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냐시오 영성과 칼 라너의 신학

        이규성(Lee Kyou-Sung)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1 신학사상 Vol.0 No.155

        발타살에 따르면 근대가 시작된 이후로 영성과 신학은 서로 분리된 채로 수행되어 왔다. 신학은 무미건조한 사변적 담론이 되어버렸고 영성은 논리적 구조를 잃어버린 신비로 존재하게 되었다. 이러한 분열로 말미암아 영성과 신학은 스스로를 비현실적인 것으로 만들어버렸다. 20세기 최고의 신학자 중의 하나인 칼 라너는 영성과 신학의 상호지향을 통해 이러한 분열적 현실을 통합할 수 있는 해법을 제안한다. 신학은 영성에 기반을 두어야 하며, 영성은 신학적 숙고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라너는 영적 체험은 전인적 차원에서 그리고 주체적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보나벤투라의 신학적 근거가 프란치스코 영성에 있듯이 라너도 자신의 신학이 이냐시오 영성에 그 기반을 두고 있음을 밝힌다. 그에 의하면 신약성경은 영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 및 새로운 신학이 가능하게 하는 근거가 된다. 신학이 영성적인 기반을 가질 때 가장 현실적이며 사목적일 수 있다. 영성과 신학의 상호 소통은 하느님 체험에 대한 능동적 숙고를 가능하게 하며 나아가서 주체적인 결단 및 행동 그리고 결과에 대한 책임을 지도록 한다. 라너는 이를 일상의 신비주의라고 일컫는다. 일상은 하느님을 경험하는 자리가 되며 나아가서 그 경험에 대하여 숙고하고 투신하는 장이 된다. 신학은 따라서 일상에서 일어나는 영적체험을 올바로 해석해야 하는 과제를 지닌다. 이러한 영성과 신학의 상호 지향이야말로 현시대의 인간들이 공적인 생활과 사적인 생활이 서로 분열되지 않은 채 통합된 삶으로 지향할 수 있는 해법이 될 수 있다. Since the beginning of the modern time the spirituality and the theology have been undertaken separately according to Hans Urs von Balthasar. The theology became a speculative discourse and the other one an illogical mystery. They made themselves unrealistic through separation. Karl Rahner, one of the most important figures in theology of 20th century, proposed a solution to integrate the spirituality and the theology. According to him, the theology should have the base in the spirituality and that the spirituality should be the subject of theological discourse. Rahner said that the spiritual experiences should be considered in holistic and subjective dimensions. As Bonaventure based his theology in the spirituality of St. Francis, Karl Rahner grounded his theology in the spirituality of St. Ignatius of Loyola. According to Rahner, New Testament is the fundament for the new understanding of spirituality and renewed theology. The theology can become realistic and apostolic when the theology has the spiritual base. The mutual interaction between spirituality and theology enables a deliberated experience with God, subjective determination, commitment and the responsibilities that results in it. Rahner calls it mysticism of daily life. Daily life is the place not only for the experiencing God but also for the deliberation on the experience and for the commitment. As for Rahner the daily life experience is the condition of possibility of mystical experience. Theology is therefor the assignment given to interpret the spiritual experience. The mutual interaction between spirituality and theology could be the solution to the integrated whole life in the divided situation between public and private life.

      • KCI등재
      • KCI등재

        자발적 가난함에 대한 현대적 이해

        이규성(Lee Kyou Sung)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15 신학과 철학 Vol.- No.26

        This paper researches the meaning of voluntary poverty in the modern world. Poverty is a key problem which human beings need to solve, but the answers always remain insufficient. It is a problem that needs to be dealt with not just by civic society, but also needs direction from the Church. Of the various approaches that have been proposed, this paper presents one, that of the spirituality of poverty of Ignatius of Loyola, for whom voluntary poverty is the sign of the preparation of the kingdom of God. To exemplify this approach, the paper introduces the teachings and actions of Pope Francis, who shows us a new dimension of poverty. It then discusses how poverty has been defined and understood in the historical settings of the Bible, Israel and the Church. As its main point, the paper researches the understanding and actions of Ignatius. At the end, it offers considerations about the contemporary implementation of his spirituality of poverty. The Ignatian spirit of poverty can be understood in its theo-logical, christological and apostolic dimensions. Poverty accords with Ignatius’ life style of apostolic service in solidarity with the people of God, sent by God the Father, in the same life-pattern of Jesus Christ, who lived in poverty. This poverty is not a matter of obligation; it is based on love of and for God and includes the dimension of salvation of the souls of the neighbor. 본 논문은 자발적 청빈이 현대세계에 어떠한 의미를 갖고 있는지를 살피고자 한다. 빈곤은 인간이 풀어야 할 핵심문제임에도 불구하고 해결책은 언제나 충분하지 않은 채 머무를 뿐이었다. 빈곤은 단지 국가사회가 해결해야만 하는 문제로 남아있지 않고 교회도 그 해법을 제시해야 한다. 빈곤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다양하게 제시되어왔다. 본 논문은 자발적인 청빈이 하느님 나라를 준비하는 예표라는 면에서 이냐시오의 청빈 영성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청빈에 대해서 새롭게 환기를 시킨 교종 프란치스코의 행적을 살핀다. 나아가서 가난함이 성경과 이스라엘 그리고 교회의 역사를 통해서 어떻게 이해되었는지를 일괄한다. 또한 본 논문의 본문이 될 수 있는 이냐시오의 행적에서 나타나는 청빈이 어떻게 이해될 수 있는지를 살피고 나아가 그의 청빈이해가 오늘날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결론으로써 제안할 것이다. 이냐시오의 청빈 사상은 신학적인 면에서는 성부론적ㆍ그리스도론적ㆍ사도적인 차원에서 이해된다. 청빈은 이냐시오에 의하면 하느님 아버지로부터 파견되어 그리스도와 함께 가난한 삶을 영위하면서 하느님 백성의 구원을 위하여 그들과 연대하면서 사도들처럼 봉사하는 것이다. 이냐시오에게 있어서 청빈은 단지 의무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하느님에 대한 사랑과 이웃영혼의 구원의 차원에 근거한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인간의 초월성에 대한 신학적 이해

        이규성(Lee, Kyou-sung)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12 신학과 철학 Vol.- No.21

        본 논문은 인간의 초월성에 대하여 신학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삼는다. 이 목적을 위하여 가톨릭교회의 신학자 칼 라너(Karl Rahner, 1904-1984)의 신학적 체계와 개념들이 사용되었다. 본 논문은 인간의 초월성에 대한 칼 라너의 다양한 관점을 소개한다. 초월에는 두 가지 역동적인 면이 있는 것으로 드러난다. 인간학적인 차원에서 본다면 하느님을 향하는 인간의 정신적 초월 운동이 그 하나요, 이러한 초월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하느님의 은총이 다른 하나이다. 후자는 인간의 초월 운동의 가능성의 조건이라고 말 할 수 있다. 라너의 신학에는 ‘아래에서 위로 향하는’(von unten nach oben) 운동과 ‘위로부터 아래로 향하는’(von oben nach unten) 운동이 내적으로 긴밀히 결합되어 있다. 인간은 초월을 통하여 자신이 무한한 지평과 조우하고 있음을 인식하고, 그와 동시에 자신이 자유로운 존재임을 알게 된다. 초월 체험은 인간이 주체이자 인격이라는 것을 알려주는 것이다. 인간은 자기 인식을 바탕으로 역사 내에서 자기실현을 하고자 한다. 라너의 초월성은 따라서 범주성과 분리된 정적인 것이 아니라 오히려 범주성과 밀접히 연관된 역동적인 것으로 드러난다. 하느님은 인간에게 유사형상인의 역할을 하여 인간이 초자연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며, 인간은 순명적 가능태로서 이 은총을 수용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존재로 이해된다. 이러한 면에서 하느님은 인간에게 이미 창조되지 않은 은총을 베풀었다고 할 수 있으며, 모든 인간은 하느님으로부터 지복직관에로 불렸다고 할수 있다. 역사 내에서 인간은 이러한 소명을 사랑의 구체적인 형태로 실현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the transcendentality of the human being in the light of the theological system and concepts of Karl Rahner (1904-1984), an important theologian of the Catholic Church. The various perspectives of Karl Rahner on the transcendentality of the human being are introduced in this paper. The concept of transcendence has the two dynamic dimensions. The first one is anthropological: the spiritual transcendent movement of human beings toward God. The second is the movement of God’s grace toward human beings, which is the condition for the possibility of the transcendent movement toward God. The movement ‘from below toward up’(von unten nach oben) and the movement ‘from up toward below’(von oben nach unten) are coupled inseparably in Rahner's theology. Human beings recognize through the transcendent experience that they encounter with the infinite, and they come to know they are free. Transcendental experience makes human beings know that they are subjects and persons. On the basis of the self-awareness they try to realize themselves in their historical situation. The concept of transcendence in Rahner’s understanding is not a static reality in a separated category; it is dynamic and closely related to the whole of human experience. God is in Rahner’s understanding the quasi-formal cause of human beings. God gives them the possibility to be changed, grow and mature. Human beings, meanwhile, are understood as the ‘potentia oboedientialis’ through which they have the possibility to accept the grace of God. From this perspective we can say that God gives human beings grace and that everyone is called to ‘visio beatifica’. Human beings respond to the calling by exercising a concrete form of love in a particular historical situation.

      • KCI등재

        개신교 신학의 가톨릭적 수용 가능성:

        이규성 S.J.(Lee Kyou Sung SJ)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16 신학과 철학 Vol.- No.29

        본 논문은 로마 가톨릭교회의 신학이 개신교 신학을 어떻게 수용할 수 있는지를 살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개혁교회 신학의 대표자 중의 하나로 평가되는 칼 바르트(Karl Barth, 1886-1968)과 로마 가톨릭교회 신학의 대표자 중의 하나로 평가되는 한스 우르스 폰 발타살(Han Urs von Balthasar, 1905-1988)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신학적 대화를 그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특히 폰 발타살이 바르트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가보다는 칼 바르트의 신학사상을 한스 우르스 콘 발타살이 어떻게 수용하고 자기자신의 신학으로 발전시키는지를 고찰하였다. 방법론적으로는 한스 우르스 폰 발타살의 Karl Barth.Darstellung und Deutung Seiner Theologie와 Theodranatik 및 기타 저술에서 나타나는 칼 바르트의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서 폰 발타살은 칼 바르트의 근본적 그리스도 중심주의 로부터 영행을 받았으며 나아가서 신앙의 유비 를 수용하여 자신만의 존재 신앙 자유의 유비 로 발전시킨 것으로 보인다. 또한 폰 발타살은 신앙은 드라마와같다는 바르트의 신학을 받아들여 형이 상학젹 신학을 추구하는 가톨릭교회의 신소콜라 신학을 수정하려고 시도하였다. 여기서 폰 발타살은 인간의 자유를 바르트보다 더욱 강조하여 신앙의 드라마적 차원을 강하게 드러내려고 하였다. 왜냐하면 신앙으로 드러나는 인간의 구원사는 마치도 구원을 선사하는 하느님과 죄적인 인간들 사이에 벌어지는 씨름과 같기 때문이다.

      • KCI등재

        칼 라너(Karl Rahner) 신학에서의 철학의 역할

        이규성 ( Lee¸ Kyou-sung ) 한국가톨릭철학회 2009 가톨릭철학 Vol.0 No.12

        신학과 철학은 서로 어떠한 연관을 갖는가? 이러한 질문은 철학이나 신학을 전공하는 이들에게는 자주 떠오르는 주제 중의 하나일 것이다. 본 논문은 20세기 최고의 신학자 중의 하나인 칼 라너의 이해를 바탕으로 철학과 신학의 관계에 대하여 탐구하고자 한다. 라너는 철학이 신학의 내적 계기라고 말한다. 철학은 신학으로 부터 독립한 독자적인 학문이지만, 존재의 무한 지평에 서 있는 인간을 그 숙고의 대상으로 삼는 한 철학은 신학에로 연결된다. 이성이 신앙을 위한 순종적 잠재성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처럼 철학은 신학을 향하여 개방적이다. 철학은 신학에게 있어서 유일한 내적인 계기라고 할 수는 없다. 그리고 철학의 모든 것이 신학을 위한 것도 아니다. 그러나 신학이 인간을 향한 하느님의 말씀을 그 숙고대상으로 삼는 한, 인간에 대한 해명이 없이는 말씀을 해명할 수 없기에 신학과 철학은 그 탐구 주제에 있어 공통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철학은 그러나 단지 인식론적인 차원에 머물 수 없으며 결국 인식 가능성의 조건은 존재라는 알게 된다. 철학과 신학은 그 출발점이 다르기에 서로 구분되긴 하지만 하느님으로부터 출발하여 인간을 구명하는 신학과 인간 이성으로부터 출발하여 존재에 이르는 철학은 인간을 주제로 삼는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신학은 다른 말로 라너에게 신앙에 대한 반성적 숙고, 즉 신앙에 대한 철학적 숙고일 것이다. 반면에 철학적 작업의 가능성은 라너에 의하면 신학에 있다고 본다. 그것은 인식의 가능성의 조건이 존재에 있지만 그 존재가 명시적 숙고의 대상이 되지는 않는 것처럼 철학의 가능성의 조건은, 철학이 궁극적으로 존재 자체에로 정향되어 있다면, 그것은 라너의 입장에서는 신학이라고 볼 수 있다. 철학이 신학에 질료적 요건을 제공한다면 신학은 철학에 형상적 요소를 제공한다. 라너는 철학적 사유방식을 철저히 자신의 신학에 관철시킨 것으로 드러난다. 그러나 그는 신학을 철학에로 환원시키지 않으면서 동시에 철학과 결코 분리되지 않는 채 수행한다.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philosophy and theology? Such a question would be one of the subjects which are being brought up often not only to philosophes but also to theologians.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research the relationship between philosophy and theology in understanding of Karl Rahner SJ, who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igures as a theologian in 20. century. He says that philosophy is a inner moment of theology. Philosophy is an independent science from theology. It is, however, related to theology, as far as philosophy takes human being as a object of consideration who is standing in the unlimited horizon. If he can say that reason is the potentia oboedientialis for accepting belief, that means philosophy is open toward the theology. Rahner doesn’t say philosophy is the only one inner moment of the theology. And not all of philosophy is for theology. But we can’t elucidate Word of God without explaining what the human being is, as far as theology takes the Word of God toward human being as a object of reflection. In so far philosophy and theology have the same subject to be researched. Philosophy therefore can’t stay within cognitively limited field. After all it comes up to Be(esse, Sein) as the foundation of all being which is recognized as the condition of possibility of cognition. At the same time because of the differences where they begin to operate they are independent from each other. Nevertheless they have something in common as far as theology begins with the revelation of God to human being and philosophy goes from the reason of human being without any presupposition. Theology is in other word for Rahner the reflexive consideration for belief. Theology therefore has the philosophical component. On the other hand, the possibility of philosophy lies in theology. Like the condition of possibility of cognition is in esse while it doesn’t arise as a thematic object, the condition of possibility of philosophy according to Rahner is theology as far as philosophy is oriented to esse ipsum. Philosophy is for theology material condition and theology is for philosophy formal condition. In the unity of both they take human being as a theme. Rahner seems to carry through his philosophical way of reflection in theological field. But he doesn’t try to reduce theology into philosophy. His theology is operated without any separation between philosophy and theology.

      • KCI등재

        인간 주체와 사랑에 대한 신학적 이해

        이규성(Lee, Kyou Sung)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2 神學展望 Vol.- No.179

        본고의 목적은 ‘인간의 주체성과 사랑’에 대한 칼 라너(Karl Rahner, 1904-984)의 이해를 신학적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라너는 근대주의적인 관점과는 달리 인간의 주체성을 근원적으로 하느님과 관련하여 바라본다. 주체성이란 근본적으로 하느님 사랑에 대한 자기 선물에 놓여 있다. 인간은 초월 경험을 통하여 자기 존재에 대한 의미를 발견하고, 역사 내에서 자유롭게 자신의 존재 의미를 구현하도록 초대받았음을 인식한다. 초월 경험은 철학적인 관점에서 보면 무한 지평과 조우하고 있는 인간 자신을 경험하는 것이다. 이 경험을 통하여 인간은 자신이 주체적이자 인격적임을 알게 된다. 신학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인간은 인간을 사랑하는 하느님에 대하여 복음을 통하여 경험하며, 하느님의 사랑에 자유롭게 응답하여 자신을 선사함으로써 사랑의 일치를 이룬다. 사랑은 인간에게서 세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그것은 자기 사랑, 이웃 사랑 그리고 하느님 사랑인 것이다. 그 대상의 상이성으로 말미암아 서로 다른 차원의 사랑이지만 궁극적으로 이 사랑은 하나로 일치한다. 자기 사랑은 이웃 사랑을 통해서 완성되고, 하느님 사랑은 이웃사랑을 통해서 해명된다. 이웃 사랑이 없이는 하느님에 대한 사랑이 가능 하지 않고, 하느님 사랑 없는 이웃 사랑은 아무런 의미를 주지 못한다. 사랑은 모든 것을 일치시킨다. 그리고 사랑이야말로 인간을 주체적이자 인격적으로 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human subjectivity and love according to the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Karl Rahner(1904-1984). Rahner, different from the modernist perspectives of some other scholars, understands human subjectivity in relationship with a loving God. In his opinion, human subjectivity is rooted in one’s giving oneself as a gift to God, who loves human beings. Through transcendental Experience, a human being finds the meaning of his or her existence and recognizes that he or she is invited to implement his or her meaning of existence in a particular historical situation. From a philosophical point of view, transcendental experience is a person’s experience of encountering an infinite horizon. Through this experience, one recognizes that one is both subject and person. From a theological view point, one experiences through proclamation of the gospel that God loves oneself. One tries to respond to His love in an act of freedom, uniting oneself with God in offering oneself as a gift to God. Human love has three forms: self-love, love of neighbor and love of God. Even though these forms of love appear differently because of the heterogeneity of their objects, they are one and the same. Self-love is completed through love of neighbor, and the love of God is manifested in the love of one’s neighbor. Without love of one’s neighbor in a particular historical situation love toward God is not possible. Also without a God-directed love the meaning of love of neighbor cannot exist. Love unites everyone and everything. Only love makes a human being a subject and a person.

      • KCI등재

        역사와 초월: 칼 라너의 신학사상을 중심으로

        이규성(Lee, Kyou Sung)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7 神學展望 Vol.- No.199

        본고에서는 가톨릭 신학자 칼 라너(Karl Rahner, 1904-1984)가 역사를 어떻게 이해하는지 연구하고 나아가서 라너의 역사이해가 어떠한 함의를 갖고 있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칼 라너의 초기 저작인 『말씀의 청자』와 후기 저작인 『그리스도교 신앙 입문』을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초월론적 방법론을 사용하는 라너는 인간을 질료적 정신으로 파악한다. 인간의 정신은 우선적으로 질료를 향한다. 곧 인간 정신은 타자지향성을 지니고 있으며, 그 일차적 대상은 질료가 된다. 그런데 질료는 자립적인 존재가 아니라 수동적인 것이기에 인식에 수동적인 역할을 한다. 곧 인간 정신은 질료를 향하는 능동적 작용을 하지만, 질료적인 특징으로 말미암아 수용적으로 인식을 한다. 정신은 나아가서 타자를 지향하여 인식하고 원하는 가운데 자기 자신에게 돌아와 자신을 성취한다. 곧 인간 정신은 타자에게서 인식하고 원한 것을 반성적으로 자기 자신에게서 자유롭게 실현시킨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인간은 자기 소유를 하게 되며 곧 인간은 본연의 존재가 된다. 역사는 인간의 본질적 정황으로서 곧 인간은 질료적 타자인 역사를 통해서 자신을 형성해 나아가며 결국은 이 과정을 통해서 인간은 존재 일반(das Sein überhaupt)의 근거인 절대타자를 지향하게 된다. 존재 일반은 그러나 인간 정신의 직접적인 인식의 대상이 되지 않고, 오히려 선취(Vorwegnahme)를 통해서 간접적으로만 인식된다. 존재 일반으로 말미암아 존재하는 사물들을 인식할 수 있다는 것을 인간 정신은 깨닫는다. 인간의 제한적 정신성으로 말미암아 역사 내에 자신을 드러내는 존재 일반을 명시적으로 규정할 수는 없지만, 인간은 언제나 자신의 언어를 통해서 자신을 드러내는 하느님을 이해하고 해석한다. 따라서 역사는 인간만의 역사가 아니라 자유로운 초월적 존재와 이에 자유롭게 응답하는 인간이 함께 하는 초월론적 역사다. 라너에게 있어서 역사는 인간이 본연의 존재가 되게 하는 타자이며 나아가서 하느님을 추구하고 만나는 매개가 된다. 이러한 라너의 역사이해는 인간이 역사에 전적으로 투신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였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how the Catholic theologian Karl Rahner(1904-1984) understands history and to elucidate implications of his understanding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direction toward the other in the material reality of history and their orientation to the transcendant reality of God through history. I focus on his early work Hörer des Wortes and later work Grundkurs des Glaubens. Using transcendental methodology, Rahner sees a human being as a materially embodied spirit which is other-directed and has as its primary object. Material itself is not self-existent; it is passive and plays a passive role in human perception. The human spirit perceives external reality through its material character as manifested in history, and the spirit achieves itself as it orientates itself to the other as manifested in history. The human spirit recognizes the other and accomplishes freely what it wants for itself. Human beings thus form themselves through history. Through this process, however, they eventually focus their orientation on the transcendant absolute other. History is the essential context of human beings, and the human spirit forms itself through history as a the material other. But through this process, it is directed to the absolute other, Das Sein überhaupt, the basis of all existence. Nevertheless, Das Sein überhaupt is not the object of direct awareness on the part of the human spirit, but of indirect awareness, through awareness of history by way of anticipation (Vorwegnahme). At the same time, Das Sein überhaupt constitutes the condition of the possibility for the human spirit to comprehend phenomena. Das Sein überhaupt reveals itself through history, but it cannot be explicitly defined by the limited mental nature of human beings. Rather, human beings always understand and interpret God as revealing Himself through their own language. History, therefore, is not a history of human beings alone, but a transcendental history of transcendental existence and human beings who respond freely to it. For Rahner, history is the other through which human beings become themselves and the medium through which they seek and meet God. This understanding of history can be seen as a basis for human beings total commitment to it.

      • KCI등재

        신앙의 합리성 문제 : 요셉 라칭거를 중심으로

        이규성(Lee, Kyou-Sung)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10 신학과 철학 Vol.- No.16

        본논문은 교황베네딕토 16세인 요셉 라칭거(Joseph Ratzinger)의 신학을 중심으로 신앙의 합리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먼저 합리성에 대한 중세와 근대의 입장의 변화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중세에는 신앙과 이성의 상호 개방성 이라는 전제하에 합리성이 강조된 반면에, 근대에는 이성을 강조한 신앙의 배타적 합리성이 강조된 것으로 보인다. 라칭거는 근대주의적 관점 및 스콜라 신학에 비판적인 자세를 보인다. 그는 신앙이 합리적 비판의 대상이 되어야한다는 변에서,그리고 신앙은 보편성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려야 한다는 면에서 이성을 요청한다. 아울러 이성 하나로는 완전한 인간을 구성할 수 없기에 이성에는 신앙이 필요로된다. 신앙은 인간에게 궁극적인 의미를 가져다주며 아울러 신앙은 이성을 배제하기는커녕 이성적 작업을 가능하게하는 신학의 근거가 된다. 여기서 이성은 무엇을 파악하는 이성이 아니라 이해하는 이성으로 간주된다. This paper tries to study the rationality of christian faith according to the Theology of Joseph Ratzinger, Pope Benedict XVI. At first, the difference of the view points between middle and modem age are considered in regard to the rationality, In the middle age the openness is presupposed to each other, while in the modem age exclusive rationality was emphasized in regard to the faith, Ratzinger, influenced by St. Bonaventura, shows his critical position to the modernistic approach and scholastic method, He insists on the other that the faith requires reason in two aspects ; one is that the faith should be the object of rational criticism, and the other one is that it should be shown through the reason that the christian faith has universality. Further, the reason alone can not constitute the whole human, the reason needs faith, that gives the ultimate meaning to human being. The christian faith does not exclude the human reason, but the fundament for the christian theology. According to Ratzinger, the role of the human reason does not lie in grasping and knowing the faith but in understanding.

      • 교회와 평화 : 역사적 고찰과 조직신학적 성찰

        이규성(Lee, Kyou-sung) 평화나눔연구소 2021 인간과 평화 Vol.2 No.2

        본 논문은 평화에 관하여 신학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평화와 관련한 성경의 증언을 분석하였다. 성경의 메시지를 기반으로 그리스도교가 평화와 관련하여 어떠한 이해를 했으며 무엇을 실천하였는지가 역사적 단계에 따라서 고찰되었다. 본 논문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예수 그리스도는 평화를 이해하는 데에 핵심키워드이며 평화의 원천이라고 할 수 있다. 평화는 근본적으로 하느님으로부터 오는 것이며, 인간은 하느님으로부터 선물 받은 평화를 이웃 인간들에게 전달하고 증거 해야 하는 의무를 갖는다. 따라서 평화는 단지 군사적 관점에서 전쟁을 억제하는 차원에서 고찰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하느님의 사랑이 그 본질인 신적 평화의 관점에서 고찰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즉 세계 평화는 하느님으로부터 선사받는 것이고 인간은 선사받은 평화를 인간의 세계에 적용할 의무를 갖는다. 평화가 세계의 공공 안녕의 관점에서 고찰되고 실행되어야 한다면, 이는 하느님이 완성하시는 평화의 나라의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사랑이 바탕이 된 평화는 지속적인 관계 맺음으로 나타나지만, 평화가 깨진 위기 상황은 언제나 이러한 관계 맺음이 파괴될 위기에 처해 있게 된다. 따라서 평화는 군비통제, 군비축소만이 아니라 사회적ㆍ경제적ㆍ심리적 차원의 연구와 그 적용이 중요하며, 나아가서 지속적인 평화 운동 및 평화 교육, 그리고 긴장 완화를 위한 지속적인 상호 교류가 다양한 차원에서 실행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peace theologically. To this end, I first analyzed the messages of the Bible regarding peace. Based on the messages of the Bible, what kind of understanding Christianity had in relation to peace and what it practiced was examined according to historical stages.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Jesus Christ is the central keyword in understanding peace and can be said to be the source of peace. Peace comes fundamentally from God, and human being has a duty to communicate and testify to his neighbors the peace that God has given him. Therefore, peace needs to be considered from the perspective of divine peace, in which God"s love is the essence, rather than being considered only in terms of deterring war from a military point of view. In other words, world peace is a gift from God, and human being has an obligation to apply that gift to the human world. If peace is to be considered and implemented in terms of the public well-being of the world, it must be done at the level of the kingdom of peace completed by God. Peace based on love of God appears as a lasting relationship, but in a crisis situation where peace is broken, there is always a risk that this relationship will be destroyed. Therefore, for peace, research and application in social, economic, and psychological dimensions, as well as arms control and disarmament, are important, and furthermore, continuous peace movement, peace education, and continuous mutual exchange for tension relief must be implemented in various dimens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