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요국의 유럽평의회 사이버범죄방지협약 비준 과정 및 쟁점

        윤해성 ( Yoon Hae Sung ),라광현 ( Ra Kwang Hyun ) 한국경찰학회 2019 한국경찰학회보 Vol.21 No.3

        사이버범죄 공동대응을 위한 유럽평의회의 사이버범죄방지협약에 주요 선진국들은 대부분 가입해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아직까지 협약에 가입하지 않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사이버범죄방지협약 가입과 관련한 선진국들의 비준 과정과 현안을 미국, 일본, 캐나다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협약 가입과 관련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사이버범죄방지협약은 쌍방가벌성 문제, 영장 없는 신속한 자료보전, 통신데이터 실시간 수집 등 다양한 사회적·입법적 쟁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형사사법관할을 초월하여 발생하며, 급증하고 있는 사이버범죄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을 위해서는 더 이상 협약 가입을 늦출 수는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우리의 경우도 사이버범죄방지협약의 가입을 위해 신속히 이행입법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외국협약 가입국들의 선례를 검토하여 신속히 이행입법을 추진하는 동시에, 국민의 기본권을 충분히 보장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Most of the major industrialized countries have joined the Convention on Cybercrime of the Council of Europe to jointly respond to cybercrime, but Korea has yet to join the Conven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discussion process and current issues of the advanced countries related to the accession of the Cybercrime Convention in the United States, Japan and Canada,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Korea 's accession to the cyber crime prevention treaty. The Convention on Cybercrime has various social and legislative issues such as double criminality, rapid data preservation without warrants, and real-time data interception. However, it occurs beyond the existing criminal justice jurisdictions and it is no longer possible to delay the accession to the Convention in order to effectively respond to the rapidly increasing cybercrime. Therefore, in our case, the implementation of the legislation should be promoted promptly in order to join the Cyber Crime Prevention Convention. In addition, it should review the precedents of the countries that are involved in foreign conventions and promptly implement legislation, and at the same time, prepare measures to ensure the basic rights of citizens.

      • KCI등재

        성폭력 피해사실과 사실적시 명예훼손죄의 적용 문제

        윤해성(Hae-Sung, Yoon)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2021 이화젠더법학 Vol.13 No.1

        「헌법」에서는 표현의 자유와 알권리에 대한 기본권을 명시하고 있으나, 우리 「형법」은 사실을 적시하면 처벌하겠다는 금지규정을 마련하고 있다. 해외의 경우 허위의 사실을 말하면 처벌하지만 진실한 사실을 적시하는 행위는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하여 비범죄화하는 경향이 대세이다. 그리고 독일과 일본은 진실한 사실을 입증하면 처벌하지 않고 있어 표현의 자유를 폭넓게 인정하고 있다. 또한 UN 인권위원회와 국제인권단체는 한국의 사실적시 명예훼손죄 규정을 폐지하거나 명예훼손 행위에 대한 형사적 처벌을 민사적 제재로 대체하도록 하여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도록 계속적으로 권고한 바 있다. 2018년 미투 운동 당시 피해자는 성폭력 사실을 폭로했지만 오히려 사실적시 명예훼손죄 규정으로 인하여 진실을 발설하지 못하고 이로 인하여 2차, 3차의 정신적 피해를 입는 문제점이 지적되기도 하였다. 이뿐만 아니라 성폭력 가해자는 성폭력 폭로를 조기에 진화하는 수단으로 「형법」상 사실적시 명예훼손죄 규정을 이용하여 고소를 남발하기도 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성폭력 피해사실을 중심으로 현행 사실적시 명예훼손죄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성폭력 피해자의 인권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The Korean criminal law stipulates a ban on punishment for stating facts, but the Constitution stipulates basic rights to freedom of expression and the right to know. In the case of overseas countries, the crime of defamation is actually being decriminalized to ensure freedom of expression. And Germany and Japan have widely acknowledged freedom of expression as they do not punish them if they prove the truth. In the world, people are punished for telling false facts, but few countries are punished for telling the truth. The U.N. Human Rights Commission and international human rights groups have repeatedly recommended the abolition of Korea’s regulations on just-in-time defamation or the replacement of criminal penalties for defamation with civil sanctions. In Korea, the Me Too movement encouraged the disclosure of sexual violence, but in fact, the timely defamation law blocked the victim"s mouth or caused mental damage, which led to the second and third victims. Furthermore, sexual offenders are suing themselves by using defamation regulations in a timely manner under criminal law as a means of early evolution of sexual violence revelations. Therefore, in this paper, we will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rime of defamation and the victims of sexual violence and review the current problem of the crime of defamation and suggest ways to improve the human rights of victims of sexual violence.

      • KCI등재후보

        안보사범에 대한 선제적 대응방안 고찰 -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

        윤해성(Yoon, Hae-Sung),주성빈(Joo, Seong-Bhin) 한국테러학회 2015 한국테러학회보 Vol.8 No.2

        9ㆍ11 테러사건 이후 주요 국가는 감청제도의 확대, 비밀 수색의 허용, 구금기간의 연장 등 많은 감시규정과 수사기관ㆍ법집행기관의 권한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를 취했다. 법제도의 규정방식과 제도내용 등은 국가마다 차이가 있었지만 공통된 것은 안보범죄에 대한 사전방지를 위한 감시활동과 수사 기능에 따른 권한강화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하지만, 현재 우리 법제도는 수사기관이나 정보기관 등 법집행기관의 수사여건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으며, 더욱이 테러리스트, 간첩 등 안보사범의 경우, 사법부의 인권편향 판결로 인하여 오히려 수사기관의 사기를 저하시키고 있다. 시국은 신안보주의 경향인데도 수사환경은 개선되지 않고 오히려 역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안보사범의 처리에 있어 현실과 동떨어진 법제도는 보완이 시급하다. 대공수사 기관의 손발을 묶어 놓은 채, 일반 형사사건과 같은 증거능력과 적법절차를 요구하는 것은 간첩혐의를 입증하기 더 어려운 상태에 놓이게 하는 것이다. 미국의 애국법과 같은 법제를 우리나라에 적용하는 것이 시기적으로 적절하지 못한다면 우리 특별법상의 형사특례조항을 제정하거나 적어도 안보사범에 대하여 형사소송법상의 특례조항을 마련하는 것이 현재로서는 최선으로 보인다. 특히 간첩이나 테러리스트 수사에 있어서 무엇보다 필요한 것이 선제적 대응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므로 이를 위해서는「통신비밀보호법」의 개정을 통해 안보사범에 대한 통신제한조치 요건을 완화하거나 안보범죄의 예비죄의 신설을 검토하는 등 적극적인 법ㆍ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할 시점이다. After 9ㆍ11 attack, the major countries have taken steps to strengthen power of the law-enforcement agency such as communicationㆍsecurity monitoring and extension of custody period etc. Although there is also a great discrepancy between countries, the major countries‘s the system about regulatory and institutional details are focused on the empowerment of the monitoring and investigation functions for the counterterrorism activities. However, our legal system has not considered investigation circumstances of the enforcement agencies, investigation and intelligence agencies. Moreover, enforcement and investigation agency’ members are in low spirits because Department of Justice reach a verdict an human rights background-oriented decision on the cases of the national security violators such as terrorist and spy. This goes against national and social progress Therefore, this study’s main purpose find a preemptive measures of the national security violators. Law enforcement agencies such as police and prosecutors was needed scientific investigative methods by preemptive measures such as a wire tapping, monitoring, recording for effective crime prevention. Especially, enactment of conspiracyㆍinchoate crime on national security violators and the amendment of 「Communications Privacy Act」 for preemptive measures of the national security violators is very important.

      • 공작기계의 절삭에너지 변화에 관한 연구

        윤해성(Hae-Sung Yoon),이장엽(Jang-Yeob Lee),김민수(Min-Soo Kim),안성훈(Sung-Hoon Ahn) 대한기계학회 2013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3 No.12

        Measurement of energy consumption is the basic activity in energy-saving researches. Moreover, monitoring of power consumption also could be applicable to condition monitoring of machine tools. Many researches have been extensively performed in this area. In this research, material removal energy was measured using total energy consumption of machine tool, and was analyzed in terms of various process parameters and tool wear. Material removal energy increased linearly as flank wear increased. Since increase of material removal energy varies differently in accordance with process parameters, more detail energy model needs to be constructed.

      • KCI등재

        압출방식 3D 프린팅 적층물의 단면 형태와 적층강도와의 관계

        윤해성(Hye Sung Yoon),류민영(Min-Young Lyu),진선철(Sun Chul Jin) 한국고분자학회 2018 폴리머 Vol.42 No.5

        3D 프린팅 중 재료압출방식(material extrusion type)은 사용이 간편하고 다양한 소재가 가능하며 경제적이어서 이의 활용도가 가장 높다. 본 연구에서는 재료압출방식 3D 프린팅에서 적층물 단면의 모폴로지를 관찰하고 적층 강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사용한 재료는 ABS, PLA, 그리고 PC이며 적층온도를 달리하여 적층물 단면의 형태를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적층물의 단면은 적층 로드가 접촉된 세로방향과 가로방향의 네크 길이, 그리고 적층로드가 채워지지 않은 에어 홀로 구성되어 있다. 적층온도와 재료의 물성에 따라 네크의 길이와 에어 홀의 밀도가 다르게 관찰되었다. 에어 홀의 밀도는 PLA에서 가장 작았고, ABS에서 가장 컸다. 사용한 모든 소재에서 네크 길이와 에어 홀 밀도는 적층온도에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었고, 온도가 높을수록 네크 길이가 길고 에어 홀의 밀도가 줄어들었다. 네크 길이가 길수록 에어 홀의 밀도가 작을수록 적층강도는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다. Material extrusion (ME)-type printing is the most popular among the 3D printing processes because it is easy to operate, economical, and can be performed for a variety of materials. In this study, the cross-section morphology of a ME-type 3D printing manufactured specimen was observ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ross-section morphology and deposition strength was analyzed. The materials used in this study were acrylonitrile-butadien-styrene (ABS), polylactic acid (PLA), and polycarbonate (PC), and the cross-section morphology for various nozzle temperatures was observed using an optical microscope and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cross-section morphology of a 3D printing manufactured specimen consisted of vertical and horizontal neck lengths, which were the interfaces between roads and air holes, where the roads were unoccupied regions. It was observed that the neck length and air hole density were dependent on the nozzle temperature and material property. The lowest and the highest air hole density were observed in the PLA and ABS specimen, respectively. Neck length and air hole density were directly related to nozzle temperature. A higher nozzle temperature provided a longer neck length and a lower air hole density. The deposition strength increased as the neck length increased, and the air hole density decrea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