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國內 中小企業의 環境經營시스템 構築에 관한 硏究

        이근상,李根祥 한국자원공학회 2004 한국자원공학회지 Vol.41 No.2

        In recent years, environmental issues have been become critical concerns of business even to the small and medium firms. Many domestic companies are rapidly accepting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s(EMS) that confirm ISO 14001 guidelines in order to remain competitive in the global market place. This paper aims to review and analyze major procedures during the pursuit and implementation of ISO 14001 in the small and medium firms. Upon resulting on questionaries surveyed 74 domestic small and medium companies already certified, this study identified and ranked key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companies, motivational factors corresponding to ISO 14000 certification, detailed decision factors during major steps of the certification process, and problems and hindrance factors in adopting ISO 14001 standards.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ful to other small and medium firms that are in the process of adopting the standard where they do not have clear pictures of critical factors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최근 환경 문제가 중소기업에게도 중요한 관심사로 부각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ISO 14001 인증을 통한 환경경영시스템의 보급이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중소기업들의 환경경영시스템(ISO 14001) 추진 및 인증단계에서의 주요 과정을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인증을 취득한 74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 결과를 바탕으로 조사대상 기업의 주요 현황, ISO 14001 인증의 동기 및 목적, 인증 과정 중의 주요 단계별 결정 요인들, 인증 과정에서 직면한 주요 문제들을 파악하고 순위를 결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환경경영시스템의 도입을 원하는 여타 중소기업들이 ISO 14001을 성공적으로 구축하는데 필요한 핵심요인들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LiDAR 측량 기반의 지형자료와 기상 데이터 관측시스템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량 분석

        이근상,이종조 한국국토정보공사 2019 지적과 국토정보 Vol.49 No.1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study to predict the photovoltaic power by constructing the sensor based meteorological data observation system and the accurate terrain data obtained by using LiDAR surveying. The average sunshine hours in 2018 is 4.53 hours and the photovoltaic power is 2,305 MWh.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photovoltaic power on the installation angle of solar modules, we installed module installation angle at 10° intervals. As a result, the generation time was 4.24 hours at the module arrangement angle of 30°, and the daily power generation and the monthly power generation were the highest, 3.37 MWh and 102.47 MWh, respectively. Therefore, when the module arrangement angle is set to 30°, the generation efficiency is increased by about 4.8% compared with the module angle of 50°.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 seasonal photovoltaic power by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solar module, it was found that the photovoltaic power was high in the range of 40°~50°, where the module angle was large from November to February when the weather was cold. From March to October, it was found that the photovoltaic power amount is 10°~30° with small module angle. 본 연구에서는 LiDAR 측량을 활용하여 취득한 정밀 지형자료와 센서 기반의 기상데이터 관측시스템을 구축하여 태양광 발전량을 예측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2018년 평균 일조시간은 4.53 시간으로 나타났으며, 태양광 발전량은 2,305 MWh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태양광 모듈의 설치각도에 따른 태양광 발전량의 영향을 분석하고자 모듈 설치각도를 10° 간격으로 배치한 결과, 모듈 배치 각도 30°에서 발전시간은 4.24 시간으로 나타났으며, 일 발전량과 월 발전량이 각각 3.37 MWh와 102.47 MWh로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따라서 모듈 배치 각도를 30°로 설계시 모듈 각도 50°에 비해 발전효율이 약 4.8%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태양광 모듈의 설치각도에 따른 계절별 태양광 발전량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날씨가 차가운 11월~2월까지는 모듈 각도가 큰 40°~50°가 태양광 발전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날씨가 따뜻한 3월~10월까지는 모듈 각도가 작은 10°~30°가 태양광 발전량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 LiDAR와 MBES를 이용한 댐 저수지 3차원 공간영상정보 구축

        이근상,최연웅,Lee, Geun-Sang,Choi, Yun-Woong 한국공간정보학회 2010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8 No.3

        최근 댐 저수지 주변의 3차원 공간정보 구축은 퇴사량 조사와 같은 댐 관리 업무에 매우 중요한 부분이나 기존에는 지형측량을 위해 토탈스테이션과 단빔음향측심기(SBES)를 사용한 관계로 정밀한 지형자료 취득이 어려웠다. 본 연구에서는 LiDAR와 멀티빔음향측심기(MBES)를 이용하여 댐 저수지 주변의 정밀 지형자료를 구축하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먼저, 육상부에 대해 LiDAR 측량을 수행한 후 지상기준점을 이용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건물이나 수목을 제거하는 알고리즘을 통해 육상부의 DEM 자료를 구축하였다. 구축된 LiDAR DEM을 GPS 지형측량과 검측한 결과 표준오차는 0.108m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LiDAR 허용오차를 만족하는 3차원 지형자료를 구축할 수 있었다. 또한 저수지에 대해서는 MBES를 수행한 후 지형측량과의 검측과정을 통해 IHO의 수심측량 허용오차 기준을 만족하는 지형정보를 구축할 수 있었다. 그리고 LiDAR와 MBES 측량자료를 통합한 후 고해상도 정사영상지도와의 연계를 통해 퇴사량 예측 및 지형변화 모니터링 등과 같은 댐 관리 업무에 활용 가능한 3차원 공간영상정보를 구축할 수 있었다. Recently, the construction of three dimensional spatial information of Dam reservoir area is very important part in Dam management work such as sediment survey, but it is difficult to acquire detailed terrain data because totalstation and single beam echo sounder are applied to terrain survey. This study presented method to construct detailed terrain data of Dam reservoir area using LiDAR and multi beam echo sounder. First, LiDAR survey was carried out in land zone and calibration process was applied by ground control point. And also the DEM of land zone was constructed by using algorithm, which eliminated building and vegetation class. As the result of validation of LiDAR DEM using GPS terrain survey, it was possible to construct three dimensional terrain data that was satisfied with the tolerance error of LiDAR, which was the standard error of LiDAR DEM showed as 0.108m. Also multi beam echo sounder was applied to the survey of water zone and it could construct spatial information that was satisfied with bathymetry surveying tolerance error of 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 by validation with terrain survey data. And LiDAR and multi beam echo sounder data were integrated and it was possible to construct three dimensional spatial imagery information that can be applied to Dam management work such as the estimation of sediment amounts or the monitoring of terrain change by linking with high resolution orthophoto.

      • 그룹에이전트간의 통신을 위한 공유 메시지 저장소 구현

        이근상,최영근,Yi, Keun-Sang,Choi, Young-Keu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0 정보처리논문지 Vol.7 No.8

        이동 에이전트의 응용 분야가 다양해짐에 따라 그룹에이전트를 이용한 에이전트 협력 작업이 요구되고 있다. 이런 협력 작업은 에이전트간의 정보 공유 및 작업 제어를 위해 빈번한 통신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은 그룹에이전트(group agent)들의 효율적인 협력 작업을 위한 CMP를 제안한다. CMP는 동기적/비동기적으로 에이전트 상호간에 보다 융통성있는 정보 전달을 수행한다. 또한, 제안된 CMP 접근 메소드는 1 : 1 통신뿐만 아니라 다 : 다 통신을 지원하기 때문에 그룹에이전트 모델에서도 효율적인 수행이 가능하다. As applications of mobile agent become manifold, it is needed that the agent collaboration using group agents. This collaboration needs a lot of communications among agents for informations sharing and work coordin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CMP for which efficient collaboration work between group agent. CMP is synchronous or asynchronously performs flexible information transfer among agents. Also, It can perform efficiently in group agent model because proposed methods provide not olny one to one but also many to many communication.

      • KCI등재

        Modified Pseudosteady-State Approach to Calculate Long-Time Performance of Closed Gas Reservoirs

        이근상,Lee Kun Sang 한국가스학회 1998 한국가스학회지 Vol.2 No.4

        This paper considers the applicability of a pseudosteady-state approach to the long-time behavior of real gas flow in a closed reservoir. The method involves a combination of a linearized gas diffusivity equation using a normalized pseudotime and a material balance equation. For the simulation of field-scale problems with multiple wells of differing production rates over extended production periods, the pseudosteady-state equation was solved successively for each flow period. Results from this study show that the approach provides a fast and accurate method for modeling the long-time behavior of gas reservoirs under depletion conditions. 폐쇄된 고갈성 저류층의 장기 거동을 직접 계산할 수 있는 유사정상상태 해법을 수정하여 실제가스 유동의 해석에 응용하고 그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이 방법은 정규화된 유사시간을 포함하는 선형 가스 확산 방정식과 물질수지 방정식을 결합하여 유도되었다. 본 해법을 서로 다른 유량으로 장기간 생산하는 다수의 정들로 이루어진 실제 문제의 수치 시뮬레이션에 이용하였다. 각 유동 기간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하여 유사정상상태 방정식을 연속적으로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로부터 본 해법은 고갈 조건하에 있는 가스 저류층의 장기거동을 빠르고 정확하게 모델링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임을 보여주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