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nduction of spontaneous eruption of displaced permanent teeth through space maintenance decompression of cystic lesion in pediatric patients

        Ga-Hyung Lee(이가형),Jae Hyun Kang(강재현),See Woon Kim(김시운),Bong Chul Kim(김봉철),Hun Jun Lim(임헌준) 대한치과의사협회 2022 대한치과의사협회지 Vol.60 No.6

        Cystic lesions in pediatric jaws can cause eruption disorders by displacing the erupting permanent teeth, and in the case of secondary infection, can cause swelling and pain. The treatment modalities for such cysts include cyst enucleation, marsupialization, and decompression. As compared to enucleation, decompression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damage to surrounding tissues and inducing spontaneous eruption of permanent teeth. We report a case where decompression was performed using a stent designed for decompression and as a space maintainer in three patients with eruption disorder due to cystic lesion of the jaw. The eruption of the displaced permanent teeth was successfully induced by maintaining the eruption space and removing the cyst.

      • KCI등재후보

        영아의 하나의 경험(an experience) 들여다보기

        이가형(Lee Ga Hyung) 한국어린이교육문화비평학회 2017 영유아교육과정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영아를 ‘비완결성’과 ‘완결성’을 동시에 가진 존재로 보고, Dewey의 ‘하나의 경험’이라는 렌즈로 영아의 일상경험을 들여다봄으로써 그간의 ‘영아는 미완성적인 존재’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영아의 ‘완결성’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Dewey는 우리 주변의 환경과 끊임없는 상호작용 속에서 이루어지는 일상 경험이 충만과 완성을 가지며 두드러지게 부각될 때 ‘하나의 경험’에 이르게 된다고 한다. 이 연구에서 영아인 햇님이와 달님이의 ‘하나의 경험’은 각각 두 가지씩 드러나는데, 햇님이의 경우는 ‘혼자 일어서기’와 ‘걷기’가, 달님이의 경우는 ‘달팽이 오리기’와 ‘친구 별이와의 소꿉놀이’가 그것이었다. 이들의 하나의 경험은 ‘완성에서 오는 강렬한 기쁨’, ‘목적이 있는 반복과 몰입’, ‘갈등에 의한 재구성’, ‘완성이 만들어 내는 새로운 목표’라는 공통적인 양태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양태는 경험의 우연성(혹은 상황의존성)과 시간성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영아가 그들의 경험 속에서 스스로 판단하고 반성적 사고를 하며 그들의 삶을 적극적으로 구성해나가는 주체자임을 확인시켜준다. 이렇게 주체자로서 영아를 드러내는 본 연구의 연구과정은 교육에 있어 귀기울임과 그것의 가시화 과정인 교육적 기록작업이 중요함을 함의한다. This study begins with understanding infants and toddlers as not only becoming also being . It aims at revealing completeness and themselves of infants and toddlers by looking at their daily life through the lens of An experience introduced by Dewey. Dewey states that An experience is one of our daily experience which is remarkable as we feel fulfillment and consummatory in it. For the aim of this study, daily life of one infant and one toddler was observed and analyzed. Their An experience has four common aspects which are intense pleasure of consummatory , aimful repetition and immersion , reconstitution as the consequence of conflict , a new goal from consummatory . These aspects have two features contingency and temporality , which show that infants and toddlers are competent agents who can construct their life experience by themselves with active decision-making and reflective thinking. The procedure of this study in order to illuminate infants and toddlers as active agents implies that listening to children and pedagogical documentation are important in education.

      • KCI등재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가형(Ga-Hyung Lee),정미경(Mi-Kyung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0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 적응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한국의 수도권의 대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연구기간은 2023년 11월 01일부터 2023년 11월 15일까지였다. 연구대상에게 학업적 자기효능감, 대학생활적응, 회복탄력성, 사회적지지에 대한 측정도구를 통해 설문 후 SPSS MACRO Model 5로 조절된 매개효과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분석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 사회적지지는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쳤으며,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은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업적 자기 효능감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는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들에게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가지게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대학생활에 적응하기 위해 회복탄력성의 역량을 향상시키고, 사회적지지를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들을 위한 학업적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에 대한 프로그램 형성의 기초자료가 될 것이며, 사회적지지 향상을 위한 공감대 형성 등에 대한 교육 및 프로그램의 요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college adjustment among university students.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a sample of 200 university stud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of South Korea. The research period was from November 1, 2023, to November 15, 2023. The research subjects were sur-veyed using measurement tools for academic self-efficacy, college adaptation,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The data was then analyzed for moderated mediation effects using the SPSS MACRO Model 5. Results The research analysis revealed that academic self-efficacy had an impact on resilience. Furthermore, academic self-efficacy,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were found to influence college adjustment.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resilie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college adjustment, while social support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college adjustment. Conclusions Therefore, it is crucial to foster academic self-efficacy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enhance their resilience capacity and social support to adapt to college life effective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argeting academic self-efficacy and resilience for university students. Additionally, it highlights the need for educational and programmatic interventions to improve social support and create a supportive environment for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