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윤진희,최승회,Yoon, Jin-Hee,Choi, Seung-Hoe 한국통계학회 2009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 Vol.16 No.5
This paper deals with a rank transformation method and a Theil's method based on an ${\alpha}$-level set of a fuzzy number to construct a fuzzy linear regression model. The rank transformation method is a simple procedure where the data are merely replaced with their corresponding ranks, and the Theil's method uses the median of all estimates of the parameter calculated from selected pairs of observations. We also consider two numerical examples to evaluate effectiveness of the fuzzy regression model using the proposed method and of another fuzzy regression model using the least square method. 본 논문에서는 퍼지수를 포함한 모수적 회귀모형을 추정하기 위하여 분포무관추정량으로 알려진 순위 변환방법과 Theil 방법을 소개한다. 순위 변환방법은 퍼지수의 ${\alpha}$-수준집합의 중심과 폭에 대한 순위를 이용하고 Theil 방법은 ${\alpha}$-수준집합의 중심과 폭에 대한 추정한 값들의 중위수를 이용한다. 예제를 이용하여 분포무관추정량으로 추정된 퍼지회귀모형의 효율성을 최소자승법과 여러 가지 방법으로 추정된 퍼지회귀모형과 비교한다.
Nd:YAG 레이저(${\lambda}$ = 1444 nm)를 이용한 연골 재성형 효과 규명
윤진희,윤종인,Yoon, Jin-Hee,Youn, Jong-In 대한의용생체공학회 2010 의공학회지 Vol.31 No.6
Mechanically deformed cartilage undergoes a temperature dependent phase transformation resulting in reshaping of cartilage. Laser-assisted cartilage reshaping (LCR) is recently introduced to recreate the underlying cartilage framework in structures such as ear, larynx, trachea, and nose. However, this procedure has not been fully supported by confirmed efficacy because of the lack of scientific research and its safety iss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current laser sources to determine optimal laser wavelength for LCR using mathematical simulations and investigate optical, thermo-mechanical, and backscattering properties of cartilage after laser irradi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1444 nm wavelength was effective for reshaping of cartilage with minimal thermal damage in the surrounded tissues by monte carlo simulations. Analysis of bend angle changes, thermo-mechanical characteristics, and backscattered properties may be useful to better identify the biophysical transformation responsible for stress relaxation in cartilage and develop an optical feedback control methodologies.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ast Asian Marginal SST and the Two Different Types of El Niño
윤진희,예상욱,Yoon, Jin-Hee,Yeh, Sang-Wook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Technology 2009 Ocean and Polar Research Vol.31 No.1
In this study we define the two different types of El $Ni{\tilde{n}}o$, i.e., the eastern Pacific El $Ni{\tilde{n}}o$ (i.e., EP-El $Ni{\tilde{n}}o$) versus the central Pacific El $Ni{\tilde{n}}o$ (i.e., CP-El $Ni{\tilde{n}}o$), during the boreal summer (June-July-August, JJA) and winter (December-January-February, DJF) using the two NINO indices in the tropical Pacific. The two different types of El $Ni{\tilde{n}}o$ significantly differ in terms of the location of the maximum anomalous sea surface temperature (SST) in the tropical Pacific. The CP-El $Ni{\tilde{n}}o$ has been observed more frequently during recent decades compared to the EP-El $Ni{\tilde{n}}o$. In addition, our analysis indicates that the statistics of CP-El $Ni{\tilde{n}}o$ during JJA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warming trend in the central equatorial Pacific. We also examine the different responses of the East Asian marginal SST to the two types of El $Ni{\tilde{n}}o$ during JJA and DJF. The CP-El $Ni{\tilde{n}}o$ during both JJA and DJF is concurrent with warm SST anomalie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including the East China Sea, which is in contrast to the EP-El $Ni{\tilde{n}}o$. Such different responses are associated with the difference in tropics/mid-latitude teleconnections via atmosphere between the two types of El $Ni{\tilde{n}}o$. Furthermore, our results indicate that atmospheric diabatic forcing in relation to the precipitation variability is different in the tropical Pacific between the EP-El $Ni{\tilde{n}}o$ and the CP-El $Ni{\tilde{n}}o$.
중년기 여성의 감정표현불능성향과 신체화의 관계에서 포커싱적 태도의 매개효과
윤진희(Yoon Jin Hee),김영희(Kim Yeong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9
본 연구는 중년기 여성의 감정표현불능성향과 신체화의 관계에서 포커싱적 태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40세에서 60세까지의 중년기 여성 356명을 대상으로 2019년 3월 9일∼2019년 3월 22일까 지 감정표현불능성향, 포커싱적 태도, 신체화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자료처리는 SPSS 21.0과 AMOS 21.0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감정표현불능성향과 신체화는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 감정표 현불능성향과 포커싱적 태도의 하위요인, 포커싱적 태도의 하위요인과 신체화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감정표현불능성향과 신체화의 관계에서 포커싱적 태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모형과 경쟁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 한 결과, 포커싱적 태도가 부분 매개하는 연구 모형이 더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감정표현불능성향이 높은 중년기 여성을 상담할 때 체험변인인 포커싱적 태도를 다루는 것이 신체화를 예방,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방안임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focusing manner in relation to alexithymia and somatization of middle-aged women. To that end, 356 middle-aged women between the ages of 40 and 60 in Seoul and Gyeonggi were surveyed from March 9, 2019 to March 22, 2019, using alexithymia, focusing manner and somatization(Symptom Checklist-90-Revision; SCL-90-R). Data processing was performed with SPSS 21.0 and AMOS 21.0. To summariz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firstly, alexithymia and somatizatio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lower factors of alexithymia and focusing manner, lower factors of focusing manner and somatization both indicated significant correlation. Second, the research model and the competition model were established and verified to identify the mediated effects of focusing manner in relation to alexithymia and somatization, and the study model partially mediated by focusing manner was found to be more appropriate. These results suggest that dealing with the experience-based focusing manner of counseling middle-aged women with high alexithymia is an effective way to prevent and reduce somatization.
뉴스 방송무대공간에서 앵커 테이블 공간구성요소의 중요성 연구
윤진희(Yoon, Jin Hee),김현중(Kim, Hyun Joo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7 No.2
2011년 12월 1일 종합편성채널이 개국되면서, 미디어 환경의 구조적 변화가 심화되고 채널 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차별화된 비주얼 표현이 더욱 강조되었다. 따라서, 각 채널을 대표하는 메인 뉴스 프로그램의 채널 아이덴티티를 전달함에 있어 무엇보다 방송무대공간 다자인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뉴스 프로그램의 방송무대공간을 디자인할 때 공간구성요소의 중요성을 판단하기 위해 송출화면 분석을 통한 공간구성요소를 도출하고, 요소별 비중도를 반영하여 방송 시간 대비 노출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앵커 테이블은 노출도가 가장 높은 공간구성요소로 나타났다. 앵커 테이블은 앵커와 가장 근접한 물리적 거리에 있고 해당 채널의 아이덴티티를 조형적으로 반영한 요소이므로 공간 구성에 있어서 채널을 대표하는 공간적 요소임이 틀림없다. 이처럼 방송무대공간은 채널의 아이덴티티를 적용하여 시각적 차별화를 유도할 수 있는 공간적 구성요소이다. 앵커테이블은 방송 무대의 공간 구성적 측면에서 가장 우위에서 그 기능적 역할을 수행할 뿐 아니라 형태적으로도 주목도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중요한 공간구성요소인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조명, 카메라에 따른 송출화면 변수를 분석하여 지속적으로 무대공간 표현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채널 브랜드 가치를 높이기 위한 방송무대공간의 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As the comprehensive programming channel opened on December 1, 2011, the structural changes in the media environment intensified and competition between channels became more intense, and differentiated visual expressions were emphasized. Therefore, the importance of broadcasting stage space design has emerged above all in conveying the channel identity of the main news program representing each channel. This study derived spatial components through transmission screen analysis to determine the importance of spatial components when designing the broadcasting stage space of news programs, and analyzed the exposure level compared to broadcasting time by reflect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element. As a result, the anchor table was the spatial component with the highest exposure. The anchor table is the closest physical distance to the anchor and is a spatial element representing the channel in spatial composition because it is a formative factor reflecting the identity of the channel. As such, broadcasting stage space is a spatial component that can induce visual differentiation by applying the identity of the channel. The anchor table is an important spatial component that not only plays a functional role in the most dominant aspect in terms of spatial composition of broadcasting stage, but also draws attention in terms of form. Based on this study, I would like to continuously analyze the representation of stage space by analyzing the transmission screen variables according to lighting and camera. Through this, the design direction of broadcasting stage space is suggested to enhance the value of channel brand.
도구를 활용한 대근육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기하 및 공간 능력에 미치는 영향
윤진희(Yoon Jin Hee),이지현(Lee Jee hyun) 구성주의유아교육학회 2020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근육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하 및 공간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G구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42명을 각각 21명씩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구성하여 4주간 주 5회씩 총 20회에 걸쳐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홍혜경, 이정욱, 정정희(2006)가 개발한 기하 능력 검사 도구와 홍혜경(2001)이 개발한 공간능력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검사를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공분산 분석(ANCOVA)을 통해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이 기하 및 공간능력에 있어 비교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근육 신체활동이 유아의 자유로운 탐색과 도구를 이용한 구체적 적용 활동을 통해 공간 및 기하 능력 증진에 효과가 있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육현장에서 대근육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하 및 공간 능력 증진에 효과적인 활동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how gross motor physical activities influence the geometric abilities and spatial capabilities of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2 five-year-old children, separat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of 21 children respectively. All of the subjects were from S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the G division of Seoul. The program was put in place over the course of four weeks with five sessions per week. In order to measure the geometric ability of the children, this study used a geometric ability test from ‘Early childhood mathematics measurement (Hong Hye Gyeong, Lee Jeong Wook, Jeong Jeong Hee, 2006) as a test tool. To measure spatial ability, this study used test tools from ‘Configuration system of spatial ability (Hong Hye Gyeong, 2001; Del Grande, 1990)’. The collected data was then analyzed and verified by implementing ANC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gross motor physical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geometric and spatial abilities of children when comparing the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s. This further indicates that gross motor physical activities can be used to enhance children’s geometric and spatial abilities in the child education field.
교사의 자율성지지와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충족의 매개효과 검증
윤진희(Yoon Jin Heu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사의 자율성지지가 학습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두 변인과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충족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도 소재 3개의 초 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유효한 설문지 301부가 최종 분석대상이 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18.0판과 AMOS 21.0판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자율성지지, 기본심리욕구 충족, 학습몰입은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r=.36~.74, p<.01). 특히, 기본심리욕구 충족과 학습몰입이 높은 상관(r=.74, p<.01)으로 나타나 밀접한 관련성을 나타내었다. 둘째, 관련 선행연구들을 이론적 토대로 하여 교사의 자율성지지가 기본심리욕구 충족을 매개로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검증을 실시하였다. 모형 검증 결과, 교사의 자율성지지가 기본심리욕구 충족이라는 매개변인을 통해서 학습몰입에 이르는 간접효과가 나타났다. 모형의 적합도 지수들 을 산출한 결과 양호했으며(TLI, CFI>.90),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 결과는 학습몰입을 촉진하기 위해서 교사의 자율성지지적인 태도와 학생의 기본심리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on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on teacher’s autonomy support and learning flow. For that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301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each variabl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Second, teacher’s autonomy support had an effect on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Third,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had an effect on learning flow. Fourth, teacher’s autonomy support indirectly influenced on the learning flow by the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used data for implication for counseling practice and follow-up study were discussed.
윤진희(Jin Hee Yoon),이우주(Woo-Joo Lee),최승회(Seung-Hoe Choi)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13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23 No.4
설명변수와 반응변수 사이의 통계적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회귀모형을 분석하는 방법을 회귀분석이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에 대한 퍼지관계를 표현하는 퍼지회귀모형를 추정하기 위하여 이상치에 민감하지 않은 로버스트한 추정량인 Theil방법을 소개한다. Theil방법은 설명변수와 반응변수의 -수준집합의 각 성분으로 구성된 집합에서 선택한 임의의 두 쌍 자료로부터 계산된 변화율의 중위수를 두 변수에 대한 변화량의 추정량으로 간주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Theil방법이 최소자승법을 이용하여 추정된 퍼지회귀모형보다 더 정확할 수 있음을 예제를 통하여 확인한다. Regression Analysis is an analyzing method of regression model to explain the statistical relationship between explanatory variable and response variables. This paper introduce Theil’s method to find a fuzzy regression model which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lanatory variable and response variables. Theil’s method is a robust method which is not sensive to outliers. Theil’s method use medians of rate of increment based on randomly chosen pairs of each components of α-level sets of fuzzy data in order to estimate the coefficients of fuzzy regression model. We propose an example to show Theil’s estimator is robust than the Least squares estim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