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비스 융합형 스마트 어린이 놀이터 개발

        윤종영(Yoon, Jong Young),안혜신(Ahn, Hye Shi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4

        어린이 놀이터는 어린이가 자유롭고 적극적인 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해주고 자라나는 어린이들의 신체발달이나 정서함양, 창의성 개발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놀이터는 어린이의 신체 발달을 고려하지 않고 있거나, 획일화된 디자인으로 아이들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으며 놀이 시설물의 안전성 부재와 놀이터 보안 시스템의 부재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 어린이 놀이터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어린이 놀이터의 정의와 연령 및 목적에 따른 놀이터의 분류에 대해 살펴보고, 어린이 놀이터의 문제점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해외 사례연구로 사용자 참여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국 브루클린의 PS 244 sound playground와 핀란드 Lappset의 SmartUs를 분석하였다. 문헌연구 및 사례연구 분석을 통해 어린이 놀이터 디자인의 기본 조건에 대해 살펴보고, 연구결과로 어린이 놀이터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놀이터의 놀이기구는 어린이의 욕구를 만족시켜 줄 수 있도록 기능성 고려하고, 놀이 시설물의 소재와 시스템 상에서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디자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재의 놀이터는 어린이의 신체 발달이나 연령대를 고려하지 않은 일괄적인 형태의 놀이기구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어린이의 욕구나 발달을 만족시키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Playgrounds are where children can play, explore and grow and should be satisfied and consider different stage of children’s physical development and creativity. But many playgrounds have standardized design that does not meet different stage of children’s needs. Also most play facilities are not safe with no security system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hildren’s smart playground with converged servic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took a literature-based research at the definitions of children’s playground at different ages, its purpose and analysis of perceived problems of playgrounds. This study explores analysis of two playgrounds as case studies, PS 244 sound playground in Brooklyn and SmartUs Playground from Lappset company, Finland. Based on the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studies, this study suggests an ideal children’s playground design. Suggested design focuses on functionality in order to satisfy children’s desire and need and also on safety of material and system in playground. This study found that current playground is often configured without considering the age and physical development of children and also it does not meet the needs and physical development of children.

      • 21 세기 새로운 패러다임에 따른 Fusion Trend 와 반투명디자인과의 상호연관성에 관한 연구 - 반투명디자인이 적용된 생활 용품을 중심으로 -

        윤종영(Jong Young Yoon),현노(Hyun No Yun) 한국디자인과학학회 2001 디자인과학연구 Vol.4 No.2

        한가지 용도를 위해서만 사용되어 온 생활 속의 도구는 현대 사회의 다변화와 전문화로 인하여 기능성을 비롯한 사람의 심리를 자극하는 부가적 성질을 갖게 되었다. 또한 재료와 기술의 다양화는 곧바로 우리 생활주변의 생활도구들의 다양화를 가져다 주었고, 제품 고유의 조형미를 갖는 제품들이 하나, 둘 늘어날 수 있게 하였다. 반투명 디자인이란 시대적 특성을 가지면서도 기존 제품디자인 부류와는 차별화 될 수 있는 디자인으로서 제품의 내부를 대부분 보여지도록 하여 다양한 형태적, 기능적인 측면의 유희적 요소를 갖고 있는 디자인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반투명 디자인의 등장과정이 현재 새롭게 나타나고 있는 다양한 트렌드들과 함께 어떻게 제품 디자인에 적용되는지 이것을 다양한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면 또한 반투명 디자인과 제품디자인의 유희적 요소와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사회 전반의 트렌드에서 이어지는 반투명 디자인의 등장과 다양한 Fusion Trend와의 상호연관성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지금까지 제품 내부의 기계구조를 보여주지 않기 위해 제품을 포장했다면 이제는 제품의 보이지 않았던 부분까지 사용자들에게 모두 보여 줌으로써 제품을 감각기관을 통해 직접 느끼며 사용자로 하여금 흥미와 재미를 느끼게 하고 있다. The tools which has used for only one function had a special feature that is effected by human mind. Also the variation of material and technology makes many types of living appliances and unique products. Translucent design is separated from normal product design certainly. We can see inside of products and realize about various amusable factor of formal, functional side. In this study, we analyzed what is the different things between new translucent product design and normal product design. Also we studied what is the relative thing between translucent design and amusable factor of product design. In addition, we studied about the reciprocal relation between Fusion Trend and translucent design in a new paradigm of the 21th. In spite of the separated features, it must be one of truth which we can feel different from common product in this world and we`ll be able to know more detaily. Translucent design is a part of the factor which is related to human mind. Until now, although we packed the product to hide, we started to show the in side of product structure. In this trend, we can feel many kinds of interesting things from this product. Therefore, it`ll be more pleasure, more beautiful and amusable not only the product.

      • KCI등재

        노인의 근력 향상을 위한 운동기구 제안에 관한 연구

        윤종영(Jong Young Yo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4

        현재 급속한 고령화 사회로 진입중인 우리나라는 노인의 신체적 문제, 심리적 문제, 사회적 문제 등 고령화 사회 문제를 겪고 있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노화에 의한 신체적 변화에 의해 체력도 함께 감소되나 적절한 신체 활동과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체력이 감소되는 속도를 늦출 수 있을 뿐 아니라 체력을 증진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에 대한 정의, 특징과 운동이 미치는 건강에 영향 등, 전반적인 노인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 다양한 문헌연구를 고찰하였고, 노인의 신체 활동이 노인에게 신체적, 정신적, 측면에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노인들의 신체 활동과 신체적, 심리적 건강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또한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의 운동 중요성을 제고하고 일상생활 속에서 움직임에 불편함을 겪는 노인에게 적합한 운동 동작은 어떠한 것인지 살펴보았다. 노인에게 적절한 운동을 제안하기 위하여, Size Korea에서 시행한 일상생활 가능정도 측정 데이터에서 노인을 일상생활 동작과 일상생활동작에 사용되는 근육을 추출하였으며 노인 운동시 고려해야할 사항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결론에서는 이를 통해 노인에게 적합한 운동을 가능하게 하고, 노인들의 손쉬운 사용이 가능하며, 노약자의 균형 감각과 근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노약자용 균형감각 증진 운동기구를 제안하였다. 노인 운동은 건강한 노인 생활에 필수적이며 일상생활에서 움직이는데 어려움을 겪는 노인들을 위하여 더 많은 동작들이 개발되고 이를 지속적으로 관리 해줄 수 있는 도움이 필요하다. As Korea is rapidly changing into an aging society, we are suffering from the aging society problems such as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problem of the old. As people age, physical changes of aging brings muscle weakness but exercise will help to promote the physical, mental and social health of the old, and exercise is one of good solutions against aging society problem. This study contains definition of the older and characteristic of the old through documentary research, and it enhances how the old is affected by the exercise in physical, mental and social health, and explored the relation between exercise and physical, mental and social health In addition, proper exercise extracted from the movements in everyday lives and muscles used are presented for future vitalization of exercise lives for the old. To suggest proper exercise to the old, this study extracts movements and the muscle used for everyday living from questionnaire of Size Korea and exercise considerations in the old are researched.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e sports equipment for the old in order to keep a sense of balance and to promote the physical, mental and social health of the old. Sports are essential for health life in old age and various sports movement for the old with movement trouble should be developed and managed.

      • KCI등재

        노인의 흥미유발을 위한 운동기구 개발에 관한 연구

        윤종영(Jong Young Yoon),안혜신(Hye Shin Ah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1

        현재 급속한 고령화 사회로 진입중인 우리나라는 노인의 신체적 문제, 심리적 문제, 사회적 문제 등 고령화 사회 문제에 겪고 있다. 한국은 세계적으로 전례없는 고령화 속도를 겪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개인과 가족의 삶의 질, 사회 경제적 침체 등이 적지 않게 우려되고 있다. 이에 대비한 주요 전략으로는 노인의 건강한 자립기간을 지속적으로 연장하여 타인과 시설과 사회에 의존하게 되는 시기를 경감시키는 전략이며, 한편 글로벌 경제적 위기에도 꾸준히 성장을 보이고 있는 산업이 ``건강관리``산업이라는 점은 우리의 생활주변에 ``건강을 관리 하고 증진``시키는 환경 특히, 노인이 일상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스포츠 시설과 운동기구의 개발이 시급함을 드러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의 흥미를 유발하게 하는 요소와 노인 흥미유발 요구 및 메커니즘에 대해 분석하고 노인의 흥미유발 시설 국외 사례 분석과 노인관점의 흥미 유발 운동기구에 관해 설문조사를 통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건강에 중요한 노인의 운동 참여를 유도하기 위하여 노인이 보다 재미를 느끼며 흥미를 가지고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운동기구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노인 관점에서의 흥미유발 운동과 놀이의 참여 동기 및 요구에 대하여 노인사용자를 대상으로 일대일 면접조사를 실시한 결과 1) 노인을 위한 운동은 건강 유지를 위하고 노인들에게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노인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2) 주변사람(가족, 친구, 동년배, 이웃, 의사 등)들과 함께할 수 있으며 또한 3) 신체 및 정신건강과 연결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는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에 따른 운동기구를 연구 결과로서 제안하였다. 노인 운동은 건강한 노인 생활에 필수적이며 일상 생활에서 움직이는데 어려움을 겪는 노인들을 위하여 더 많은 동작들이 개발되고 이를 지속적으로 관리 해줄 수 있는 도움이 필요하다. As Korea is rapidly changing into an aging society, we are suffering from the aging society problems such as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problem of the old. Exercise will help to promote the physical, mental and social health of the old, and we can recognize that the exercise is one of good solutions against aging society problem. This paper took a literature-based look at the definitions of old pers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aging and conducted an analysis of factors and the mechanism that encourage old persons to get exercise. It also conducted an analysis of foreign cases to get a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old persons. From the old persons`` perspectives, it performed a one-to-one interview of them to know what encourages them to take more interest in exercise, what motivates them to take more exercise, and what needs they have for exercise. The conclusive chapter recommended exercise tools and equipments that arouse their interest in exercise, on the basis of the literature study and interview survey. This paper found that exercise for old people should be one that can keep old people healthy, encourage them to do exercise, provide them with information, make them enjoy themselves along with others (family, friends, fellows, neighbors, doctors, and so on), and enhance their physical and mental health as well. Exercise for old persons is necessary for their healthy liv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more motions for old persons who have difficulty moving and acting in daily lives and give a helping hand to manage them continuously.

      • CD 의 해외 선진기업 사례에 관한 연구

        윤종영(Jong Young Yoon) 한국디자인과학학회 2001 디자인과학연구 Vol.4 No.1

        국내 기업의 경우 세계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을 잃어가고 있으며 이제는 가격보다는 품질경쟁력 중심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우리 기업은 세계 시장에서 기업인지도 부족, 자체브랜드 개발 미흡, 혁신 상품의 부재, 효율적인 디자인 경영 능력부족, 기업문화의 정체성 취약 등의 구조적인 문제를 안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핵심 디자인 기업인 가전제품 또는 자동차 기업의 경우에는 수출을 중심으로 하는 세계적인 제품의 개발이 필수적이지만 개발환경에 있어서 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 현재 국내 기업은 경쟁력 제고를 위한 Corporate Design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부분적으로 실행하고 있으나 기업문화를 반영하는 일관된 정책의 부재로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참여기관인 삼성전자의 경우에는 선진 디자인 기법인 기업디자인(C.D. ; Corporate Design)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부분적인 실행으로 P.I.(Product Identity)연구를 미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진행하였으나 축적된 노하우(know-how)의 부족, 정보 수집의 취약, 실용화 계획의 미흡으로 실질적 성과가 없었다. 또한 일부 중소기업의 경우에는 인식의 초기 단계에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전체적 주제는 Corporate Design의 개발을 위한 해외 선진기업의 사례를 연구함이며 이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기업의 통합적 이미지 구축(Corporate Design)의 필요성 - 가전제품 ˙ 자동차 기업의 경우, 혁신적이고 세계적인 제품개발이 요구 - 기업문화의 정체성 확립을 통한 개발의 일관성 유지 - 효율적인 디자인 경영 : CI, BI, PI, SI, CSI - AS시스템, 제품의 상호 호환성, 마케팅의 경쟁력 확보 - 디자인경영을 통한 중소기업의 제품 경쟁력 제고와 이익 증대 WTO structure make it deep. Globalization makes just companies that make a good design product can maintain their existence, besides. So the companies of a highly developed country strive for true innovation of design to meet this situation. Namely design is a fundamental part of their strategy for product development. Europe, Japan, America, which practiced each C.I/B.I/P.I/S.I., use strategically Corporate Design Management to enhance the competitive power. In the case of our domestic company, they are losing their competitive. Though they doesn`t lay stress on the price but the quality of products, they still now have structural defects such as low rates of company recognition in the international market, dissatisfaction of development of unique brand, absence of innovative products, want of effective design management and weakness of identity of company culture. In the our domestic electronic companies, which are specially concentrate on the design, development of multinational products is necessary but they have many problems. So it`s time that we must promote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 power thru making a unique image of company(Corporate Design) and using the design as a crucial business tool the necessitie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 21c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유희적 자동차디자인에 관한 연구 - 2000 년도에 발표된 컨셉트 카와 자동차를 중심으로

        윤종영(Jong Young Yoon),홍대일(Da Ie Hong) 한국디자인과학학회 2001 디자인과학연구 Vol.4 No.3

        사회의 급속한 변화로 인해 이제 소비 시장에서는 [평균시장]이 사라지게 되었으며 시장 세분화의 원리를 통해 다양해진 소비자들의 요구를 맞추기 위해 보다 세분화된 제품 디자인을 선보이게 되어졌다. 소비자들의 인식 변화와 치열한 경쟁 현장의 관점에서 보면 끊임없이 새로운 시장 패러다임을 창조해 나가야 한다. 현재 국내외의 각 자동차 업체에서는 기존의 부류와 차별화되는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을 선보이고 있다. 과학기술의 진보와 맞물린 인간의 삶의 풍요로움을 보다 독특하고 개성 있는 자동차 디자인의 변화를 가져다 주었고, 이제는 운송수단 자체만의 기능이 아닌 생활 속 놀이문화의 한 부분까지 변화되고 있는 것이다. 더 나아가 자연으로부터의 모방을 통해 소비자의 눈에 익숙한 디자인으로 이목을 끌기도 하는 이러한 새로운 형태의 디자인을 통해 변화하는 자동차 디자인의 흐름을 알아보고 다음 세대의 디자인을 고찰해 본다. 이런 관점에서 본 연구는 지난 한 세기 동안 우리 생활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다 준 자동차를 중심으로 다가올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로 인한 제품디자인의 변화와 소비자의 디자인에 관한 인식변화가 생겼음을 알 수 있었다. At the beginning of the industrial age, monopolistic market system could be formed due to the distinction of the products core technology. However, the continuous growth of mass production technology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reduced the monopoly period of the core technology. And today, 100 years later, even with the worldwide competition of technology development, it is becoming more difficult to make a distinction from other companies product because of the generalization and equalization of the technology. For the difficulty of achieving products technical distinction from others, the enterprises turned to design and marketing to acquire competitiveness for its own product, distinguishing from other companies product. Currently, domestic and international automobile industry has been introducing various forms of designs to distinguish themselves from the existing class. Progress of science and technology with the abundance in peoples life have brought on the change in the automobiles design to be more characteristic and unique, so it is becoming not only a simple transportation vehicle but a part of play culture within human life. Furthermore, by copying from nature, the design familiar to the consumers eyes gets attention and through these kinds of design we can see the changing flow of the automobiles design and examine the design of next generation.

      • KCI등재

        노인을 위한 친환경 야외 운동기구 및 편의시설물 디자인 개발

        윤종영(Yoon, Jong Young),안혜신(Ahn, Hye Shi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4

        의학의 발달, 생활수준의 향상과 생활환경의 개선으로 인간의 평균수명이 높아지면서 세계는 고령화 사회로 진행되는 속도가 점점 가속화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고령인구의 건강과 사회복지 향상을 위한 각종 시설들의 사용자 친화적 기능성과 안전성 등에 대한 개선이 시급한과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고령화 인구의 건강증진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신개념의 고령 친화적 스포츠 시설과 운동기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을 위한 친환경 야외 운동기구 및 편의시설물 디자인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유니버설 디자인의 정의에 대해 살펴보고 운동기구 및 편의시설물 디자인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자료로서 야외운동기구 및 편의 시설물의 요구 조건에 대해 살펴보았다. 사례연구로서 야외 운동기구 중 노인의 하체 근육발달을 위한 세 가지, 하늘걷기, 옆파도타기, 레그 트레이닝 세 가지 운동기구의 기구 분석과 사용행태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사용행태 분석은 2015년 4월부터 6월까지 기간 동안 서울 양천구 목동의 ‘용왕산 근린공원’과 양천구 신정동의 ‘양천공원’의 세 가지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노인 20명의 운동기구 사용 행태를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문헌연구과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노인을 위한 야외 운동기구 및 편의시설물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의 야외 운동기구는 사용의 용이성, 정보전달의 효율성, 안전성 측면에서 개선되어야 할 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노인을 위한 야외 운동기구 및 편의시설물 디자인을 제안하였으며 사용자의 지적능력뿐 아니라 근력운동에도 도움이 되도록 디자인하였다. 노인의 규칙적인 운동은 건강한 삶을 위해 필수적이며 노인을 위한 다양하고 체계적인 운동기구들이 개발되고 이를 지속적으로 관리 해줄 수 있는 도움이 필요하다. Due to the advanced medicine and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 environment human beings are living longer lives and the pace of longer life span has been accelerating. Hence, user-friendly functionality of the safety improvements of health and social welfare facilities to the aging population are emerging as urgent task. Particularly development of senior-friendly sports facilities and fitness equipment with a new concept that contributes to continuous improvement of the health of an aging population are needed.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enior-friendly fitness equipments and convenient faciliti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took a literature-based research at the definitions of universal design and the design guideline/requirement for sports equipment and convenient facilities. Also this study explores analysis of three sports equipments and also conducts analysis of user behavior for those sports equipments. User behavior analysis was from 20 seniors who used three sports equipments in Mokdong, Sinjeongdong and carries out from April to June, 2015. This study found that senior sports equipment should be improved in the aspect of usability, efficiency, and safe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literature-based research and user behavior analysis for sports equipments, this study suggests senior-friendly fitness equipment which helps intellectual capacity and exercise of muscle. Regular exercise is essential for healthy life of seniors, and more sports equipments and convenient facilities should be continuously developed and managed for seniors.

      • KCI등재

        제품 아이덴티티(Product Identity)의 분석과 휴대폰으로의 적용

        윤종영(Jong Young Yo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4

        Product Identity, 제품 아이덴티티, Development Phase of Product Identity, 제품 아이덴티티 발전 단계, Types of Design Strategy, 디자인 전략의 유형, Elements of Product Identity, 제품 아이덴티티 요소들 All corporations have been equalized by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it is shown that they have tried to differentiate themselves through their designs. That is, all corporations have started to be concerned about Corporate Identity, Brand Identity and Product Identity for increasing the competitive corporate value as the time of intensely competing in design area had begun. Product Identit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rporate strategies to lead the communication to a positive way. Therefore, the Product Identity makes the consumer be aware of the corporate philosophy and image through product design and it is important that it gives the same corporate image to all product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necessity of Product Identity and to know how the Product Identity which has increasing importance affects mobile phones which are delicately and rapidly changing, what elements of Product Identity are important in the case of the mobile phone. For this purpose, what are the general elements of Product Identity and what are the elements of Product Identity in relation to the mobile phone are survey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