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사회 경증치매환자를 대상으로 한 전산화 인지재활 치료(COMCOG) 효과

        정원미(Jeong, Won-Mee),황윤정(Hwang, Yun-Jung),윤종철(Youn, Jong Chul) 한국노년학회 2010 한국노년학 Vol.30 No.1

        본 연구는 시-지각 이론에 근거한 전산화 인지재활치료가 경증치매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 인지기능과 작업수행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치매환자를 위한 독립적인 지역사회에서의 적응을 위한 인지재활치료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은 2009년 2월부터 2009년 8월까지 용인시 치매예방관리센터에 내원한 경증 치매환자 14명을 대상으로 5주 동안 주 2회, 총 10회 가정 방문하여 전산화인지재활치료를 실시하였다. 전산화인지재활치료는 시-지각이론의 틀에 근거하여 실시하였다. 알쯔하이머치매군과 비알쯔하이머치매군을 대상으로 치료 전후의 일상생활수행능력, 인지기능과 작업수행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유사실험연구로써 단일군 전후실험설계를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전산화인재활치료 실시 전에 비하여 실시 후에 경증치매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 인지수준판별검사 등의 인지기능과 작업수행 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둘째, 비알쯔하이머치매군에 비하여 알쯔하이머치매에서 인지기능의 변화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p<.05). 따라서 시-지각 이론의 틀에 근거한 전산화 인지재활치료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경증치매환자의 전반적인 인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 향상에 효과적으로 보인다. 또한 인지기능과 일상생활 독립성의 증가로 인하여 작업수행에 대한 만족감도 증가에도 효과적이었다. 앞으로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경증치매환자의 기능향상을 위한 보다 다양한 인지재활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a Computer - 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CBCRT) evidence based on mild dementia patients' ability to activities daily living(ADL), cognitive function and measure of occupational performance and to suggest basic data for a 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for dementia patients. Method : A CBCRT was applied two times a week for 5 weeks to 14 mild dementia patients who visited Yongin Center for Managing Dementia in Gyeongi-do between February and August 2009. Based on frame of reference for Visual-Perception a CBCRT was applied at home. Moreover, a one group pretest-post test design was, which is a quasi-experiment and research, also applied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rehabilitation therapy on the subjects' ability to ADL, cognitive function and occupational performance skills. Results: A significant effect was confirmed (p<.05) from the CBCRT which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AMPS) processing skills and cognitive function and occupational performance skills. Neither was found any significant effect in improving motor skills from AMPS. Conclusion: It seems that a CBCRT based on evidence and has an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ability to ADL and cognitive function of mild dementia patients living in a community. The present author hopes that, in the future, more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s will be developed to improve the functions of mild dementia patients living in a community.

      • KCI등재SCOPUS

        딸기과실 표면에서 Eschercia coli DH5a::gfp 증식

        윤혜정 ( Hye Jeong Yun ),박경훈 ( Kyeong Hun Park ),류경열 ( Kyoung Yul Ryu ),윤종철 ( Jong Chul Yun ),김병석 ( Byung Seok Kim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구 한국농산물저장유통학회) 2013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는 딸기에 E. coli DH5a::gfp 균주를 인위적으로 접촉시켜 배양 온도(10, 15, 20, 25, 30℃), 시간(24, 47, 72, 96시간) 및 접촉횟수(0, 2, 4, 6회)에 따른 미생물의 증식가능성을 살펴보고, 딸기 추출물 함량에 의해 E. coli DH5a::gfp의 증식가능 여부를 측정하였다. 저장온도 및 시간에 의한 E. coli DH5a::gfp의 증식은 25, 30℃에서 24시간 배양후 7.36~7.78 log CFU/g로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10~20℃에서는 48시간 후 6.49~8.49 LOG CFU/g로 서서히 증식하였다. 각각의 온도에서 96시간 배양 후 15,25℃조건에서 E. coli DH5a::gfp의 밀도가 가장 높았으며 10℃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접촉횟수에 의한 E. coli DH5a::gfp의 증식은 접촉횟수에 상관없이 10, 15℃에서는 E. coli DH5a::gfp의 성장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20℃에서는 접촉횟수 증가에 따라 1.52~3.26 log CFU/g 수준으로 증식하였으나 대조군과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배양온도가 25, 30℃인 경우 접촉횟수가 6회인 경우 각각 5.17, 5.01, log CFU/g 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딸기 추출액 함량이 미생물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추출액의 멸균여부에 상관없이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대조군으로서 딸기 추출물 0%인 경우 minimal broth에서의 E. coli DH5a::gfp의 증식은 배양기간 동안 1 log CFU/g증가하는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추출물 함량이 50% 미만인 경우 대조군에 비해 E. coli DH5a::gfp의 증식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50, 25$ 추출액에서 각각 4,5 log CFU/g 증가하였다. To verify the multiplication of microorganisms on the surface of strawberries, the fate of E coli DH5a::gfp at different temperatures, times and strawberry extract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The population of E. coli DH5a::gfp rapidly increased by 7.36~7.78 log CFU/g at 25~30℃ for 24 hr and slowly increased by 6.49~8.49 log (CFU/g at 10~20℃ for 48 hr: However, E. coil DH5a::gfp did not grow at 10~15℃ on the surface of the strawberries regardless of the contact times with the bacterial suspension. E. coli DH5a::gfp reached l.52~3.26 log CFU/g at 20t as the contact frequency increased from two to six times. The contact frequencie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In the case of the six-time contact on the surface of the strawberry at 25 and 30t, the E. coli DH5a::gfp increased by 5.17 and Sill log CFU/g. The effects of the strawberry extracts on the growth of E. coli DH5a::gfp showed that sterilization and non-sterilization do not affect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for 96 hr. In die minimal broth, the growth of E. coli DH5a;:gfp increased 1w 1 log CFU/g for 96 hi; In less than 50 percent of the rninimal extracts, the growth rate of E. coli DH5a::gfp was higher than in the control and increased by 4 and 5 log CFU/g at 50 and 25 percent of strawberry extracts, respectively. Therefore, E. coli DH5a::gfp can multiply and survive on the surface of strawberries when it conies into contact with the fruit extract.

      • KCI등재
      • KCI등재

        간.혼작을 이용한 유기농 배추 주요해충 발생경감 효과

        김민정,심창기,김용기,지형진,윤종철,박종호,한은정,홍성준,Kim, Min-Jeong,Shim, Chang-Ki,Kim, Yong-Ki,Jee, Hyeomng-Jin,Yun, Jong-Chul,Park, Jong-Ho,Han, Eung-Jung,Hong, Sung-Jun 한국유기농업학회 2013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21 No.4

        본 연구는 유기농 배추재배를 위한 주요 해충 방제를 위한 push-pull 전략 수립을 하고자 유인 또는 기피식물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2012년 충남 서산의 유기농 배추재배농가에서 발생하는 배추좀나방, 배추잎벌레, 진딧물, 비단노린재 및 갈색노린재에 대한 메리골드, 호밀, 부추, 상추, 치커리, 농우-치커리, 쑥갓, 트레비소 및 겨자채 등, 9가지의 식물에 대한 유인 또는 기피효과를 평가하였다. 10종의 유인 및 기피식물 중에서, 호밀과 치커리는 갈색날개노린재와 비단노린재를 각각 강하게 유인하였다. 진딧물은 다른 식물보다 호밀에 선택적으로 유인되었다. 겨자채는 비단노린재, 갈색날개노린재 순으로 유인하였다. 비단노린재는 상추와 부추 혼작처리에 유인되었다. 유기농 배추포장에서 쑥갓, 트레비소, 청겨자의 단독 또는 혼합처리는 배추잎벌레, 배추좀나방, 비단노린재, 진딧물, 갈색날개노린재의 발생을 강하게 기피하였다. 상기 결과들은 선발한 해충 유인 및 기피식물은 배추의 종합적 해충방제를 위한 인자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evaluated the effect of attractant or repellent plants for establishing push-pull strategy for insect pest management of organic Chinese cabbage cultivation. The attractant or repellent effect of Ten plants, marigold, rye, Chinese chive, lettuce, chicory, Nongwoo-chicory, crown daisy, Treviso, green leaf mustard, and red leaf mustard were evaluated against diamondback moth, striped flea beetle, aphids, brown-winged stink bug and cabbage stink bug in organic Chinese cabbage field in Seosan in 2012. Of the ten repellent or attractant plants, rye and chicory attracted significantly brown-winged stink bug and cabbage stink bug, respectively. Aphids ate attracted significantly to the rye rather than the other plants. Leaf mustard was attracted cabbage stink bug and brown-winged stink bug in order. Cabbage stink bug was attracted by only a combination of lettuce and Chinese chive. Diamondback moth, striped flea beetle, aphid, brown-winged stink bug and cabbage stink bug were significantly repelled by single or combined cultivation of crown daisies, Treviso, and leaf mustard in organic Chinese cabbage cultivation. The results above-mentioned indicate that selected insect-attractant and -repellent plants can be used as tools for integrated pest managements of Chinese cabbage.

      • KCI등재

        유기농업 생태계로부터 담수 녹조류 분리 및 형태적 동정

        김민정,심창기,김용기,홍성준,박종호,한은정,지형진,윤종철,김석철,Kim, Min-Jeong,Shim, Chang-Ki,Kim, Yong-Ki,Hong, Sung-Jun,Park, Jong-Ho,Han, Eun-Jung,Jee, Hyeong-Jin,Yun, Jong-Chul,Kim, Suk-Chul 한국유기농업학회 2014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22 No.4

        본 연구는 유기농업에서 생물자원으로서 담수 클로렐라의 활용 가능성을 연구하고자 유기농 생태계로부터 담수 녹조류를 분리, 동정하고, 생물학적인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 지역의 수온은 $12.4{\sim}28.2^{\circ}C$, pH는 6.1~8.5이었다. 담수 녹조류를 분리할 때 고체배양법이 액체배양법보다 오염도가 낮고 분리 빈도가 높았다. 전국 9개 지역, 6개 담수 녹조류 서식처로 부터 총 115개의 균주를 분리하였다. 담수 녹조류의 분리 및 배양을 위해 질소원으로는 $NaNO_3$과 $KNO_3$, 탄소원으로 $Na_2CO_3$를 사용하였고, macro media의 구성 성분 중 $MgSO_4{\cdot}7H_2O$과 $CaCl_2{\cdot}2H_2O$를 분리하여 제조한 BGMM(BG11 Modified Medium)배지를 고안하였다. 담수녹조류는 배양 후 4일째부터 급격히 흡광도가 증가하였고 8일째부터 흡광도가 감소하였다. 공시한 7개의 균주 중 CHK008 균주가 배양 7일째에 가장 높은 흡광도를 보였다. 담수 녹조류 배양에 적합한 BGMM 배지의 pH는 6~7이었고 조사되는 빛이 강할수록 생육이 증가하였으며 5종류 당류 중에서 Glucose와 Galactose를 첨가하였을 때 클로랄라의 생육이 좋았다. 순수 분리한 16개 녹조류 균주의 균총색은 녹색, 진녹색, 연녹색을 나타내었고, 11개의 균주가 형광현미경하에서 강한 형광 빛을 나타내었다. 녹조류 16개 균주의 형태적인 특징을 조사한 결과 C. vulgalis, C. sorokiniana, C. pyrenoidosa, C. kessleri, C. emersonii, and Chlamydomonas sp.의 2개 속 6개종으로 동정되었다. 담수 녹조류의 세포 크기는 종마다 다양한 변이를 보였다. 대부분의 담수 녹조류의 세포형태는 구형이었다. Chlamydomonas sp.는 타원형이었고 Chlorella sorokiniana는 구형과 타원형이 섞여 있었다. 6개 녹조류 종류 중 Chlamydomonas sp.를 제외한 모든 균주는 편모가 없었다. Chlamydomonas sp. 1개 균주와 C. sorokiniana 5개 균주는 세포에서 점질물을 분비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solate and identify freshwater algae from the organic agricultural ecosystems and investigate its biological characteristics to study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a biomass freshwater algae in organic farming. In the survey area, average water temperature was $12.4{\sim}28.2^{\circ}C$ and the pH ranges were from 6.1 to 8.5. The solid culture method is more suitable than liquid culture method for isolation of freshwater algae with lower contamination level and higher isolation frequency. A total of 115 strains were isolated from six freshwater algae habitats in nine regions in Korea. BGMM (BG11 Modified Medium) amended with NaNO3 and $KNO_3$ as a nitrogen, and $Na_2CO_3$ as carbon source was designed to isolate and culture freshwater algae. Absorbance of freshwater algae culture has increased dramatically to four days and decreased after eight days after inoculation. CHK008 of the seven isolates showed the highest absorbance in seven days after culturing in BGMM. The optimal pH of BGMM for culturing freshwater algae was pH 6-7. As light intensity increased, growth of freshwater algae increased. Among the five kinds of carbon sources, glucose and galactose promoted good growth of freshwater algae in BGMM. The colony color of purified 16 green algae isolates showed a separation of green, dark and light green, and of them, eleven algae strains showed a strong fluorescent light under fluorescence microscopy. Cell size of the green algae showed a wide range of variation depending on the species. General morphology of the green algae strains was spherical. Chlamydomonas sp. was elliptical, and Chlorella sorokiniana was ellipsoidal and cylindrical. All strains of the green algae except for Chlamydomonas sp. did not have flagella. One isolate of Chlamydomonas sp. and five isolates of C. sorokiniana secreted mucus. Sixteen isolates of 16 green algae were identified as two family and six species, Chlorella vulgalis, C. sorokiniana, C. pyrenoidosa, C. kessleri, C. emersonii, and Chlamydomonas sp. based on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대관령 지역의 농업환경 모니터링

        박경훈(Kyeong-Hun Park),윤혜정(Hye-Jeong Yun),류경열(Kyoung-Yul Ryu),윤종철(Jeong-Chul Yun),이정주(Jeong-Ju Lee),황현아(Hyun-ah Hwang),김기덕(Ki-Deog Kim),진용익(Yong-Ik Jin) 한국토양비료학회 2011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4 No.6

        대관령 농업지역의 연 평균기온은 6.4℃, 1월 평균 기온은 -7.6℃, 7월 평균 온도는 19.1℃이었으며 강수량은 1717.2mm, 안개 현상일수는 133일, 서리 현상일수는 59일 이었고, 특히 6월 8월 사이에 100 mm 이상의 집중 강우가 많았으며, 잦은 안개와 일조시간의 부족으로 병해충의 발생 및 작물생육이 불량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수질모니터링 결과 작물재배시기에 T-N, T-P 등 영양물질의 수질오염도가 높았으며, 7월~8월의 강우에 의한 토양유실로 영양물질의 오염도가 높게 관찰되었다. 배추재배지에서 T-N 농도는 평균 9.4 mg L<SUP>-1</SUP> (7.4~11.3)로 감자재배지의 평균 4.4 mg L<SUP>-1</SUP> (3.1~7.2)의 2배 정도 높았고, T-P의 경우도 배추재배지에서 평균 0.084 mg L<SUP>-1</SUP> (0.061~0.101)로 감자재배지 평균 0.036 (0.019~0.056) mg L<SUP>-1</SUP>의 농도보다 약 2배 정도 더 높았다. 부유물질 경우는 배추재배지가 평균 18.3 mg L<SUP>-1</SUP> (3.0~53.0)로 감자재배지 평균 1.9 mg L<SUP>-1</SUP> (0.5~3.0)로 무려 9배나 높았다. 이처럼, 배추재배지가 감자 재배지보다 수질 오염도가 높은 것은 대관령 지역에서 배추는 감자보다 생육기간이 짧고 또한 피복율도 작기 때문에 토양유실이나 양분유실이 많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경작중에 고랭지 작물재배지 토양을 분석한 결과, 작물별로 토양화학성의 차이는 작았으며, pH는 5.6~6.8사이, EC는 0.67~1.13 dS m<SUP>-1</SUP>, 유기물은 18.0~42.4 g kg<SUP>-1</SUP>, 유효인산은 316~658 mg kg<SUP>-1</SUP>, 치환성 칼륨은 0.41~0.88 cmolc kg<SUP>-1</SUP>, 치환성 칼슘은 3.7~7.1 cmolc kg<SUP>-1</SUP>, 치환성 마그네슘은 1.2~1.9 cmolc kg<SUP>-1</SUP> 범위였다. In order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on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in Daegwallyeong Highland, the characters of weather, water, and soil quality were investigated. The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was monitored by automatic weather system (AWS) at 17 sites. The quality of water for samples were collected monthly at 24 sites depending on landuse style.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a forest, grassland, and the major vegetable cultivation areas such as potato, carrot, Chinese cabbage, onion, head lettuce, and welsh onion field. The weather showed the mountain climate, and the average yearly temperature is 6.4℃, the average temperature in January is -7.6℃ and the average temperature in July is 19.1℃, and the change of temperature on the districts of Daegwallyeong is severe. The yearly record of precipitation shows 1717.2 mm. The water quality of crop field was worse than forest or grassland in Daewallyeong highland. In 2005, annual T-N, T-P, SS distribution of Chinese cabbage field showed 7.4~11.3, 0.061~0.1, and 3.0~53.0 mg L<SUP>-1</SUP>. The potato field showed 3.1~7.2 , 0.019~0.056 and 0.5~3.0 mg L<SUP>-1</SUP>, respectively. Being compared of water quality between potato field and chinese cabbage field, it showed that the water quality of Chinese cabbage field was worse than potato field. On farming, the soil of crop cultivation showed pH 5.6 to 6.8, 18.0~42.4 g kg<SUP>-1</SUP> of OM, 316~658 mg kg<SUP>-1</SUP> of Avail. P2O5. The content of cations showed 0.41~0.88 cmolc kg<SUP>-1</SUP> of Exch. K, 3.73~7.07 cmolc kg<SUP>-1</SUP> of Exch. Ca and 1.17~1.90 cmolc kg<SUP>-1</SUP> of Exch. Mg.

      • KCI등재

        당귀의 재배 및 유통과정 중 생물적 위해요소 분석

        박경훈(Kyeong-Hun Park),김병석(Byeong-Seok Kim),이정주(Jeong-Ju Lee),윤혜정(Hye-Jeong Yun),김세리(Se-Ri Kim),김원일(Won-Il Kim),윤종철(Jong-Chul Yun),류경열(Kyoung-Yul Ryu) 한국토양비료학회 2012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5 No.6

        재배과정, 수확, 가공 및 유통 단계에서 당귀의 미생물적 위해요소를 조사하였다. 뿌리, 토양 및 관개수를 포함한 111개의 시료가 생산과정과 유통과정에서 호기성균, B. cereus, coliform, E. coli, L.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와 S. aureus를 조사하기 위해 수집하였다. 재배과정에서 당귀의 뿌리에서 일반세균수는 6.71 log CFU g<sup>-1</sup> 수준으로 검출되었으며, 대장균군은 4.13 log CFU g<sup>-1</sup>, B. cereus는 3.54 log CFU g<sup>-1</sup>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수확에서 가공 단계까지 모든 가공 과정에서 대장균군과 B. cereus의 오염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절단 과정에서 미생물오염도가 높게 확인되었다. 유통과정 중인 당귀에서 일반세균수는 5.6~6.0 log CFU g<sup>-1</sup>, 대장균군은 2.4~2.6 log CFU g<sup>-1</sup>, B. cereus는 5.4~6.0 log CFU g<sup>-1</sup>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모든 시료에서 L.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S. aureus는 검출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유해미생물의 오염을 감소시키고,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하여 위생적인 토양관리 및 수확 후 관리가 수행되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of Angelica gigas Nakai. A total of 111 samples including root, soil, and irrigation water were collected from farms and market to detect aerobic bacteria, Bacillus cereus, coliform, Escherichia coli,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and Staphylococcus aureus. The contaminations of aerobic bacteria, coliform, and Bacillus cereus in the root during cultivation were found 6.71 log CFU g<sup>-1</sup>, 4.13 log CFU g<sup>-1</sup>, and 3.54 log CFU g<sup>-1</sup>, respectively. The contamination of coliform and B. cereus were detected in all steps from harvesting to processing, with the highest count recorded from the cutting step. In marketing, the contaminations of aerobic bacterial, coliform, and B. cereus were 5.5~6.0 log CFU g<sup>-1</sup>, 2.4~2.6 log CFU g<sup>-1</sup>, and 3.5~4.0 log CFU g<sup>-1</sup>, respectively.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and Staphylococcus aureus were not detected in any of samples. This result indicated that hygienic soil management and post harvest management should be performed to reduce the contamination of hazard microorganisms and to produce safe agro-produ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