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明成聖后御筆] 연구

        이기대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2 한국민족문화 Vol.4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llection of the Empress Myungsung’s letters in terms of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ontent. This collection included 10 Korean letters the empress sent to Min Eung-Sik and his son Min Byung-Seung in 1894. In the past, the whereabouts of this collection had not been clear, but it’s possible to make a full-fledged research in this collection since it was lately made public at auction. In this study, the letters of the collection were investigated in three aspects. First, the letters described the health and psychological problems with the royal family. The fact that King Kojong and his crown prince felt anxious about rapid-changing contemporary political circumstances was found in the letters, and the empress herself had a very hard time due to extreme tension. Second, the letters described the occupation of Kyungbok Palace by Japan, Prince Regent Daewon-gun’s return to power and the subsequent expulsion of the Min family from the political world. Specifically, the Empress Myungsung’s efforts to be on good terms with the prince regent to set free Min Eung-Sik who was exiled to Gogeumdo, South Jeolla Province, were depicted in detail. Third, the letters showed the Empress’s view of the Sino-Japanese war. She expected China to win the war in order to free herself from Japanese surveillance. But China lost the war, and she wrote down her despair about that. Thus, the Collection of the Empress Myungsung’s Letters was of importance in that it makes it possible to confirm her awareness and activities in 1894, which can hardly be found in existing archives. 이 논문은 明成皇后가 1894년 閔應植과 閔丙承 父子에게 보낸 10통의 한글 편지를 모은 [明成聖后御筆]의 문헌적 특징과 내용을 분석한 것이다. [명성성후어필]은 그동안 자료의 소재가 명확하지 않았지만, 최근에 경매를 통해 공개되면서 본격적인 연구가 가능하게 되었다. 여기에서는 편지의 내용을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첫 번째, 편지에는 왕실 인물의 건강과 심리적 문제에 대한 내용이 적혀있다. 당시의 급박한 정국의 변화로 인해 고종과 세자 모두 불안해하는 모습을 엿볼 수 있고, 명성황후 본인도 극도의 긴장감으로 인해 매우 힘들어 하고 있음이 드러난다. 두 번째, 일본의 경복궁 점령과 대원군의 재집권으로 인한 민씨 일족의 축출과정에 대한 내용이 적혀 있다. 특히 전남 고금도로 유배된 민응식이 풀려나도록 돕기 위해, 명성황후는 대원군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려 노력하고 있는 모습이 상세하게 드러난다. 세 번째, 청일전쟁에 대한 명성황후의 인식을 찾아 볼 수 있다. 명성황후는 청일전쟁의 과정에서 청나라의 승리를 기대하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 일본의 감시로부터 벗어나고자 하였다. 하지만 청나라가 일본에 패배하게 되자, 이로 인한 실망감을 편지에 적고 있다. 이와 같이 [명성성후어필]은 기존의 공식적 기록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1894년 당시의 명성황후의 인식과 활동을 확인해 볼 수 있는 자료로서 의미를 가진다.

      • KCI등재

        자료 발견을 통해 본 남계우(南啓宇)의 예술세계

        이기대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4 民族文化硏究 Vol.41 No.-

        본고는 새로 발견된 남계우 관련 자료를 통해, 남계우의 생애 및 예술세계에 접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남계우는 나비를 잘 그린 화가로만 알려져 있던 인물이다. 그러나 필자가 후손가를 찾아가 관련 자료를 살펴본 결과, 화가이자 시인이었고 문학비평가이며 전각에도 능했던 인물로, 예술가적 면모를 두루 갖추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남계우는 자신의 예술적 재능을 통해, 다양한 나비 그림을 그렸을 뿐만 아니라, 그림에 맞는 다수의 제화시를 남겼다. 또한 자신의 고향과 전원생활에 대해서는 琶潭八詠과 田園八詠이라는 八景詩를 통해 묘사하고 있다. 그리고 評批를 통해 古詩인 <孔雀東南飛>를 비평한 古詩批評을 남겼는데, 이 자료를 통해 19세기 조선에서의 評批 유행과 시비평의 다양한 양상을 확인해 볼 수 있다. 이렇게 보면 남계우는 詩書畵에 고루 능했던 것을 이상으로 삼았던 조선시대 문인의 모습을 보여주기에 충분하다고 할 수 있다. 다만 본고에서는 새로 발견된 각각의 자료를 소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기에, 이후의 연구에서 보다 심화된 논의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is treatise is introducing the new material related to Nam, Gye-Woo, and the goal is to study Nam, Gye-Woo's whole Art World. Nam, Gye-Woo is famous for the artist who was drawing the butterflies very well. But, many posthumous works were discovered by my research from his descendants. That materials is showing that he was a artist, a poet and a literary critic. Moreover I realized he was a the artist who was good at seal engraving. There are around 20 butterfly works of Nam, Gye-Woo's until now, and some of them has the style of poem, which used to put a poem in beside the drawing. Nam, Gye-Woo composed the Poem <Padampalgyung> and the Poem <Jeonwonpalgyung> that he described his hometown, the Padam Area of Yongin Province. There is <Gosibipyung>, too, which was examined <Gongjakdongnambi> by him on the filed of his literary Criticism. According to these works, it is enough to evaluate that Nam, Gye-Woo described the life style of literary men who were equally good at composing a poem, writing and drawing during the Choson Dynasty period. That's why studying on the material connected to him need to begin in earnest.

      • KCI등재

        독서의 전통적 방법과 낭독의 효과

        이기대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19 한국학연구 Vol.70 No.-

        The general image in reading is often recalled the process of reading a book silently in the static space. This method of reading a book is deeply related to a change in the reading culture that was created with being made the modern space like a library. The traditional reading method was progressed with commonly reciting even at home as well as Seodang(書堂, village school) or Hyanggyo(鄉校, government-run provincial school) and Seowon(書院, Korean neo-Confucian academy during the Joseon Dynasty). This is a widely known fact. But there wasn't such high interest in the traditional reading method through recitation. That is because of having disappeared at the moment of the speech in the sound of recitation before being developed the technology of storing sounds, and because of having been unable to actually conform this now. Owing to this, the main attention was paid to the written contents rather than to the sound itself. However, the recognition in those days relevant to reading aloud can be identified given gathering fragmentary records related to recitation and arranging those things according to the relevant phenomenon. And through these records, the perception on a reason and a method of reading aloud is highlighted clearly in comparison of a method of reading a book just with eyes. Also, it is available for finding out even a part, which had evaluated sound itself as well as the contents of a book to be read, and which had discussed about the essence of reading through the sound of reading a book. Thus, in the process of confirming these records, the necessity is revealed that will subdivide the cultural phenomenon and the recognition phase in reading, which was developed focusing on recitation. Accordingly, this study was discussed the traditional reading method and the awareness on this centering on documents that left a trace on reading aloud. Through this, the cultural meaning in reading related to a method, which did recite traditionally, is expected to be possibly understood more closely. 독서의 일반적인 모습으로 흔히 정적인 공간에서 침묵 속에 책을 읽는 과정을 떠올린다. 이러한 책읽기의 방법은 도서관과 같은 근대적 공간이 만들어지면서 생겨난 독서 문화의 변화와 관련이 깊다. 전통적인 독서의 방법은 서당이나 향교 및 서원뿐만 아니라 집 안에서도 일반적으로 낭독하면서 진행되었다. 이는 널리 알려진 사실이지만, 낭독을 통한 전통적인 독서의 방법에 대해서는 그리 관심이 높지 않았다. 소리를 저장하는 기술이 발전하기 이전에는 낭독의 소리가 발화되는 순간 사라져 버렸고 현재 이를 실제로 확인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소리 자체보다는 글로 적힌 내용이 주된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하지만 낭독과 관련된 단편적인 기록들을 모으고 관련 현상에 따라 정리하면, 낭독과 관련된 당대의 인식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기록들을 통해 눈으로만 책을 읽는 방법과 비교하여 소리내어 책을 읽는 이유와 방법에 대한 인식이 선명하게 부각된다. 또한 읽는 책의 내용뿐만 아니라 소리 자체를 평가하고 책을 읽는 소리를 통해 독서의 본질에 대해 논의했던 부분도 찾아볼 수 있다. 때문에 이러한 기록들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낭독을 중심으로 전개된 독서의 문화적 현상과 인식의 단계를 세분화할 필요성이 드러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낭독에 대한 흔적을 남긴 문헌들을 중심으로 독서의 전통적인 방법과 이에 대한 인식을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전통적으로 소리내어 읽던 방식과 효과를 중심으로 당시의 독서 상황에 대한 이해가 보다 면밀하게 진행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연산군 관련 영화에 나타난 인물 형상의 특징과 현대적 의미

        이기대 국제언어인문학회 2011 인문언어 Vol.13 No.2

        Film Representations of Lord Yeonsan's Persona and Their Modern Meanings Gi-Dae Lee (Korea University) This paper examines modern film reinterpretations of Lord Yeonsan. who is notorious for his immoral and tyrannical behaviors. Modern films have tended to treat him from a compassionate perspective on the grounds that his behaviors might have been affected by the tragic death of his mother, the deposed Queen Yoon, who took poison bestowed on her as a death penalty by her husband, King Seongjong. Films of this vein make it a rule to describe in detail how much Lord Yeonsan missed his mother while young. In the light of historical recordings,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Lord Yeonsan and the deposed queen depicted by the films is just a fiction, and there are quite a few gaps in their visualization of the cast of characters. Earlier films dealing with Lord Yeonsan portrayed his evil deeds as being provoked by Jang Nok-soo, or by the political conflicts surrounding her. A recent movie entitled “the King's Man” revealed that there was something lacking about his persona and the people around him. It is highly likely that Lord Yeonsan will continue to be portrayed as a wounded tragic man as far as people feel compassionate about him, calling for historical reinterpretations of him as a person.

      • KCI등재

        고전소설 낭독의 관련 기록과 현재적 전승 양상

        이기대 어문연구학회 2014 어문연구 Vol.79 No.-

        이 논문은 고전소설 낭독에 대하여 서술하였던 기록을 살펴보고 이러한 기록이 현재 전승되고 있는 고전소설 낭독의 사례와 연관되는 양상에 대하여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금까지 알려진 바에 의하면, 고전소설의 낭독과 관련된 기록의 양상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진다. 전기수에 의한 방법, 자생적 낭독자에 의한 방법, 음악성을 중시하는 방법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기록의 양상 가운데 현재 전승되고 있는 낭독의 방법은 자생적 낭독자에 의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현지 조사를 통해 정규헌, 소헌영, 손종흠의 사례를 통해서 구체적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아울러 이들에 대한 사례 조사를 통해, 낭독자의 명칭, 방법, 장소 등에 대한 구체적 내용이 드러난다. 따라서 지금까지 부분적으로 고전소설 낭독이 지속되고 있는 이상, 그 의미와 가치를 현재적으로 수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This paper is aimed at discussing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reading for classic novels handed down to this day. The cases of proceeding with reading of classic novels can be identified by Jeong Gyu-heon, So Heon-yeong and Son Jong-heum, who follow the tradition of reading for classic novels made spontaneously in a house or a village. The case studies of these people found that specified contents, including reader's name, method and place are different from those of professional readers (傳奇叟) revealed through the record. In addition. it is confirmed that their reading style is similar to that of reading aloud(聲讀) of Chinese books. The reading of classic novels is largely divided into three aspects such as a method by professional readers, a method by spontaneous readers and a method with emphasis on musicality. Among them, the aspect of reading by spontaneous readers has continued to last to the present through the Japanese occupation. And this reading proceeds actively du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ers and listeners. The fact that the tradition of reading for classic novels has continued to last has an implication that the efforts to accommodate its meaning and value are needed.

      • KCI등재

        장희빈 관련 고전소설의 전개와 특징적 양상

        이기대 동아시아고대학회 2014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35

        장희빈에 대한 관심은 역사적으로나 문학적으로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는데, 이는 여성 역사인물 가운데 그녀가 대표적인 악인으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고전소설을 중심으로 장희빈이 악녀로 부각되어 온 과정과 그 특징적 양상에 대하여 면밀히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박태보, 인현왕후, 숙종대왕 등의 이름을 제목으로 하고 있는 고전소설을 텍스트로 하였는데, 이들 작품들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장희빈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각 인물의 개별적 삶이 구체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들 작품에서는 장희빈이 소설적으로 수용되고, 악녀로 전형화 되며, 부정적인 측면이 강조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그녀에 대한 형상은 문학 작품에서 관련 내용이 일종의 공식처럼 활용되며 전이되어가기도 한다. 이러한 장희빈의 형상은 문학적으로 뿐만 아니라, 역사적으로도 같은 맥락을 찾아볼 수 있다. 이는 그녀의 정치적 기반이 남인이었기에, 조선후기 서인 중심의 정치질서에서 그녀가 배척되었던 상황과 연계할 수 있기 때문이다. Interest in Jang Hui-bin(장희빈) has developed across a breadth of historical accounts and classic literature, mostly directed towards highlighting her evil deeds. Nonetheless, the process through which she has emerged as wicked has not yet been closely examined. Accordingly, this study discusses the qualities and characteristics developed through her representations throughout the classical novels in which she appears. This study takes up classical novels such as Park Tae-bo(박태보), Inhyeonwanghu(인현왕후), and Great King Sukjong(숙종), as these works describe each titular character’s life with a special focus on their relationships with Jang Hui-bin. They can also be confirmed as progenitors of the process through which Jang Hui-bin has been stereotyped as a wicked woman, her negative aspects emphasized, and the nature of her influence on later works determined. This depiction of Jang Hui-bin has progressed uniformly across both literary and historical accounts. It is deeply related to the situation in which she was excluded from the political order of Seoin(서인) in the late Joseon period, due to her political affiliation with Namin(남인).

      • KCI우수등재

        <성종대왕실긔(成宗大王實記)>의 소재원(素材原)과 성종(成宗)의 형상에 대한 연구

        이기대 국어국문학회 2022 국어국문학 Vol.- No.199

        <성종대왕실긔>는 1930년 덕흥서림에서 간행한 구활자본 고전소설이다. 역사 기록과 야담 그리고 소설 등을 소재원(素材原)으로 활용하여 성종의 탄생과 왕으로서의 행적 및 죽음과 평가 등에 대하여 서술하고 있다. 성종(成宗)의 왕실 가족 및 당대의 역사적 인물에 대한 내용을 서술하는 과정에서는 주로 『연려실기술』과 같은 역사 기록을 소재원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박팽년 후손, 폐비 윤씨, 연산군에 대한 성종의 태도나 손순효, 유호인 같은 신하들과의 관계가 드러난다. 야담류 등을 소재원으로 활용하는 과정에서는 성종이 백성들의 처지를 이해하고 각각의 문제를 해결해주려 했던 모습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특히 성종이 미복(微服) 차림으로 백성들을 만나는 과정은 다양한 사건들을 통해 흥미롭게 제시되고 있다. <성종대왕실긔>와 소설의 관계는 신종호의 행적을 통해 드러난다. 성종이 신종호를 평안도에 어사로 보내고 다시 기녀를 통해 속이는 내용으로 전개되는데, 이는 훼절 소설의 구조와 유사하다. 이처럼 여러 기록과 문헌의 내용을 소재원으로 활용하면서 작품에서의 성종의 형상은 긍정적인 측면이 강조된다. <성종대왕실긔>가 간행될 무렵에는 과거의 인물이나 역사를 기록한 서적들이 출간되고 조선의 왕들에 관한 일화들이 신문과 같은 대중 매체를 통해 소개되고 있었다. 이는 조선이 아닌 시대를 살고 있지만, 오히려 조선의 왕들을 기억하려했던 당시 독자들의 요구를 보여준다. 그리고 발행자였던 김동진은 이러한 출판 상황에 따라 <성종대왕실긔>와 같은 실기류 작품들을 지속적으로 간행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孝烈誌>의 인물 형상과 소설사적 위상

        이기대 한국어문학회 2003 語文學 Vol.0 No.80

        Hyoyeolji, one of the typical family novels based on a step-mother story, haven't been introduced extensively to date. Thus,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identify its bibliography and the issues related with its readers, and to interpret this work based on the result. Hyoyeolji has both Sino-Korean and Hangul versions left, but only the latter has its complete collection. An examination of related documents shows that this novel was read and possessed by noble families in country villages or middle-class administrative workers. The novel expresses step mothers as an evil person and the children of the former wife as a person with unusual ability. Instead of driven away helplessly entrapped by the step mother's evil plot, the child discloses the wicked acts of the step mother by exerting a remarkable ability. Step mothers are expressed as even more vicious kinds who continue to do evil conducts to their step children. Meanwhile, the father is described as a stupid man who can't prevent or solve conflicts between his new wife and his own child. This incompetency of the father, as a result, calls attention to household problems and stimulates its readers to solve these problems within the boundary of their family. In addition, this also emphasizes the father's moral training and home management. It is presumed that these contents of the novel might have given some lessons to its readers.

      • 의인화 과정을 통해 본 꽃의 문화원형 - 한국고전서사작품을 중심으로

        이기대 문화예술콘텐츠학회 2015 콘텐츠 문화 Vol.7 No.-

        꽃은 우리들의 삶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자연물이다. 따라서 인류에게 중요한 문화 적 상징과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며, 이는 문화원형으로 현재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때 문에 꽃을 활용한 다양한 문화행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산업적으로 이용되기까지 한다. 우리나라에서 꽃에 대한 상징과 의미는 의인화에 따른 국가의 흥망성쇠를 집약적으로 보 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꽃을 활용한 서사작품은 교훈을 목적으로 창작되면서 폭넓은 공감을 전제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꽃에 대한 문화원형의 양상은 보다 복합적이면서 도덕적인 성격을 지닌다. 이러한 과정을 보여주는 작품으로는 「화왕계」, 「화사」, 「화왕전」 등이 대표적이다. 따라서 전통적으로 꽃을 이해하는 과정은 다소 막연하면서 상식적으로 꽃에 의미를 부여하는 오늘날과 다르다. 꽃에 대한 의미 부여의 과정이 서양에서 유래된 꽃말과 연계되어 있는 경우가 현재는 일반적이기 때문 이다. 이러한 점에서 우리의 꽃에 대한 문화원형은 다채로우면서도 현실 에 보다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이야기를 만들어낼 수 있는 기반이 된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A flower is one of natural objects that is closely bound up with human life. Its cultural symbol and meaning are pretty important for mankind, and it has long affected mankind as a cultural archetype. A variety of cultural events that make use of flowers are under way, and these events are even used for commercial purposes. In our country, the symbol and meaning of flower were linked to the rise and fall of the nation through the process of personification, and some narrative works that utilized flowers were composed to give a king lesson. Thus, the nature of flower as a cultural archetype is moral and quite complicated. There are typical works to show this nature of flower:“ Hwawanggye,”“ Hwasa” and “Hwawangjeon.” Therefore understanding a flower as a cultural archetype is a little vague and not the same as understanding it from a commonsense point of view, because the way of giving meaning to it is generally associated with its floral language that originated from the west. Indeed, it seem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a flower as a cultural archetype, since that makes it possible to create diverse sto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