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대생의 피부건강관리에 대한 주관성 연구 : Q 방법론적 접근

        윤정아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7

        본 연구는 Q 방법론을 적용하여 여대생의 피부건강관리에 대하여 개인들이 가지고 있는 주관성의 유형을 파악하고, 그 특징을 비교 분석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일개 대학 여대생 41명을 P표본으로 하여 총 141개의 Q 모집단으로부터 34개의 Q표본을 선택하여 9점 척도 상에 강제 분포하도록 하였으며, 대상자를 인터뷰하고 그에 대한 내용을 기록하였다. 자료는 QUANL program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4개의 유형이 발견되었으며, 피부 관리에 있어 전문성을 중요시 하는 ‘전문적 지식 추구형’, 기능성 화장품보다는 자연피부의 중요성을 나타내는 ‘자연지향형’, 고기능성 화장품이나 적극적 피부관리를 추구하는 ‘적극적 자기관리형’, 건강보다는 외형적인 부분을 중요시하는 ‘자기 과시형’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여대생의 피부건강관리에 대한 각 유형별 특성을 이해하고 이에 따른 피부건강관리를 위한 차별화된 교육방법이나 접근방법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was attempted to understand the types of the subjectivities possessed by the individuals regarding the management of the health of the skin on the part of the female university students by applying the Q-methodology and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special features. Regarding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41 female university students at one university were made into the P-samples. And, by selecting 34 Q-samples from the total of 141 Q-populations, the forced distribution took place in terms of the 9-points scale. The subjects were interviewed, and the contents regarding interviews were recorde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QUANL program.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4 types were discovered. They appeared as ‘the professional knowledge pursuing type’, who consider the expertise regarding the skin management important, ‘the nature-oriented type’, who express the importance of the skin rather than the functional, cosmetic products, ‘the active self- management type’, who pursue the highly-functional cosmetic products and the active skin management, and ‘the self-ostentation type’, who consider the external parts, rather than the health, important. As a resul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special characteristics by each type regarding the skin health management of the female university students must be understood, and a differentiated educational method or approach method for the skin health management resulting this must be considered.

      • KCI등재

        기업의 기후변화 목표특성이 온실가스 배출에 미치는 영향

        윤정아,김종대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22 창조와 혁신 Vol.15 No.4

        In this paper, we explore whether greenhouse gas emissions vary according to climate change target characteristics for companies that set corporate climate change goals. For listed companies that published the Sustainable Management Report from 2019 to 2021 and by using variables such as reduction type, reduction strength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climate change targets. This study show that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companies with absolute reduction type were smaller than relative goals and that the larger reduction strength of greenhouse gas emissions, the greater the proportion of reduction targets, the smaller emissions. When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is becoming a countermeasure of corporations to climate change,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corporate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target setting characteristics is significant and it provides empirical evidence for the characteristics of climate change targets that actually affect environmental performance as well as the necessity of voluntary climate change target setting by companies. In addi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existing literature and practice in that it provides implications that climate change target setting, target type, and target intensity can contribute to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본 연구는 기업의 기후변화 목표를 설정한 기업들 대상으로 목표 특성에 따라 배출량이 달라지는지 분석하였다.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한 상장기업들을 대상으로 기후변화 목표가 온실가스배출에 미치는 영향을 감축유형과 감축강도, 온실가스배출량 등의 변수들을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절대적 감축유형의 목표를 가진 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상대적 목표를 가진 기업보다 더 작게 배출되었다는 점을 확인하였고, 온실가스 배출량의 목표강도 즉 감축목표의 비율이 큰 기업일수록 배출량이 더 작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축하는 것이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방안으로 자리 잡고 있는 시점에서 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과 목표설정 특성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로서 기업들의 자발적인 기후변화 목표 설정의 필요성 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환경성과에 미치는 기후변화 목표 특성에 대한 실증적인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기후변화 목표 설정, 목표유형 및 목표강도가 온실가스 배출 감축에 기여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기존 문헌과 실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사회적 지지가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권의식의 매개효과

        윤정아,김춘희 한국자치행정학회 2016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0 No.1

        본 연구에서는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회적 지지와 인권의식의 매개효과를 분석함으로써 학교폭력 가행행동을 감소시키고, 더 나아가 학교폭력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N시에 거주하는 청소년(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580명의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 중 친구지지, 가족지지는 인권의식 간에 유의한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친구지지, 가족지지는 학교폭력 가해행동 간에 유의한 부(-)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적 지지가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권의식의 매개효과를 확인해 본 결과 친구지지와 가족지지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사지지와 학교폭력 가해행동 사이에서 인권의식은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폭력 가해행동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을 가정, 학교 및 지역사회의 역할로 나누어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positiv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on school violence 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human rights consciousness in order to reduce school violence action and then, it intended to seek measures to prevent school violence action. For this, answers of 580 adolescent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N city, Jeollabuk-do were used for analysis. According to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shown that friend support and family support among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ha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with human rights consciousness. In addition, it was shown that friend support and family support had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s with school violence action. According to result of the analysis on mediating effect of human rights consciousness under influence of social support on school violence action, it was revealed that friend support and family support had partial mediating effect and that human rights consciousness did not have mediating effect between teacher support and school violence action. Based on above result, a plan to prevent school violence action was divided into respective roles of family, school and community and then, it suggested poli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