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규원 초기시의 시간의식 연구

        윤의섭(Youn, Eui-Seoup) 한국시학회 2016 한국시학연구 Vol.- No.45

        본 연구는 오규원의 초기시에 나타난 시간의식을 살펴보았다. 특히 오규원 초기시의 시간의식을 현상학의 ‘현상’과 여타의 시간론과 관련하여 파악했는데, 그것은 오규원이 주관적 경험의식으로 시간을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오규원의 초기시는 우선 구체적인 시간 표지를 통해, 객관적으로 주어진 시간적 통념이 아닌 주관적 경험의식으로 인식한 내적 시간의 본질적 ‘현상’을 드러내려는 시간의식을 보이고 있다. 구체적으로 시간 표지를 명시하는 것은 시적 의미망과 관련된 주관적인 경험의식에 의해 파악된 시간의 ‘현상’을 표출하기 위한 의식적인 행위이다. 이러한 시간 표지에 의해 본질적인 시간 ‘현상’이 지시되고 있다. 또한 시간을 의인화하여 과거, 현재, 미래의 시간상을 가시적으로 드러내는 방법을 통해, 시간이 동시에 배치될 수 있다는 시간의식에 의한 시간의 ‘현상’을 보이기도 한다. 즉, 과거와 현재, 미래와 현재, 또는 과거, 현재, 미래가 동시에 공존하는 상태인 시간의 동시성 ‘현상’을 시에서 가시화 하여 실제로서 재현하기 위해 시간을 의인화하고 있는 것이다. 이 역시 시간의 ‘현상’을 주관적 경험의식으로 파악한 시간의식에 의한 것이다. 오규원의 초기시에 나타나는 시간의식은 시적 주체가 인식하는 죽음에 대한 의식과 관계를 맺고 있다. ‘죽음’을 실존적 인간에게 있어서 다가올 미래 시간에 상정된 결정적 사건으로 볼 때, 그것은 시간의식과 관련된다. 오규원은 가능성으로서의 미래를 결정적인 것으로 보이기도 하고, 과거와 현재와 미래를 동시적으로 파악하기도 하고, 회상의 시간과 상상의 현재를 겹쳐 보이기도 하는 등의 주관적으로 파악한 시간의식으로 ‘죽음’의 한 속성인 실존적 한계를 무화시키는 죽음의식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perception of time in Oh, Gyu-Won"s early poems. Especially "phenomenon" in phenomenology and other time theories are adopted to identify the perception of time in Oh, Gyu-Won"s early work; these concepts are adopted since Oh, Gyu-Won perceives time in terms of subjective perception of experience. Oh, Gyu-Won"s early work shows the perception of time which reveals essential "phenomenon" of inner time perceived as subjective perception of experience rather than objective perception of time, through specific time marks. Specifying the time marks is a perceived act to express "phenomenon" of time identified by subjective perception of experience related to the net of poetic significance. These time marks instruct essential time "phenomenon". Also, time is personified and arranged in a way that the times of the past, present and future are visible simultaneously, which is seen as a time "phenomenon". In other words, time is personified to realize the "phenomenon" of temporality of time in which the past, present and future co-exist simultaneously. This is also by the perception of time by identifying the time "phenomenon" as subjective perception of experience. Perception of time in Oh, Gyu-Won"s early poems is related to perception of death that the poetic subject perceives. Considering "death" as a decisive event which is introduced to the time of future, it is related to the perception of time. Oh, Gyu-Won"s early work presents the past, present and future in various ways in which events related to death are closely link to the time. Perception of death in the poems includes the perception of time identified by Oh, Gyu-Won"s perception of experience.

      • KCI등재

        근대시에서 "숭고"의 위상

        윤의섭 ( Eui Seoup Youn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3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52

        근대시가 ‘미’의 미학을 중심으로 전개된 점은 근대시사에서 ‘숭고’의 요소를 드러내는 시가 존재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재고의 여지가 있다. 본 연구는 근대시에 나타난 ‘숭고’의 특징을 살펴보고 특히 독자에게 형성되는 ‘숭고한 감정’의 요소에 주목하고 그것을 초월적 상상력과 민족의식과의 관계 속에서 파악하고자 하였다. 근대시는 ‘미’를 주요 가치로 삼으면서 전개되었지만 ‘숭고’에 대한 인식 역시시와 시론에서 나타나고 있었다. 그러므로 근대시에서 나타나고 있는 ‘숭고’를 고찰하는 것은 ‘미’의 미학에 대한 편중성에 의해 자칫 간과할 수 있는 ‘숭고’의 가치를 부각시키기 위한 과정인 것이다. ‘숭고’를 형성하는 여러 요소 중 ‘초월적 상상력’은 민족의식을 드러내고 있는 시에서 중요한 방식으로 쓰이고 있다. ‘숭고’가민족의식을 고양시키는 시에 자주 나타나는 것은 ‘민족’이 ‘숭고’를 형성하는 ‘초월적 상상력’이 용이하게 작용할 수 있는 무한한 가변성을 지닌 존재이기 때문이다. ‘초월적 상상력’을 통해 독자는 ‘숭고한 감정’을 형성하게 되며 이때 독자는 시에 나타난 ‘민족적 숭고성’을 도덕적이면서 당위적인 수용 대상으로 인식하는 것이다. ‘숭고’는 근대시사에서 ‘미’를 중심으로 한 가치평가와 기술 방식에 또 다른 관점을 제시한다. 즉 숭고를 드러낸 ‘저항시’의 저항의식과 그 시의 예술성을 구분하여 기술하거나 저항의식의 측면만을 기술하는 방식 외에 ‘숭고’의 영역에서 저항의식과 예술성을 통합적으로 기술할 수 있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는 것이다. 근대시에서 ‘숭고’의 위상은 새롭게 고려돼야 할 미학적 관점으로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데 있다.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status of sublimity in modern poetry. Modern poetry emphasized ``beauty`` and the theory of poetry was developed from the aesthetics of ``beauty``. Considering that certain poems in the history of modern poetry carry the element of ``sublimity``, it is worth reillumination.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sublimity`` in modern poetry through the ``sublimity`` theories suggested by Longinos, Kant, etc. Especially the paper focuses on the element of ``sublime`` sentiment formed in the readers which is examined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of transcendental imagination and national consciousness. Modern poetry had been developed around ``beauty`` as the main value until the 1940s since its beginning and the perception on ``sublimity`` emerges from poems and theories of poetry. To examine ``sublimity`` in modern poetry is to emphasize the value of ``sublimity`` which could be easily ignored because of inclination towards the aesthetics of ``beauty``. ``Transcendental imagination``, one of the many elements to form ``sublimity``, has been an important means to portray national consciousness in poems. Frequent use of ``sublimity`` in poems that promote national consciousness shows not only the reality of Japanese occupation but also ``the nation`` of unlimited variability that can facilitate ``transcendental imagination`` that forms ``sublimity``. Readers develop ``sublime sentiment`` through ``transcendental imagination`` and accept ``national sublimity`` in terms of ethics and appropriateness. ``Sublimity`` suggests another perspective for value evaluation and narration focusing on ``beauty`` in modern poetry. It means that there could be other ways to integrate within the realm of ``sublimity`` than to separate the sense of resistance in ``resistance poetry`` from artistic values of the poems. The status of ``sublimity`` in modern poetry can be identified in terms of a few perspectives: modern poetry was developed under Japanese occupation; national consciousness and ``resistance poetry`` are closely linked; ``sublimity`` can be seen in other literatures than ``resistance poetry``; and value evaluation or understanding can be ignored by focusing only on ``the aspects of beauty``.

      • KCI등재

        근대시의 미적 자율성 형성 과정 연구 : 근대지식과의 결합관계를 중심으로

        윤의섭(Youn Eui-seoup) 한국시학회 2012 한국시학연구 Vol.- No.33

        본 연구는 근대시의 미적 자율성 형성 과정에 근대지식이 어떠한 방식으로 결합, 배치, 전유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개화기 시가에 근대지식으로 쓰인 용어들은 그 자체로 계몽성을 갖고있다. 이는 당시의 시대적 요청에 의해 반계몽적 속성을 지닌 근대지식이 배제된 채 특정한 영역의 근대지식만이 시가에 쓰이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계몽적 속성을 가진 근대지식이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개화기의 시가는 생성단계부터 계몽적이 될 수밖에 없다. 동시에 이 시기 시가의 미적 자율성 획득 가능성도 원천적으로 차단되어버린 것이다. 1920년대 전후의 근대시는 개화기의 계몽 담론과는 다른 근대지식과의 결합관계에 의해 새로운 지류를 형성하며 나타나고 있다. 이 시기에는 개인으로서의 '나'와 미적 근대성이라는 근대지식이 개화기와는 다르게 근대시에 재배치되고 그 결합이 보다 강화되고 있다. 그러나 이 시기의 시는 대중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예술가의 정신으로 예술을 통해 현실을 극복하고 새로운 세계를 추구하고자 하는 낭만적 계몽성을 드러내고 있으며, 아직은 문학성에 있어서 일정한 한계가 있어 보다 확고한 미적 자율성을 획득하지는 못하고 있다. 1920년대 후반과 1930년대의 시에 수용되고 있는 근대지식은 시어로서, 또는 시적 인식의 틀로서 재번역되고 전유되는 가운데 전적으로 시라는 미적 형식과 본질에 복무하는 양상을 보인다. 또한 1930년대 전후에 시와 결합하는 근대지식은 시인들의 미의식에 의해 근대문명과 문화를 통해 학습된 '근대지식'이라는 기원적 성격은 은폐된 상태에서 미적인 성질의 것으로 전유되고 있다. 1930년대 전후의 시에서 보이는 미적 자율성은 시에 전유된 근대지식의 기원에 대한 은폐를 통해 형성되고 있는 것이다. 근대지식은 시의 미적 요소로 전유되면서 이전 시대부터 이루어져 왔던 번역과 조어, 그리고 새로운 개념의 창출이라는 복잡한 유입 과정을 드러내지 않는다. 이런 과정을 통해 1930년대의 시는 미적 자율성을 형성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how modern knowledge is combined, arranged and monopolized in forming aesthetic autonomy of modern poetry. Terms used as modern knowledge in poems during the time of enlightenment bear itself an enlightening nature. It is because modern knowledge of only certain areas was used on poems, with modern knowledge of anti-enlightening nature excluded by the request of the time, Ultimately poems during the time of enlightenment selectively combined with modern knowledge are destined to be enlightening from the forming stage. At the same time, the possibility of acquiring aesthetic autonomy in poems during this time is also completely blocked. Modern poems around the 1920s, unlike enlightenment discourse during the time of enlightenment, formed a new trend by combination with other modern knowledge. 'Self' as an individual and modern knowledge as aesthetic modernity during this period, unlike during the time of enlightenment, were re-arranged in modern poetry and the combination was more enhanced. However poetry during the period shows romantic enlightenment that was seeking overcoming the reality and new world through art and the artists' spirits placed above the general public; more solid aesthetic autonomy couldn't be achieved since there was a certain limit in the literary value. Modern knowledge adopted in poems during late 1920s and the 1930s was the language of poetry; as the frame of poetic perception, re-translated and monopolized, it serves as the aesthetic form and the essence. Also, modern knowledge combined with poems around the 1930s was monopolized as something of aesthetic nature with the origin of 'modern knowledge', learned from modern civilizations and cultures, concealed. Aesthetic autonomy seen in poems around the 1930s is formed by concealing of the origin of modern knowledge monopolized in poems. As modern knowledge is monopolized as aesthetic elements in poems, translation, coined words continued from the previous times, and complex adopting process, that is, creating new concepts, are not revealed. Through this process, poems in the 1930s form aesthetic autonomy.

      • KCI등재

        시 종결 방식의 형성과 의미 : 1910년대 『학지광』의 시를 중심으로

        윤의섭(Youn Eui-Seoup) 한국시학회 2010 한국시학연구 Vol.- No.27

        The ending methods in the poem of the 1910s show a mixed tendency of the traditional forms and the modern influences. While the influences from the Western Poetry was overwhelming the poetry of Korea, the perception of the selves and the world had not reached appropriate level. Therefore, habitual uses of the traditional ending methods in poems could be discovered from the poetry of those days. Many different kinds of ending methods, such as the synchronization between the head and tails of the lines of the poetry, along with other ending methods are found. But these ending methods mostly failed to materialize the poetry as an aesthetic entity as itself due to the subjectivity. The ending method is limited by internal structure of significance. and The ending method show a cognition on ending of poet. The ending methods in a poem are indispensable to complete the poem and make it stand on its own as an aesthetic entity. In a historical point of view, since the introduction of modern poetry many poets employed various types of ending methods to complete a poem and achieve the poetic goals the poets intended. This is one of many processes to be taken in order to posit the poem in a complete, artistic domain, and at the same time, it is a process of building a specified boundary in response to the readers and the world.

      • KCI등재

        시간을 의식적으로 다룬 시에 나타난 시간성

        윤의섭(Youn, Eui-Seoup) 한국시학회 2017 한국시학연구 Vol.- No.51

        본고는 시에서 시간을 의식적으로 다루거나 분명한 표지로 내세우는 경우 시간에 대한 주관적 인식이 개입되면서 특정한 시간성이 나타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시간을 의식적으로 다룬 시에서 시간의 성격은 주관적인 경험 판단에 의해 형성되면서도 시간에 대한 관습적인 상징성을 따르고 있다. 1930년대의 시에서는 시간에 주관적인 감정이 이입되어 인간성이 부여되거나 감상적인 시간성이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러한 양상은 특히 모더니즘 시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시간을 다루고 있는 이 시기의 시에서는 근대 시간에 대해 우울함, 거부감, 부정적인 인식 등의 감정을 이입하여 시간을 대상화하고 있다. 1940년대의 시에서는 시대적인 요인으로 인해 이상적 시간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때의 시간은 시간이 갖는 관습적인 상징성을 따르고 있다. 상상으로 인식할 수밖에 없는 먼 과거나 고난의 시간으로 파악되는 현재, 그리고 희망과 가능성의 시간으로 여겨지는 미래 시간은 모두 시간에 대한 관습적인 상징성을 토대로 표상된 것이다. This study looked at the poem conscious dealing with time. In the poem conscious dealing with time, the character of time is formed by subjective empirical judgements. It also follows the conventional symbolism of time. In the poem of the 1930s, there is a subjective feeling of belonging in time. There is also time has also been given humanity’s personality. and It appears the Sentimental time. This aspect is particularly pronounced in modernism Poetry. The poem objectification a time by incorporating feelings of depression, rejection, and negative perceptions of modern times. In the poem of the 1940’s, there is an ideal time. The time period is followed by the conventional symbolism of time. A distant past time which can only be imagined and the present time considered the moment of adversity and future times considered the time of hope and possibility is all represented by the conventional symbolism of time.

      • KCI등재

        정지용 후기시의 장소성

        윤의섭 ( Eui Seoup Youn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1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46

        본 연구는 정지용의 후기 시에 나타난 장소의 특성과 시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정지용의 후기 시에 대해선 공간에 대한 연구가 다수 이루어져 왔다. 공간 개념에 의한 시 분석은 대개 외부적 관점을 통해 공간을 대상화하게 되고 주로 수직성, 초월성, 상승 지향성 등에 주목하게 된다. 반면 장소 개념에 의한 시 분석은 장소 안에서의 내부적 관점에 의해 주체 중심의 실존성, 유기성 등에 보다 주목하게 되는 차이를 드러낸다. 이러한 장소 개념에 의한 관점을 통해 본고는 정지용의 후기 시에 나타난 장소 경험과 그로 인해 형성되는 의식을 살펴보았다. 장소에 대한 경험은 곧 장소에 대한 의식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형성된 의식은 친밀감, 유대감, 그리고 장소의 정체성에 의해 드러나는 적막함, 고요함, 탈속성, 안정성, 밀착성 등이다. 또한 장소를 이동하는 가운데 시적 의식이 축적되는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정지용의 후기 시 「白鹿潭」에서는 장소와 동일성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주체가 해체되고 새롭게 발견되기도 한다. 이는 모두 장소에 대한 애착과 구체적인 장소의 특성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장소는 시의 주체에게 영향을 주며, 또한 시의 주체 역시 장소를 경험함으로써 상호 교감을 이루게 된다. 새롭게 발견된 시적 주체는 당시 조선의 특정 장소의 장소성을 반영하고 있으며, 동시에 장소성을 알려주고 있다. 이러한 점이 정지용의 후기 시에 나타난 장소성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poetic significance of places in Jeong, Ji-yong`s later poems. For Jeong, Ji-yong`s later poems, especially space like ``mountains`` have been frequently studied. Analysis on space concept objectifies a space mostly from outside perspective, focusing on vertical, transcendent and upward nature. Analysis on place concept however takes internal perspective in the place focusing on existential and organic nature. This study examines the experience of a place and the senses formed in Jeong, Ji-yong`s later poems in terms of the place concept. Experience of a place forms a sense of a place; the formed sense includes familiarity, bond, silence, stillness, unworldliness, stability and adherence. Also the poetic sense seems to be accumulated as moving from one place to another. Jeong, Ji-yong`s later poem 「白鹿潭」 deconstruct and discover the subjects which are being identified with place. Deconstruction and discovery are done through attachment to places and specific characteristics of places. Places affect the subjects of poems which also experience the places to have mutual communication. Newly discovered poetic subjects reflect and suggest the significance of specific places in Chosun at the time. This indicates the significance of places in Jeong, Ji-yong`s later poems.

      • KCI등재

        시에서 ‘서정성’의 전승과 정착 ― 1910년대∼1930년대 시를 중심으로

        윤의섭 ( Youn Eui-seoup ) 현대문학이론학회 2021 現代文學理論硏究 Vol.- No.84

        1910년대 근대 초기의 시에서 ‘서정시’, ‘서정’ 등에 대한 장르적 인식은 혼란스러웠고 이후의 시대에도 ‘서정시’나 ‘서정’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거나 불분명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렇게 볼 때 1950년대에 계승하고자 한 이전 시대의 ‘전통서정시’에서는 불분명하고 부정적인 인식까지 갖고 있던 ‘서정’이 전승된 것이 아니라 ‘서정성’이 근대 초기부터 시의 한 요소로서 전승되었다고 볼 수 있다. 1910년대 근대 초기의 시에서 1920년대의 시를 보면 이 시기에 ‘서정성’에 대한 분명한 인식은 없었지만 ‘서정성’을 형성하는 주관 표현을 위한 의미부여, 이미지화, 상징화, 비유 등의 다양한 방식이 전대의 시에서 후대의 시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서정성’이 전승되었다. 1930년대의 모더니즘 시는 근대적 주체가 인식한 세계를 이미지, 비유, 서사 등으로 드러내는 등 주관 표현 방식에 대해 새로운 시도를 하며 시의 ‘서정성’을 새로운 방식으로 형성케 하고 확산케 하였다. 근대 초기의 시에서부터 좁은 지류를 형성하며 이어져 오던 ‘서정성’은 1930년대를 거치면서 대부분의 시에서 명징한 양상으로 폭넓게 확산되었고 시의 핵심적인 요소로 정착되었다. ‘서정성’은 근대 초기 이후 ‘서정시’의 본질적인 요소로 점차 정착되면서 오늘날의 시에까지 전승되고 있다. In the early modern poetry of the 1910s, genre perceptions of ‘lyric poem’ and ‘lyric’ were confusing. Even in later times, there was a negative or unclear perception of ‘lyric poem’ or ‘lyric’. Therefore, in lyric poem, ‘lyric’ was not transmitted, which had unclear and negative perceptions, but ‘lyricism’ was transmitted as an element of poetry from the early modern era. From the early modern poetry of the 1910s to the 1920s, ‘lyricism’ was transmitted. It was made in the midst of a continuous influence of various methods for subjective expression from the previous to the later poems. Modernism poetry of the 1930s sought to reveal the world perceived by modern subjects. During this period, a new method of subjective expression was attempted. As a result, the poem’s ‘lyricism’ was shaped and diffused in a new way. Lyricism’ has continued to form a narrow tributary since early modern poetry. After the 1930s, "‘lyricism’ diffused as clear aspect in most poetry. And it was became a key element of poetry. ‘Lyricism’ has been gradually settled as an essential element of ‘lyric poem’ since the early modern era, and has been passed on to today’s poetry.

      • KCI등재

        1950년대~1970년대 시의 시간 연구

        윤의섭(Youn, Eui-Seoup) 한국시학회 2018 한국시학연구 Vol.- No.55

        본 연구는 현실 인식 태도와 관련하여 시에 형성된 시간의 실재적 양상과 그 시간이 어떠한 시간성을 드러내는 방향으로 작동하는지를 1950년대부터 1970년대의 시를 통해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시에 형성된 시간이 현재를 중심으로 하여 나타난다는 것과 그 시간이 현실 인식 태도에 따라 다양한 시간성이 드러나는 방향으로 작동하는 방식에 대해 논의하였다. Ⅲ장에서는 1950년대의 전후시를 통해 전쟁으로 인해 단절된 현실의 일상적인 시간을 복원하고 있는 양상과 일상적, 선형적, 부정적 시간성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1960년대의 시에 형성된 시간이 순수현재 시간의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목적성과 추상성을 갖는 시간성의 양상을 보인다는 점을 살펴보았다. Ⅴ장에서는 1970년대 시의 시간이 현실적이고 경험적인 현실로 제시되어 있어 시간성이 감각적으로 지각될 수 있는 실제적인 시간의 양상을 보여주고 있는 점을 살펴보았다. This study examined aspects of the times formed in the poetry in relation to the attitudes of the perception of reality. It also examined the poetry from the 1950s to the 1970s to find out how time is becoming temporal attribute. In Chapter II, revealed that the time formed in the poem is centered around the present. It also discussed the way in which that time reveals its Various temporal attribute in relation to the attitudes of the perception of reality. In Chapter III, examined at the aspects of restoring the ordinary times of reality interrupted by the war in poetry of post-war in the 1950s, and the aspects of daily, linear, and negative time perception. In Chapter Ⅳ, revealed it looked at the fact that the time formed in the 1960s showed a time of purely present, with temporal attribute has a purpose and abstraction. In Chapter Ⅴ, examined that the time of the poetry of the 1970s was presented as a realistic and empirical reality. temporal attribute shows aspects of real time that can be perceived as sensory.

      • KCI등재

        일반논문 : 1950년대 시에 나타난 "숭고"의 양상과 의미

        윤의섭 ( Eui Seoup Youn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4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56

        1950년대의 시에 나타난 ``숭고``에 대한 연구의 타당성은 세 가지 이유를 통해 찾아 볼 수 있다. 첫째로는 ``숭고``의 의식을 드러내고 있는 시가 발견된다는 점이다. 둘째, 기존에 행해졌던 획일적 관점에 의한 모더니즘의 미학적 가치 판단은 오히려 그러한 관점이 아닌 다른 관점을 통해, 즉 ``숭고`` 미학적 관점을 통해 접근할 수 있지 않는가 하는 회의의 여건을 조성한다는 데에서 찾을 수 있다. 셋째로는 1950년대 시에 대한 논의에 있어서 배제하기 어려운 한국전쟁이라는 전제를 들 수 있다. 전쟁은 ``숭고``와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타당성을 바탕으로 본고는 1950년대 시에서 ``숭고``의 분위기가 형성될 수 있는 당시의 의식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것이 ``숭고``를 드러내는 시로 이어지는 양상을 고찰하였다. 한국전쟁은 1950년대의 시단에 ``숭고``의 분위기를 형성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1950 년대의 ``숭고`` 분위기는 ``숭고`` 시가 쓰일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한다. 몇몇 시인의 시에서 ``숭고``의 감정을 찾아볼 수 있는데 여기에는 당시에 형성된 전쟁 이후의 ``숭고`` 분위기가 감정적 토대로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전쟁으로 촉발된 ``숭고``의 분위기 속에서 ``숭고``를 드러내고 있는 1950년대의 시는대개 불안이나 고통, 초월의지 등 전쟁과 관련된 감정과 의식이 내재되어 있다. 또한 ``숭고``를 드러내는 1950년대의 시는 ``성스러운 숭고의 감정``과 ``초월의식``을 보인다. ``성스러움``이나 ``초월성``은 ``숭고의 감정``의 성격이다. There are three reasons for the validity of studies on ``sublimity`` in poetry in 1950s: first, poetry that displays the sense of ``sublimity`` can be found; second, there is a skeptical view that aesthetic values of modernism from the existing unified perspective can be approached from ``sublime`` aesthetic perspective rather than modernistic, unified perspective; and third, Korean War is the premise that is hard to exclude from discussion on 1950s poetry. It is because war has something to do with ``sublimity``. Based on the validity, this paper examines the sense and mentality of the time when the mood of ``sublimity`` could be formed in 1950s poetry. And the link to poetry showing ``sublimity`` from the mood was studied. Korean War in the context of 1950s poetry led to formation of the sense of ``sublimity``. The mood of ``sublimity`` in 1950s provides the base on which a poem can be written. The feeling of ``sublimity`` can be found in poems by several poets; these poems suggest emotional base of ``sublimity`` formed after the war. 1950s poetry showing ``sublimity`` in the mood of ``sublimity`` triggered by the war bears emotions associated with the war: anxiety, death, transcendence, etc. Also, 1950s poetry showing ``sublimity`` suggests ``feeling of sacred sublimity`` and ``sense of transcendence``. ``Sanctity`` and ``transcendence`` are the characters of ``feeling of sublimity``.

      • KCI등재

        시에서 은유의 규정성, 강요, 계몽의 성격

        윤의섭 ( Youn Eui-seoup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6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67

        시에서 두 비유 대상 간의 차이성을 축소 은폐하고 유사성을 부각시키는 것은 그 은유를 합리화하고 정당한 진리인 것으로 규정지으려는 태도이다. 시에서 은유의 규정성은 은유로 진술된 의미와 구조적 형식의 층위에서 발생한다. 이때 은유의 규정성을 공고히 하는 것은 제시된 두 대상 사이의 유사성과 구조적 형식이 갖는 강제성이다. 이러한 은유의 규정성은 시적 의도, 이미지, 전달하려는 의미 등을 강하게 인식, 수용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한편 시에서 진술된 은유는 처음에는 쉽사리 용인되지 않더라도 결국에는 시에 함의된 시적 주체의 의도 속에서 수긍하기를 요구하는 태도를 내재하고 있다. 은유에서 두 비유 대상 사이의 차이성은 시의 미적 창조성을 이루는 중요한 미적 요소다. 또한 은유에서의 차이성은 그 은유 진술이 시적으로라도 진리인 것인지, 받아들일 수 있는 것인지에 대해 한 번쯤 의심케 하는 작용을 한다. 은유의 차이성이 갖는 이러한 창조성과 제동 기능에 의해 시에서의 은유는 역설적으로 은유의 진술과 그것이 제시하는 진리가 이해되고 받아들여지기를 강요하는 태도를 갖는다. 시에서 은유 진술은 세계-대상을 비유 대상과 유사성으로 묶어 동질적인 것으로 제시하며 규정성과 강요의 태도를 드러내고 여기에서 은유의 계몽적 성격이 발생한다. 은유 진술은 동일성의 진리를 규정하고 용인하도록 강요하며 독자의 인식을 새롭게 깨우치고자 한다. 그런데 은유의 계몽적 성격은 은유가 시에서만 용납 가능한 것이고, 그러므로 은유가 시의 자기지시 작용에만 쓰이고 있다는 점을 더욱 분명하게 알려준다. 즉, 시의 계몽적 성격은 시의 자기지시성을 구축하는 요소로 작동한다. This study is based on a view that characteristics such as regulations, coercion and compulsion are inherent in metaphors used in poetry due to the attributes of derangement of meanings and methods of emphasis, reduction and concealment held by metaphors. Metaphoric statements in poetry reduce and conceal differences and emphasize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objects of metaphor in order to rationalize the metaphor and regulate it as a justifiable truth. Moreover, readers are forced to accept the metaphors in poetry even though the metaphors are difficult to understand and create derangement of meanings due to the differences. Thus, metaphors used in poetry- although they may not be readily accepted at first- have an inherent characteristic to force readers to accept them within the intention of the poetic subjects implied in poetry. However, the regulatory and compulsory characteristics of metaphors in poetry are difficult for readers to accept in the reality beyond poetry- in regard to the truthfulness of metaphors in particular. Nevertheless, such characteristics play a role to strengthen the self-referentiality of poetry. Thus, this study examines that the regulatory and compulsory characteristics of metaphors have an enlightening character, and such enlightening character leads to the self-referentiality of poetry instead of the enlightening character of poetry itsel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