arise. These factors have an effect on the Sasang Constitutions( 四象體質), while causing disharmony between the internal organs. This disharmony leads to the damage of the internal organs, and ends in disease. Tiantai demonstrates ethical aspects, in the formation of the human body, by listing specific standards of good and evil actions which influence the formation of the human body. On the other hand, Lee Jema, in his discussion of the causes of disease, makes a close explanation of how changes in emotions like joy, anger, sorrow and pleasure cause organ disease. Consequently the author expects to be able to suggest some clues to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isease by interpenetrating both theories of medicine.

      • KCI등재

        『육묘법문』에서의 호흡법 양상과 수행

        이기운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7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2

        Indeterminate meditation(不定止觀) refers to the Cessation and Observation(止觀;) method without certain stages or order such as hierarchy, suddenness-gradualness, front and rear, shallow and deepness, or cessation and observation; but rather is practiced without formality fitting to the stamina of the practitioner. In the 『Six Wonderful Dharma Gates(六妙法門)』, which are indeterminate meditation, the six practices of breath-counting meditation(數息)․breath-flowing meditation(隨息)․cessation(止)․observation(觀)․dedicaton of merit(還)․pure(淨) are used as a series of asceticism practice in order to practice the 10 chapters(or stages). Of the six practice methods, the 1stbreath-counting meditation(數息) and the 2ndbreath-flowing meditation(隨息) are actually breathing methods, and those after that can be said to be stages of practice for the mind using these breathing methods. Bujeongjigwan operates these six practice methods through 10 chapters, if one practices causal action(因行) of the nine doors, the results is they reach the 10th jeungsanggate(證相門). For symptoms there are four which are chajejeung(次第證), hojeung(互證), sunjeonjeung(旋轉證), and complate and immediate evidence(圓頓證). In the practice of the Six Wonderful Dharma Gates, chajejeung is enlightenment through realization of truth through a gradual vipassana practice, hojeung and sunjeonjeung are enlightenment through realization of truth through bujeongjigwan practice, and the wondonjeung can be seen as enlightenment through realization of truth through wondonjigwan practice, so we can say that the form of all three jigwan are included. In addition, this practice can be comparable to practice using textual teaching of Tripitaka, Tientai practices, differentiated Bodhisattva teaching for the lesser minded practices, and comprehensive teaching (weongyo) practices. Seen in this way the breath-counting meditation(數息) and breath-flowing meditation from the 『Six Wonderful Dharma Gates』 is an asceticism practice method composed of the three types of chaje, bujeong, and wondon; and can be said to be a practice method that includes the practice methods of the four teachings(四敎). As a result, we can see that using the six practice methods in 10 chapters (actually 9 chapters) is an indispensable practice method to achieve enlightenment by opening various meditation practice methods through various ways to match the various stamina levels of practitioners. 부정지관(不定止觀)이란 일정한 계위, 돈점, 전후, 얕고 깊음, 내지 지관 등의 일정한 단계와 차례가 없이 수행자의 근기에 맞게 격식에 매이지 않고 닦는 지관(止觀)법을 말한다. 부정지관인 『육묘법문(六妙法門)』에서 수식(數息)·수식(隨息)·지(止)·관(觀)·환(還)·정(淨)의 여섯 수행법을 일련의 수행체계로 하여 10장으로 닦도록 하고 있다. 여섯 수행법 중에서 제1의 수식(數息)과 제2의 수식(隨息)이 실제적인 호흡법이고, 이후는 이 호흡법에 의한 마음의 수행단계라고 할 수 있다. 부정지관은 이 여섯 수행법을 10장으로 운용하는데, 9장의 인행(因行)을 닦으면 그 결과 제10 증상문(證相門)에 이른다. 증상에는 다시 차제증(次第證), 호증(互證), 선전증(旋轉證), 원돈증(圓頓證)의 넷이 있다. 육묘법문의 수행에서 차제증은 차제지관적인 수행의 증득이고, 호증과 선전증은 부정지관적인 수행의 증득이며, 원돈증은 원돈지관적인 수행의 증득으로 볼 수 있어서 세 지관의 모습이 다 들어 있는 셈이다. 또한 이 수행은 장교적 수행, 통교적 수행, 별교적 수행, 원교적 수행에 배대할 수 있다. 이렇게 보면, 『육묘법문』은 수식(數息)과 수식(隨息)을 차제 부정 원돈의 세 가지로 닦아 이루어지는 수행법이며, 사교(四敎)의 수행법이 모두 들어있는 수행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결과 여섯 수행법을 10장으로(실제는 9장) 활용함으로써 다양한 방법으로 다양한 근기들에게 갖가지 선정 수행법을 열어서 불도에 들어가게 한 요긴한 수행법임을 보여준다.

      • KCI등재

        雪岑의 護法論 - 『雜著』十章文을 중심으로 -

        이기운 한국선학회 2005 한국선학 Vol.12 No.-

        설잠(속명 김시습)은 조선초 유 불 도 삼교에 능통한 승려다. 그는 삼교에 관한 다양한 저술을 남기고 있어서 불교 외에 유교론이나 도교론적인 주장도 적지않다. 여기서는 이중에서 雜著』 10章文을 중심으로 그의 佛敎擁護論의 입장을 고찰하고자 한다. 설잠의 호불론은 조선초 숭유억불속에서 유생들의 배불론이 사회적 주류를 이루고 있을 때 이에 맞서 불교와 유교가 서로 상통하는 면이 있고, 때로는 불교가 유교보다 우월함을 밝히고 있다. 그는 잡저』 10장문의 호법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교와 불교의 상통성에 대해서는 유교의 인륜도덕과 불교의 자비실천 덕목들이 인의와 자애를 바탕으로 하고 있어 서로 상통함을 밝히고 있다. 둘째, 불교의 우월성을 논한 내용으로는 유교의 군자는 임금과 창생을 위한 세속의 도리로 공명과 이익을 추구하는데, 불교의 고승은 三有와 四生을 허망한 것으로 보아 군자의 도리인 인륜의 작용도 결국 마음의 활용이라고 하여 불교의 우월성을 밝히고 있다. 셋째, 올바른 불교신행에 대해서는 중국 역대 황제의 신행을 예로 들어 양무제와 북위황후는 불교의 방편에 치우쳐 인애를 다하지 못했으니 사치와 헛된 사욕으로 善政이 이뤄지지 못했다고 하면서, 이는 불교 자체의 문제가 아니라 이를 운용한 황제들의 잘못된 신행이 기인함을 밝혔다.넷째, 고승의 정치참여에 대해 설잠은 고승들은 세속을 떠나 도를 닦기 때문에 속세의 환경과 달라 세속정치에는 맞지 않는다는 주장이다.이와 같이 설잠은 선대 함허(涵虛)의 유불일치설에서 나아가,불교 신행의 잘잘못을 해명하고 올바른 신행을 강조하므로써 당시 불교의 우월성과 배불론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기하였다.이와 같이 설잠은 선대 涵虛의 유불일치설에서 나아가, 불교 신행의 잘잘못을 해명하고 올바른 신행을 강조하므로써 당시 불교의 우월성과 배불론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기하였다.설잠은 조선초기 生六臣의 節義의 선비로 유가에서도 추앙되었고, 탁월한 시문의 거장으로 후대 유학자들에게 칭송받았다는 점에서 그의 호불론은 조선시대 학계에 커다란 반향을 일으켰으리라 여겨진다.

      • KCI등재후보

        西山大師 休靜의 法華經 수용과 신행

        이기운 한국선학회 2006 한국선학 Vol.15 No.-

        Saint Seosan, Huejeong's accommodation of the Lotus Sutra and religious works 휴정의 법화경 수용은 그의 스승으로부터 전해진 것이었다. 전법의 스승이었던 부용영관과 법조였던 벽송지엄의 행적에서 법화경을 수용하여 교화한 것을 보여준다. 이들 두 스승이 법화경을 인용하여 禪法門을 폈고, 이를 서산대사 휴정에게 교화함에 따라 휴정의 법화신행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을 것이다. 그 법화사상은 방편을 열어 진리에 들어가는 일불승 법문이었다고 할 수 있다. 휴정은 捨敎入禪의 禪法을 폈으나, 법화신행의 일면도 보여준다. 그는 법화경을 간행하는 疏를 쓰고 있고, 각종 경찬 법석 불교의식, 그리고 천도의식에서 법화경을 독송하였다. 또 그의 사리신앙도 법화경 사리공양에서 나온 것이었다. 특히 청허집 부록의 영혼을 맞이하는 의식인 영혼식에는 법화경에서 설하는 삼보가 모셔져 신행되었다. 그밖에 여러 전적에서 법화경의 비유를 들어 禪의 이치를 설명하고 있어 법화경을 禪으로 회통하고 있다. 이로써 서산대사 휴정의 법화신행은 조선 중기 무종파 시대 이렇다 할 법화경의 교학적 발전이 눈에 띄지 않는 가운데서도, 경을 간행하고 법석 불교의식 등으로 신행한 법화신행의 중요한 일면을 보여준다.

      • KCI등재

        데살로니가전서 5장 1-11절에 나타난 “빛의 자녀”의 의미 고찰: 아모스 5장 18-20절과 쿰란 문서에 비추어서

        이기운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19 신약연구 Vol.18 No.2

        This study examines Paul’s major thrust in 1 Thessalonians 5:1-11, which is located in the apex of this letter’s paraenetic part. In this text, the expression, ἡμέρα κυρίου (the Day of the Lord) is a significant rhetorical (discursive) situation in which the fate of outsider and insider is contrasted and thereby intends to shape the community’s identity and ethos. The first century Thessalonica having a status of “civitas libera” relied on the “peace” and “security”; this slogan indicates that they had privileges of economic prosperity and political stability brought by the Roman Empire. However, the Day of the Lord would betray their expectation of peace and security since the Day would bring sudden destruction upon them (5:3). On the other hand, the Thessalonians believers are not in “darkness” since they would not be affected by God’s wrath on the eschaton; God destined the believers to obtain salvation through Jesus Christ (5:9). Prominently, Paul describes the identity of the Thessalonians as “Children of Light.” Unfortunately, many Thessalonian commentators and scholars have understood the light metaphor merely in an ethical sense. But this study argues that this metaphor is more inclusive, connoting the believers’ sense of belonging, spiritual status and a realm where God’s wrath does not affect, and ethos. In particular, the implication of the metaphors (light and darkness) would be clarified by focusing on the similarities between our text and some probable Jewish backgrounds behind them. Specifically, the implication of two contrasting groups in this Paul’s letter can be illuminated by comparing with Amos 5:18-20 and the expression of “sons of light” (בני אור) in some Qumranian documents. Appreciating the similarities with the documents would lead interpreters to identify more inclusive implication of the light metaphor. 본 연구는 데살로니가전서의 권면부(4-5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5장 1-11절에 드러난 바울의 주요 논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주어진 본문에서 바울은 “주의 날”(ἡμέρα κυρίου)에 외인(비신자)과 내부 공동체(신자)가 직면할 상반된 최후 결말을 대비시킴으로써 데살로니가 신자들의 정체성 및 에토스 형성을 하고 있음을 밝혀내고자 한다. 외인(비신자)들은 “평안”과 “안전”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전망하였는데, 고대 데살로니가는 로마 제국이 부여한 “자유 도시”(civitas libera)로서의 지위를 누리면서, 경제적 번영과 정치적 안정에 의존했다. 그러나 주의 날이 임할 때, 실상은 그들의 기대와 달리 해산의 고통과 같은 갑작스러운 멸망의 결과를 마주하게 될 것이다(5:3). 한편, 바울은 데살로니가 신자들이 주의 날에 임할 하나님의 진노를 받지 않을 것이라고 이야기하면서 신자들의 정체성을 “빛의 자녀들”로 명시한다. 바울이 보여주는 “빛”과 “어둠” 은유가 가지는 함의에 관하여, 지금까지 대부분 데살로니가전서 주석가들이나 학자들은 “빛”과 “어둠”의 은유가 단순히 도덕적인 함의를 내포하는 것으로 여겨왔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이 은유들이 단순히 도덕적인 함의를 넘어서, 신자들의 총체적이며 전인적인 특성, 즉 그들이 속해 있는 영역, 그들의 존재론적 정체성과 에토스를 나타내기 위함이라고 주장한다. 특별히, “빛의 자녀들”이라는 은유가 반향하는, 개연성 있는 유대적 배경들과 본문 간의 유사성에 주목함으로써 어떻게 그 반향들이 이 은유들의 포괄적 함의를 뒷받침하며, 본문의 논지를 분명히 세워가는데 있어서 기여하는지에 대하여 살펴본다. 구체적으로, 본문에 나타나는 두 상반된 집단을 가리키는 이 은유들은 구체적으로 아모스 5장 18-20절에 나타나는 “빛”과 “어둠”의 대조와 쿰란문서에 등장하는 “빛의 자녀”의 개념에 의해 명확해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 두 상반된 개념이 구약에서 사용된 용례들과 다른 몇몇 유대적 배경들과의 연관성을 짓는 것이 본문의 논지를 밝혀내는데 있어서 중요하다. 단순히 본문에 반향된 유대적 배경에 대한 가능성 자체를 논하는 차원을 넘어서, 유대적 배경들과 본문에 드러난 저자의 논지 사이의 연결성을 확립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KCI등재후보

        Is James 2:1-7 Simply a Moral Teaching?

        이기운 개혁신학회 2023 개혁논총 Vol.63 No.-

        James’ rebuke of showing partiality in James 2:1-7 cannot be considered a mere Jewish moralistic exhortation. Scholars pay attention to the similarity between James 2:1-7 and Jewish moral traditions. Even if the documents are commonly based on Leviticus 19:15, James 2:1-7 does not merely reiterate Jewish moral tradition. A distinct feature is that James’ exhortation against favoritism is primarily connected to the readers’ Christological faith and their identity as believers. Scholars have debated as to whether the phrase πίστις κυρίου is “faith in Christ” or “faithfulness of Christ.” Unfortunately, statistical analysis of the genitive construction cannot be a significant clue to our decision. Rather, this study attempts to find evidence that substantiates the phrase τὴν πίστιν τοῦ κυρίου could be interpreted as “faith in Christ” considering the context of James 2:1-7. Although there is no direct mention of Jesus, euphemistic references to Jesus, such as “glory” and “the honorable name,” fit more naturally into “faith in Christ.” Although this passage alludes to Leviticus 19:15, James does not simply repeat the Jewish moral teaching tradition of the Jews but rather delivers a Christianized exhortation to the messianic community. Rather than focusing on the moral aspect of Christ’s faithfulness, this study examines James’ argumentation; for believers, it is impossible to discriminate against one another since having faith and showing favoritism are incompatible. Elsewhere in this letter, James warns about the inconsistency between faith and work (Jas 2:26). This contradiction consequently undermines the unity of the Christian community and reveals one’s double-mindedness. Moreover, this study draws attention to several identity markers (ὁ θεὸς ἐξελέξατο, πλουσίους ἐν πίστει, κληρονόμους τῆς βασιλείας) in James 2:5, which further support the argument that the exhortation against favoritism is connected to the readers’ Christian identity.

      • KCI등재

        ‘치유’, ‘치병’ 개념에 있어서 불교와 사상의학의 비교-天台 止觀書와 李濟馬의 東醫壽世保元을 중심으로-

        이기운 한국불교학회 2013 韓國佛敎學 Vol.67 No.-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positions ofBuddhist medicine and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on “the conceptof medicine”. There are largely two objectives of the intention toexamine the concept of medicine. Among diverse Buddhist medical theories, Tiantai's medical theoryis evaluated as comprehensively embracing exoteric teaching 顯敎medical theory connected to original Buddhism and Abhidharma. ThisTiantai's medical theory is systematically described in the three bookson cessation and observation 止觀 among Tiantai's extensive writings. Sasang constitutional medical theory was examined centering on 『Dongui suse bowon』 that represents the Sasang constitutional medicaltheory suggested by Dongmu Lee Jema. Concretely, Tiantai's medical theory indicates that the symptomsof diseases should be judged based on sounds, appearances, and pulses. This diseases are cured by cessation methods(止法), air breathingmethods(氣息法), virtual methods(假想法), mind-observation methods(觀心法), and techniques. I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diseases are diagnosed throughfinding out Sasang constitutions to figure out symptoms and througha series of processes to distinguish the severity of symptoms andtreatment methods are determined based on the degree and severity ofdiseases through symptoms and pharmacology. The treatment methods include drugs, techniques, acupuncture, and recuperation. The two medical theories indicate that the basis of disease curingis controling desires and greed believing that disease conditions aredetermined by human desires and greed. Therefore, based on thetheories of curing in the two medical theories, the diverse disciplinetheories of Tiantai Buddhism are effective for mental disease symptomsappearing i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The application of theconcrete pharmacology i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is considereduseful for physical disease symptoms based on constitutions. 이 연구는 불교의학과 사상의학에서 “醫 槪念”에 있어서 어떠한 입장을 가지고 있는지 고찰하려는 것이다. 다양한 불교의학론 중에서 천태의학은 근본불교와 아비달마로 이어지는 顯敎 의학론을 집대성하고, 중국 전통 의학론을 수용하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러한 천태 의학론은 그의 여러 저술 중에 止觀書에서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四大 五行에 의한 臟腑의 病相을 기술하고 있다. 한편 동무 이제마는 중국 전래의 漢醫學과 허균의 『東醫寶鑑』의 의학론을 받아들여 臟腑性理에 의한 四象醫學을 세우고 『격치고』 『동의수세보원』 등에 기술하고 있다. 여기서는 이러한 천태의학과 사상의학의 의학론에서 병의 진단과 치유를 중심으로 비교 고찰하였다. 천태의학에서는 구체적으로 병의 증상을 소리, 형색, 맥으로 병의 증세를 판단하도록 하였다. 그 치유는 止法에 의한 치유, 氣息法, 假想法, 觀心法, 방술법에 의한 치유가 이루어지고 있다. 사상의학에서 병을 진단하는 데에는 사상체질을 알아내는 知人의 단계와 이를 바탕으로 병의 증상을 알아내고 여러 증상 정도를 구별해 내는 일련의 과정을 거쳐 사상인의 증상을 알아내게 된다. 병의 증상이 밝혀지면 곧 病證 藥理에 의하여 병의 정도와 강약에 따라 치료가 결정된다. 치료는 약물, 방제, 침구, 양생 등의 치료에 의한다. 두 의학론은 병의 양상이 인간의 心慾에 의해 좌우된다고 하여, 병의 치유의 근본을 심욕을 다스리는데 두고 있다는 공통점이 발견된다. 하지만 치병론에서 볼 때 천태불교에서는 다양한 지관수행을 보여주고 있고, 사상의학에서는 체질별 병증의 심신 수양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사상의학의 체질별 수양론을 도출하여 구체적 수양은 천태의 色門 息門 心門의 다양한 지관 수행법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상의학은 체질에 나타난 신체상의 病症에 대해서 구체적인 藥理로 처방이 이루어지는데 비해서, 천태학에서는 사대 오장의 病相에 따라 다양한 止觀에 의한 對治를 하고 있다. 따라서 심신의 病因에 따라서 그 유효성을 고려하여 藥理적용과 止觀對治라는 상보적 치유의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