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산전 수신증의 생후 추적 관찰

        윤호영,김지홍,이재승,김병길,김명준,Yoon Ho-Young,Kim Ji-Hong,Lee Jae-Seung,Kim Pyung-Kil,Kim Myung-Joon 대한소아신장학회 1998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2 No.1

        목적 : 산전 초음파의 도입으로 출생 이전에 수신증을 발견하는 경우가 점차로 증가하고 있다. 수신증의 대부분은 태아기나 영아를 거치는 동안 자연적으로 소실되는 생리적 수신증이지만 수술적교정을 요하는 병적 수신증과 감별을 요한다. 그러나 아직까지 현재의 기술로는 일정한 관찰 기간 없이 병적 수신증을 정확하게 진단 하기는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산전 초음파 검사상 수신증이 의심되는 태아에서 산후 수신증을 확진하고 산전과 산후의 여러 요소와의 연관성을 비교 분석하여 조기진단 및 조기치료를 통하여 수신증으로 인한 신손상 및 합병증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85년 11월부터 1997년 9월까지 11년 10개월간 연세대학교 신촌 및 영동 세브란스병원에서 정기산부인과 초음파 검사를 실시하여 출생후까지 태아 수신증이 지속되었던 환아 65명 및 타 병원에서 산전 수신증이 의심되어 본원으로 전원되어 출생후까지 수신증이 지속되었던 환아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출생후 추적 초음파 검사 및 필요에 따라 이뇨성 신기능도, 경정맥 요로촬영, 배뇨성 요도방광찰영, DMSA 신주사를 시행하여 수신증을 확진하였고 산전, 산후 여러 요소와의 관계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총 환아 75명중 남아가 56명, 여아가 19명이었으며 양측성이 30명, 일측성이 45명이었고 총 105신단위중 38%에서 수술이 필요했다. 원인별로 요관 신우 접합부 폐쇄가 52%로 가장 많았으며 다발성 낭성 이형성신(10%), 요관방광 접합부 폐쇄(10%), 요관방광역류, 중복요관, 요관류 순이었고 원인을 찾을수 없는 경우도 25%였다. 신배확장군, 요로감염군, 수신증의 정도가 높은군에서 통계적으로 의의있게 수술을 더 많이 시행받았다. 또한 산전 초음파검사상 22mm 이상인 경우, 산후 1개월내 첫 초음파검사상 17mm이상인 경우에 80%이상에서 수술을 시행받았다. 결;론 : 산전 검사상 신배확장을 보인 경우, 산후에 요로감염을 보인 경우, 수신증의 정도가 점점 증가하는 경우 병적 수신증일 가능성이 더 크며, 산전 초음파검사상 신우직경이 22mm이상, 산후 1개월이내의 첫 초음파검사상 17 mm 이상인 경우에는 병적인 수신증인 경우가 많으므로 조기에 수술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determine the various prenatal factors related to the prenatal hydronephrosis diagnosed on prenatal ultrasonography. We also attempted to correlate the prenatal and neonatal renal pelvic anteroposterior diameter with the outcome in infancy Methods: Between 1985 and 1997. We retrospectively reviewed 105 renal unit (75 patient) with fetal hydronphrosis persisting postnatally. Investigation consisted of renal ultrasonography, voiding cystourethrography, diurectic renogram, and DMSA scan. Results: The 75 patient assesed had the following underlying cause: UPJ(Ureteropelvic juction) obstruction(52%). multicystic dysplastic kidney(10%). UVJ (Ureterovesicai juction) obstruction (10%) and no underlying cause (25%). Of theses cases 36 cases (40 renal unit) underwent operation, while 28 cases (50 renal unit) resoled spontaneously. 12% of mild hydornephrosis deteriorated. whereas 50% of modrate hydrophrosis and 81% of severe hydronephrosis required surgical correction. Attempting to find the renal unit that were at risk for deterioration. our study showed that urinary tract infection group and calyceal blunting group had a predictive role.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follow up after birth dilatation of caylx or urinary tract infection are present. Early operation is considered when prenatal pelvic AP diameter greater is than 22 mm and postnatal diameter greater than 17 mm. This may make it possible to prevent further progression of renal damage and prompt treatment of asymptomatic hydronephrosis before complications occur.

      • 국소 진행된 Type II 분문부 선암의 절제연 확보를 위한 수술 방법: 좌측 대장 간치술

        윤호영,김형일,이상훈,김충배,Yoon, Ho Young,Kim, Hyoung-Il,Lee, Sang Hoon,Kim, Choong Bai 대한위암학회 2008 대한위암학회지 Vol.8 No.2

        목적: 분문부 위선암의 치료는 아직까지는 근치적 수술이 원칙이고 특히 식도 침윤을 갖는 type II 분문부 위선암은 충분한 절제연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식도 침윤정도에 따라서 개흉과 개복을 통해 식도-위 절제를 하고 식도 대체술을 하는데, 그 중 저자들은 대장간치의 적응과 치료성적 등을 함께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 교실에서 저자에게 위암으로 수술을 받은 1,087명의 환자 중 type II 분문부 위선암으로 좌 또는 우 흉복부 개복과 경복부 절개(경열공)를 이용해 근치적 식도-위절제술을 하고 식도 대체술로 좌측 대장을 간치한 환자 10예를 대상으로 같은 type으로 Roux-en-Y를 받은 환자들과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 하였다. 결과: 남녀가 각각 9명, 1명 이었고 중간 연령은 52.5세(16~72세), 수술시간은 $449.00{\pm}87.39$ (SD)분이었고 평균 재원일수는 $20.60{\pm}6.73$ (SD)일이었다. 식도-위 동시성암은 1예가 있었고, 종양으로부터 근위부 절제연까지의 거리는 $6.56{\pm}3.65cm$였으며 종양의 크기는 $9.90{\pm}3.97cm$였는데 Roux-en-Y군의 값들과 차이를 보였다(sex and age matched analysis, P=0.019, P=0.046). 수술 사망은 없었고, 술 후 합병증은 2예가 있었는데 각각 문합부 협착과 폐기흉이었다. 사망은 총 4예가 있었고 수술 후 환자 대부분(83%)은 체중이 늘어 체중증가가 최대 16 kg까지 있었다. 결론: 식도 침윤을 하는 type II 분문부 위암에서 크기가 매우 큰 경우는 근치적 식도-위 절제술이 필요하다. 식도 대체 장기로는 좌측 대장을 이용 할 수 있는데 수술 시간이 길지만, 근치적 수술에 유리하고 식도-공장 문합술에 비해 수술 합병증이 많지는 않아, 재건술로 좌측 대장을 이용하는 방법도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Purpose: Radical surgery is the standard therapy for patients with resectable cardia cancer. In the case of type II disease with esophageal invasion, a transhiatal extended radical total gastrectomy is needed or a gastroesophagectomy through an abdomino-thoracotomy, depending on the extent of the esophageal invasion. We analyzed the indications and outcome of left colon interposition as an esophageal substitution.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1 January 1994 and 31 December 2006, 10 patients underwent left colon interposition after gastroesophagectomy through an abdomino-thoracotomy or the tanshiatal approach for type II cardia cancer at the Department of 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The outcomes of these patients were reviewed and compared, with those who underwent a Roux-en-Y, by gender and age matched analysis, retrospectively. Results: There were nine males and one female with a mean age of 52.5 (range, 16~72). The operation time was $449.00{\pm}87.39minutes$. The mean distance between the proximal resection margin and the cancer was $6.56{\pm}3.65cm$; the maximum size of the tumor was $9.90{\pm}3.97cm$. These measures differed significantly from patients who underwent Roux-en-Y. The patients had a double primary cancer in the cardia and esophagus. There were no events of colon necrosis. However, a pneumothorax occurred in one patient (10%) and a proximal anastomotic stricture occurred in one patient. There were no reports of heartburn, regurgitation, thoracic or epigastric fullness, and one patient even gained weight, 16 kg. Conclusion: Colon interposition after esophagogastrectomy was safe and effective and should be considered as an additional surgical option for locally advanced type II cardia cancer patients with esophageal invasion.

      • 위전절제술 후 문합부에 발생된 암에 대한 수술

        윤호영,이상훈,김충배,Yoon, Ho-Young,Lee, Sang-Hoon,Kim, Choong-Bai 대한위암학회 2007 대한위암학회지 Vol.7 No.3

        진단의 발달과 치료의 발전으로 위암의 치료 성적은 괄목한 성장이 이루어졌으나 근치적 위전절제술 후 암의 발생, 즉 문합부 재발암과 전이 그리고 이시성암이 발생되었을때 외과적 치료에 대한 보고와 결과는 많지 않으며, 특히 문합부에만 국소적으로 발생된 암은 흔치 않다. 근치적 위전절제술 후 문합부에만 국소적으로 발생된 암에 대하여 적극적인 수술을 함으로써 생존이 연장되었다는 보고가 있다. 연구자들은 위선암으로 근치적 위전절제술 후 발생한 문합부 국소재발 1예, 이시성 편평상피암 1예, 림프종 1예에 대하여 원격전이가 없음을 확인한 후 수술을 시행하여 모두 좋은 결과를 얻어 이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he survival of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is improved by early diagnosis and surgical treatment. However, there is no established treatment for locally recurrent cancer or cancer arising at an anastomotic site after total gastrectomy; further, most surgeons are reluctant to resect this type of cancer because of frequent systemic metastasis and there are few competent surgeons who have the skill to perform such an operation. We have experienced recurrent cancer at an anastomotic site after total gastrectomy: one patient had recurrent cancer and two patients had metachronous cancer. All these patients were operated on and the patients were discharged without any complications. All of them are alive at the time of this report. In some cases, good results could be expected for operating on recurrent cancer of an anastomotic site after previous total gastrectomy. So, we present here our experience along with a review of literatures.

      • KCI우수등재

        사람에서 컴퓨터 자동화로의 연결을 위한 탐색 : 객체 인식(Object Detection) 딥러닝 알고리즘 YOLO4, 자세 인식(Pose Detection) 프레임워크 MediaPipe를 활용한 음악 프로그램의 여성 신체 대상화, 선정적 화면 검출 연구

        윤호영(Ho Young Yoon) 한국언론학회 2021 한국언론학보 Vol.65 No.6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patterns of objectification and sexualization of the female body in music programs on television. The study’s goal is to identify rules for automated visual image detection of body objectification and sexualization. To do so, previous qualitative study findings were used to identify target images and the cutting-edge object-detection deep learning algorithm, YOLO4 (You Only Look Once), and MediaPipe, a framework for deep learning-based pose detection, were used to search for patterns. As this is a one-of-a-kind study linking body objectification and algorithm-based object detection, the case for analysis must be carefully chosen, taking into account random effects from unplanned camera movements caused by real-time broadcasting. The dance to the song ’Rollin’ by the female group ’Brave Girls’ had already been broadcasted earlier in 2017. Thus, the on-stage choreography and camera movements associated with the song were already known, making them suitable for research data. The study used music programs that aired on three broadcasting networks, KBS, MBC, and SBS, during the second week of March, 2021. To fine-tune the patterns, 12 screen images were selected by extracting keyframes from the song’s original music videos. The study’s findings are summarized below. To begin, when the scene transition is associated with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number of people in the visual frame in comparison to the previous frame, it is frequently associated with female body objectification. Because body objection is associated with an emphasis on a specific body-part in the absence of a face, this is essentially a zoom-in technique transited from a wide-angle view of the scene. This rule, however, is insufficient for detecting objectified visual images; it can also be applied to screen images that avoid sexualized images in the given dance choreography. As a result, an additional rule is required to exclusively find images of female body objectification, and it is discovered that detecting human faces on the screen appears to be a good measure. In other words, unless the human faces on the screen do not appear with the scene transition that shows a dramatic decrease in the number of humans in the scene, a visual flow of images can be considered female body objectification. The study also compared the levels of objectification across broadcasting networks and found that MBC has a lower proportion of sexualized images than that of other networks. On MBC’s music program, the MediaPipe framework for pose detection discovered fewer scene images with lower body parts than othe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omputer vision research can be used to detect female objectified bodies and sexual images in television programs.

      • SCOPUSKCI등재

        위장관 : Siewert 분류에 따른 분문부선암종의 임상병리학적인 특성

        윤호영 ( Ho Young Yoon ),김형일 ( Hyoung Il Kim ),김충배 ( Choong Bai Kim ) 대한소화기학회 2008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2 No.5

        목적: 분문부 선암종에서 Siewert 분류에 따른 type II와 type III 간에 임상병리학적인 차이 및 예후에 차이를 갖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0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분문부 선암종으로 진단되어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에서 한 외과의에게 수술을 받은 환자 141 예를 대상으로 하였고, 임상 기록을 후향으로 검토하여 생존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추정되는 성별, 연령, 수술방법, 병리조직 결과와 병기 및 수술 합병증 등의 요인에 대해 Siewert 분류법에 따라 type I, II 그리고 III로 나눈 후 Kaplan-Meier method와 log rank test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Type I 즉, 바렛 선암종은 2예였고, type II와 type III 간에 위벽 침윤, Lauren 분류에 따른 분포, 암 침윤이 있는 림프절 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Type III에서 생존에 영향을 미친 변수로는 위벽 침윤과 림프절 침윤 정도였는데 type II에서는 영향을 준 요인은 없었다. 생존과 재발에 있어서도 양 군 간 차이는 없었다. 결론: 서구와는 달리 type I의 수가 매우 적어 구체적인 임상병리학인 특징을 관찰할 수는 없었으나, type II와 type III 분문부 선암종에서는 양 군 간에 임상병리학적인 차이가 존재하여 앞으로도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Background/Aim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clinicopathologic differences between Type II and Type III groups that were classified by Siewert in cardia cancer. Methods: A hundred forty-one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gastric cardia cancer and underwent surgery between January 1990 and December 2006 by single surgeon at Department of 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Kaplan-Meier method and log rank test were used for survival analysis. Results: Barrett`s adenocarcinoma was recognized in two patients so called type I.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ype II and III in aspect of depth of invasion, Lauren`s classification, and the number of retrieved lymph nodes in which cancer infiltrated. In type III,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survival were depth of invasion and nodal status in contrast to the no demonstrable prognostic factors existing in type II.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recurrence and survival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s: Several clinicopathologic differences exist between type II and III cardia cancer. In the future, further evaluation is needed regarding the classification and entities of the cardia cancer. (Korean J Gastroenterol 2008;52:293-297)

      • KCI등재

        기술-사회 패러다임 용어는 어떻게 소비되는가? 탐색적 접근

        윤호영(Ho Young Yoon) 한국정보사회학회 2018 정보사회와 미디어 Vol.19 No.2

        본 연구는 기술-사회 패러다임 용어인 ‘4차 산업혁명’이라는 핵심어가 미디어에서 소비되는 방식을 탐색적으로 살펴본다. ‘4차 산업혁명’이라는 용어가 미디어에서 소비되는 맥락과 그 내용을 탐구함으로써, 기술 용어가 정책 용어로 활용되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기술 담론으로서의 성격이 제대로 반영되는지의 여부를 검토하였다. 4차 산업혁명을 검색어로 하여 26만건의 뉴스제목을 수집하였고, 단어 빈도 분석, 토픽 모델링, 연결망 그래프 등의 분석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4차 산업혁명 용어는 ‘미래의 경제 성장’이라는 의미와 동일하게 쓰였다. 따라서, 담론에서 기술의 의미가 탈각되고 추상화된 성장 담론의 의미만이 대부분 유통되었다. 둘째, 4차 산업혁명이란 단어는 공론장에서 정부 정책 합리화 수단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분석에 따르면 일자리 창출, 스타트업 등 정부가 추진하는 정책을 합리화시키는 수단으로서의 담론이 강조되었다. 셋째, 시간이 지남에 따라 4차 산업혁명 단어는 정책의 합리화에서 정책 이행의 합리화 단어로 연결되었다. 공론장에서 정책 내용 또는 기술을 설명하는 과정없이 해당 단어의 사용만으로 정책 실행을 합리화하는 담론이 유통되었다. This study explores the way that keyword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consumed in the media. It is examined that whether the discourse on the term can be characterized as a technology discourse or a policy discourse. The study has also examined how the characteristic of the term usage has changed as time passes. The study has analyzed about 260,000 news titles by employing various analysis methods such as word frequency analysis, topic modeling, and network graph.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first, the term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as used in the same sense as "an instrument for future economic growth". Second, the word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played a role as an rationalization means of government policy. It was instrumental to rationalize the government"s policies such as job creation and start-up support. Third, over time, the word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as evolved into the term for rationalizing policy implementation. The keyword was employed in order to justify policy implementation without any description of technology or social aspect of technology impacts.

      • KCI등재

        코로나 이전 및 이후 ‘어린이 유튜브’에 관한 기사 내용 트렌드 : 단어 빈도와 토픽 내용 탐색

        윤호영(Ho Young Yoon) 한국자료분석학회 2022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4 No.6

        본 연구는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신문 기사에 나타난 ‘어린이 유튜브’와 관련된 내용이 무엇인지 탐색하는 연구이다. 7,029건의 뉴스 기사 리드를 코로나 이전시기 1시기와 이후 시기 2시기로 나누어 텍스트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코로나 이전 시기인 제 1시기 2018-19년에는 어린이와관련된 유튜브 콘텐츠의 상업적 성공에 관심을 가지거나 사회적인 물의를 일으킨 사건에만 주목하는 선정성을 보인 반면, 코로나 시기인 제 2시기 2020-21년에는 비대면 행사와 관련된 내용이있는 가운데, ‘어린이’를 가해자로 보거나 미숙함의 대명사로 쓰는 어린이 유튜브 관련 내용이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제 1시기에 주로 나타난 단어들은 ‘유튜버’, ‘장난감’, ‘펭수’, ‘캐리’ 등 유명세가 높은 콘텐츠 생산자 단어들이었던 반면, 제 2시기에 주로 나타난 단어들은 ‘실시간’, ‘비대면/랜선’, ‘도서관’, ‘어린이날’ 등 콘텐츠 소비자 및 행사와 관련된 단어들이 많아 나타나고있었다. 또한 LDA 토픽 모델링으로 살펴본 바, 제 1시기에는 보니하니 사건과 같이 어린이에게유해한 콘텐츠에 대한 경각심을 올리는 피해자로서의 어린이 내용이 있었으나, 제 2시기에는 민식이법에 대한 불만이나 주린이처럼 어린이를 가해자 또는 미성숙한 존재의 대명사처럼 쓰이는쓰임새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계의 유해 유튜브 콘텐츠 노출 방지나 콘텐츠 내용에 관한 관심과는 매우 상이한 것으로 어린이 유튜브 콘텐츠와 관련된 사회적 담론과 연구가 상당히괴리되었음을 보여주는 탐색적 결과이다. This study explores the contents of news articles related to 'Children's YouTube' from year 2018 to 2021. The total of 7,029 news article was divided into two periods. In the first period between year 2018 and 2019 before COVID-19, the news articles were only interested in the commercial success of YouTube contents or sensational incidences related to children, whereas they were reported non-face-to-face events using YouTube during COVID-19 period between year 2020 and 2021, the second period. They also interested in children as perpetrators or used as synonymous with immaturity in the 2nd period. While the words that appeared mainly in the first period were related to famous content producers such as 'YouTuber', 'Toy', 'Pengsu', and 'Carry', the words that appeared mainly in the second period were many words related to content consumers and events such as 'Real-time', 'non-face-to-face/LAN', 'Library', and 'Children's Day'. According to our LDA topic models, news were worried about the the exposure of children to harmful contents, but in the second period, as it is seen in the complaints about the Minsik Act, the word children is used as a symbolic proxy of immaturity. These results are very different from the academic community's interest in preventing the exposure of children to harmful YouTube contents.

      • KCI등재

        지상파, 종편 뉴스 및 보수우파 유튜브 댓글 분석 : SVM 텍스트 분류와 Glove 방법의 적용

        윤호영(Ho Young Yoon) 한국자료분석학회 202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3 No.3

        본 연구는 유튜브 내 지상파, 종편, 보수 우파 방송 뉴스 미디어의 댓글을 분석하는 연구이다. 본 연구는 유튜브라는 공간 내 뉴스 미디어 방송 채널 간 댓글의 유사성을 살펴보고, 유사성을 기준으로 여론 지형을 살펴보고자 한다. 5개월간 평일 주중 뉴스 방송에 대한 9개 채널의 댓글을 수집하여 서포트 벡터 머신(Support Vector Machine, SVM)과 단어 임베딩 방법인 Glove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인 이들 9개 방송의 댓글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첫??, 유튜브 방송 미디어 댓글 생태계는 크게 MBC 중심 지상파와 정규재TV 보수우파 채널 중심의 2개의 여론 중심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 JTBC와 채널A는 중간자적 위치에 있었으나 TV조선은 독자적 위치였다. 셋째, 방송 뉴스 미디어의 댓글이 다루는 이슈는 자료 시기상 ‘검찰’에 관한 사항 등으로 유사하였으나 그 실질적 내용은 중심 인물과 방송에 대한 반응 측면에서 여론 중심부가 판이한 형태를 보여, 양극화된 양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튜브 내 다채널 댓글 생태계에 대한 상호 비교 기반 최초의 경험적 연구라는 의의와 기계학습을 활용한 텍스트 분류 전산사회과학 기반 연구라는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analyzes YouTube comments on three network news, three cable network news, and three conservative-right YouTube creators’ news-format content. After collecting weekday comments on those media for five consecutive months, the study has employed three text analysis methods: word frequency, Glove word embedding and Support Vector Machine(SVM). Particularly, machine learning text classification method SVM is used in order to examine whether comments on each news outlet can be classified into the comments from their news outlet origins. As a result, the study has found three findings. First, two foci of the comments ecology is found. One is MBC and the other is one of conservative creators media called Fun & Mic. Second, SBS and two cable news channels such as JTBC and Channel A were ideological in the middle position between them. Third, it is found that the commentaries are usually dealt with the same issue across examined channels and supporting messages from audiences are often found. However, the subject for supporting was different. For example, the comment message on MBC has shown the support to media outlet, whereas the message on Fun & Mic contains the support to the owner of the channels and Attorney General who seemed to oppose against the governing party. Overall, the study has shown that the comments opinions are divided into two poplars of news media channels. In the future, YouTube creators from liberal-progressive can be added for additional support in order to draw the completed picture with a bird eye view of comments ecology.

      • KCI등재

        변화하는 시대에 커뮤니케이션학 연구하기

        윤호영(Yoon Ho Young) 한국언론학회 2018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4 No.1

        본 글은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컴퓨터연산 사회과학 방법(CSS)이 커뮤니케이션 연구와 어떻게 서로 만날 수 있는 지에 관해 논의한다. CSS를 행위자기반 모형, 연결망 분석, 텍스트 마이닝 및 분석의 3가지로 요약하여 정리하고 해당 방법론이 가진 특징이나 지금까지의 경과를 논의하면서 이러한 방법론의 동향과 앞으로의 전망을 생각해본다. 그리고 교육 및 연구, 데이터와 관련된 사항 역시 몇 가지 고찰해 보고, CSS 연구 방법론이 가져올 수 있는 함의를 한 가지 지적하였다. This paper discusses how Computational Social Science(CSS) intertwines with communication study. CSS is reviewed with three main areas: Agent-Based Model, Network Analysis, & Text mining. By discussing current development and prospect, it is elaborated that how the field of communication conjoins with CSS and what is its implications. Research and Educational aspect of CSS is also discussed.

      • KCI등재후보

        한국 정치인들의 트위터 활용 방식

        윤호영(Ho Young Yoon),박한우(Han Woo Park) 동아인문학회 2011 동아인문학 Vol.2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pattern of Twitter use by politician. In order to do so, the paper examines politician"s Twitter message and name-referring message network. While the former is to analyze main discourse subjects by politicians, the latter is to indicate how politicians’ daily messages reflect real political issues. The analysis of this paper is conducted by differentiating political groups in accordance with their political orient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liberal-progressive politicians outweighs conservative politicians on Twitter so that they lead daily political activity with the publ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