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매지의 민족운동과 사회활동

        윤은순 한국여성사학회 2019 여성과 역사 Vol.0 No.30

        Choi Maeji(1896~1983), who went to jail for anti - Japanese independence activities conducted through the Korean Patriotic Women's Party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developed educational activities and enlightenment campaigns centered on Jinnampo. After liberation, she started a kindergarten movement and enlightenment campaign in Andong. Also she served as Chair of the Andong branch of the Independence Promotion Patriotic Women's Association and pursued full-scale political activities by running for the South Korean Interim Legislative Assembly and the first National Assembly election. After the Korean War, Choi did social work and volunteer work through Daehan Buinhwe, the Korea Woman's Christian Temperance Union, and the YWCA. Choi's life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keywords. ‘Nation’, ‘Women’, ‘Christianity’. The series of activities she engaged in, such as the nationalist and enlightenment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national reconstruction activities in liberation space, and social work after the Korean War, are representive of the activities of Christian women, Christian. Women activists such as Choi regarded the establishment of democratic government and gender equality as the same concept after liberation. And they tried to establish women's rights by directly participating in parliament and government agencies. After the Korean War, Christian women focused more on women's relief and social work. Although it is true that women's organizations played a role of supporters of the regime after liberation, Christian women stood at the center of the women's movement, and they made steady efforts to improve women's rights and to relieve women as socially weak people. 최매지(1896-1983)는 기독교신앙을 바탕으로 개화된 환경에서 성장하여 근대적 교육을 받고, 일제시기 대한애국부인회 활동을 통해 항일독립운동에 투신하였다. 이후 진남포를 중심으로 교육활동과 여성계몽운동을 전개하였다. 해방 후 안동에서 독립촉성애국부인회 안동지부장을 역임하면서 남조선과도입법의원선거에서 안동군 대표로 뽑혔고, 제헌국회에 출마하였다. 한국전쟁 후 대한기독교여자절제회 회장을 맡아 여성 구제와 보호, 금주금연과 사치금지 등에 주력하였다. 말년에는 YWCA와 교회활동을 통해 사회봉사로 헌신하였다. 최매지의 생애는 일제시기 항일독립운동, 해방 후 정부수립기 정치활동, 이후 여성을 중심으로 하는 사회사업 및 봉사활동으로 시기적으로 구분된다. 이는 대부분 일제시기 교육받은 많은 기독교 여성들의 행보를 대표적으로 보여준다. 일제시기 항일독립운동에 투신하여 민족운동을 전개했던 여성들은 해방 후 민주정부수립과 남녀평등을 같은 개념으로 파악하고 의회에 직접 참여하여 여권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이후 일부 여성들이 현실정치에 진출하여 여성관계 법률을 제정하기도 했지만, 많은 기독교여성들은 한국전쟁 후 시급했던 여성들의 구호와 사회사업에 집중한다. 남성들의 비협조와 여성에 대한 편견, 조직력과 자금력의 한계 등으로 해방 후 여성의 정치적 진출이 여성들이 기대했던 것만큼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러나 여성운동의 중심에서 여성권익 향상과 사회적 약자로서의 여성구제에 꾸준히 노력하였다. 최매지의 생애는 세 가지 키워드로 정리될 수 있다. ‘민족’, ‘여성’, ‘기독교’이다. 그는 자신이 속한 지역에서 민족운동, 여성운동, 종교운동을 꾸준히 전개하였다. 또한, 각각의 지역에서 치과를 개원하여 전문직 여성으로서 직업의 전문성을 봉사활동에 활용하였다.

      • KCI등재

        1920~30년대 기독교 절제운동의 논리와 양상 -금주금연운동을 중심으로-

        윤은순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09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59

        The temperance movement has characteristic as follows. First of all, the temperance movement was representative activity that Christians were interested in the social issue and then developed systematically. Second, the temperance movement was the ethical practicing movement with the object of reconstruction of individual and racial consciousness, of breaking evil customs. Third, the temperance movement was passive economical movement. But the temperance movement also has limits. First of all, they thought that the cause of exhausted economic situation in colonial economic structure and of social problem as wandering, dispersion, suicide, and prostitution were ‘disappointment’, ‘negligence’, ‘intemperance’, and they also understand high liquor tax and as the tax of tobacco as the result of intemperance. The temperance movement was passive economic movement spreaded out as a workable policy, as well as social movement expecting improvement of material/mental living under the a given condition. It induced to well balanced living as rational consumption, and accomplished rational and modern society through not just improvement of mental living but material. It could be valuated that converted religious temperance ethics and individual sense of morality into social movement and lead out popular awakening and agreement and developed systematic demonstration, propaganda into the public. It also has meaning that the temperance movement attempted economical merit cultivation could be practiced realistically and planned recovery of racial sense of morality and mental awakening. 1920년대에 본격화된 기독교 절제운동은 금주금연운동이 가장 대표적인 활동이었다. 초기 내한한 청교도적 성향을 지닌 선교사들에게 영향을 받은 조선의 기독교인들은 신자의 본분으로서 술ㆍ담배ㆍ축첩의 금지를 받아들이고 능동적으로 이를 실천해 갔다. 개인적 종교적 차원에서 장려되고 받아들여졌던 절제의 윤리는 일제 강점 이후 본격적인 사회운동으로 등장하기 시작하는데, 이는 경제적 파탄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었다. 토지조사사업, 산미증식계획으로 이어진 일제의 경제적 수탈은 조선 민중을 초근목피로도 연명이 어려운 상태로 몰아갔다. 이에 민족주의 계열은 물산장려운동에서 시작하여 농촌운동ㆍ협동조합운동을 전개하기에 이른다. 기독교계는 당면한 경제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농촌운동ㆍ절제운동을 추진한다. 절제운동은 한국기독교 양대 교단이었던 장로교와 감리교 뿐만 아니라 사회사업에 적극적이었던 구세군을 비롯하여 조선여자기독교절제회, 조선기독교절제운동회, 금주단연동맹 등의 다양한 사회운동단체를 통해 이루어졌다. 금주금연을 주장했던 데에는 경제ㆍ건강ㆍ종교적 이유와 목적이 있었다. 금주는 경제적으로 피폐된 조선 현실에서 불필요한 비용을 줄이는 절약의 차원에서, 신체와 정신의 건강을 위해서도, 개인의 성화와 사회의 정화를 위해서도 가장 필수적인 요소로 손꼽혔다. 구체적인 금주금연운동은 강연회와 선전시위, 언론ㆍ출판을 통한 계몽활동으로 이루어졌다. 각 절제운동단체에서 가장 주력한 부분이 전국 곳곳마다 강연회를 통해 금주금연의 필요성을 알리고 대규모 시위를 통해 이를 확산시키는 것이었다. 절제운동에는 기독교 정신, 혹은 도덕관념의 구현과 민족운동적 측면(‘경제를 살리자’, ‘죽어가는 민족을 구원하자’ 등등)이 맞물려 있다. 금주금연으로 육체적ㆍ정신적으로 건강한 삶을 가꾸고, 도덕의 부흥, 신체 건강, 재정이 부유하게 되는 이상적 개인과 사회를 꿈꾸며 전개된 운동이 절제운동이었다. 종교적 절제윤리와 개인적 도덕심을 사회운동으로 전환하여 민중의 각성과 동의를 이끌어내고 조직적 시위와 선전을 통해 대중적으로 널리 전개되었다는 점에서 사회운동으로서의 의의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새가정』을 통해 본 1950년대 기독교가정생활운동

        윤은순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22 기독교사회윤리 Vol.53 No.-

        기독교가정생활운동은 2차 세계대전 후 생활의 세속화에 대응하여 기독교 가정을 올바르게 세우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해방 후 기독교계는 기독교 가정의 건설을 통해 기독교국가를 세우고자 했다. 이에 ‘기독교가정생활위원회’를 발족시키고 가정론의 교육, 강연회 등을 통해 가정생활운동을 펼쳤다. 무엇보다 『새가정』을 통해 기독교 가정생활관을 보급하려 노력하였다. 『새가정』에 나타난 논의들은 ‘기독교가정관의 확립’,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주부’, ‘모성의 강조’, ‘순결한 성과 결혼’, ‘국가에 봉사하는 가정’이다. 기독교가정생활운동은 1950년대의 혼란스러운 한국사회에서 국가와 민족에 도움이 되고자 했던 시대적인 배경이 담긴 문화주의적 계몽운동의 성격을 갖고 있다. The Christian Family Life Movement started with the purpose of establishing a Christian family properly in response to the secularization of the Korean soceity after the World War II. After liberation, the Christian community tried to establish a Christian state through the construction of Christian families. Accordingly, the ‘Christian Family Life Committee’ was launched and the family life movement was conducted through education on family theory and lectures. Above all, through 『New Home』, they tried to spread the Christian Family Life Theory. The discussions presented in 『New Home』 are about ‘the establishment of the Christian Family Life Theory,’ ‘a rational and scientific housewife,’ ‘an emphasis on motherhood,’ ‘chastity and marriage,’ and ‘a family serving the nation.’ The Christian Family Life Movement has the character of a culturalistic enlightenment movement with the background of the times to help the nation in the chaotic Korean society of the 1950s.

      • KCI등재

        근현대 안동지역 기독교의 정착과 지역사회에서의 역할

        윤은순 역사문화학회 2019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22 No.1

        Christianity, which has flowed into Andong since the modern age, sought coexistence through the understanding and localization of local culture and established its own Christian culture. Christianity was able to grow with the efforts of Christianity to settle in the Andong area and with the attitude of Confucian scholars who accepted Christianity as a means of protecting the nation and understood the Bible like Confucian scripture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Christianity gained its presence in the region through organizational activities of the March First Movement. After the March First Movement, the Christianity activities to save the country made the view to church amicable. The provision of educational facilities and modern medical technology has also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region and has allowed Christianity to be recognized as a gateway of modern civilization and to expand the power of Christianity. The youth movement, the women’s movement, and the rural movement were social movements that Christianity could practice in reality despite the limits of the enlightenment movement.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integration to Japanese Christianity, and shinto worship disrupted the image of the church and constricted Christianity. Christianity was able to grow again under the influence of the US military presence after liberation and the American aid after the Korean War. The Christian figures took a right-wing position in the liberation space and established a right-wing foundation by maintaining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the US military government.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the organized political participation of Christians almost disappeared. First of all, they were interested in rebuilding the collapsed church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fter that, Christianity has participated in society through relief activities since the Korean War, and rose to prominence in education and welfare work. 근대 안동에 유입된 기독교는 지역문화에 대한 이해와 토착화를 통해 공존의 길을 모색하고 고유의 기독교문화를 정립하였다. 안동지역에 정착하려는 기독교의 노력과 구국의 방편으로 기독교를 수용하고 성경을 유교의 경전처럼 이해하려는 유림의 입장이 공존하면서 기독교가 성장할 수 있었다. 기독교는 일제시기 3․1운동을 통해 조직적 활동으로 지역내 존재감을 획득할 수 있었다. 구국활동에의 참여는 3․1운동 후 교회를 바라보는 시선을 훨씬 우호적으로 변하게 하였다. 또한 교육기관의 시설과 근대적 의료기술의 제공은 지역 발전에 기여하였고, 기독교를 근대문명의 통로로 인식하게 하는 동시에 기독교의 교세를 확장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청년운동, 여성운동은 계몽운동의 한계를 갖지만, 기독교가 현실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사회운동이었다. 일제 말기, 일본기독교로의 통폐합과 신사참배는 교회의 이미지를 실추시키고 기독교의 세를 위축시켰다. 해방 후 미군정의 주둔과 한국전쟁 후 미국 구호의 영향을 받으며 기독교는 다시 성장할 수 있었다. 해방공간에서 기독교 인사들은 우익적 입장을 견지했고, 미군정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우익의 기반을 다지는 데 일조했다. 그러나 정부수립 후 기독교인들의 조직적인 정치 참여는 찾기 어렵다. 무엇보다 일제말 무너진 교회의 재건에 관심을 두었기 때문이다. 한국전쟁 후 기독교는 구호활동을 통해 사회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고, 교육사업과 복지사업을 통해 지역사회에 참여하였다. 안동의 기독교는 유림과의 공존을 모색하는 가운데 일제시기 민족운동과 의료, 교육사업을 통해 지역에 정착하였고, 해방 후에는 우익적 정치세력으로서, 한국전쟁 후에는 구호 및 사회사업을 통해 지역사회에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 KCI등재

        1950·60년대 아동복지사업의 내용과 성격: CCF를 중심으로

        윤은순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21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 No.107

        This article attempts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child welfare in Korea in the 1950s and 60s. This article focuses on the activities of the CCF. In the 1950s, the Korean government housed orphans in orphanages, but the government was not capable. The private orphanage was maintained by the sponsorship of foreign voluntary Agencies. In 1961, the Children's Welfare Act was enacted for children in need of aid. The government has put in place measures such as residential relief, domestic adoption, and consignment protection to reduce the budget required for relief facilities. However, there was no great achievement, and until the end of the 1960s, foreign Voluntary Agencies supported child relief. Social welfare has been neglected as the government's economic development policy has been focused on growth. Children's aid from foreign organizations stems from the American idea that Korea can become an anti-communist state when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afe social system. The background of CCF's child aid was “Christian Americanism,” which equates the good Christian with the United States as a defender of democracy. CCF's activities have helped a lot in post-war emergency relief. It also had a good influence on many Korean child welfare experts After the mid-1960s, a rudimentary but independent awareness of child welfare began to emerge by Korean child welfare experts. They are the establishment of an ethical consciousness, preparation for self-reliance, training of experts, and thoughts on child welfare, including ordinary children. This awareness of problems served as a foothold for the growth of child welfare programs in preparation for the withdrawal of foreign voluntary agencies in the 1970s. 이 글은 외국민간원조단체 CCF(기독교아동복리회)의 활동을 통해 1950·60년대 아동복지를 살핀다. 1950년대 정부는 한국전쟁 후 양산된 고아들과 부랑아들에 대해 시설 수용을 통해 관리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국가는 넘쳐나는 고아의 수요를 감당할 수 없었고, 많은 민간 고아원이 외원단체의 후원을 받아 운영 유지되었다. 1961년 아동복리법이 요구호아동에 한정하여 제정되었다. 정부는 시설구호에 들어가는 예산을 줄이기 위해 거택구호·국내입양·위탁보호·정착 등의 대책을 내놓았지만 큰 실적을 거두지 못하는 가운데, 1960년대 말까지 여전히 외원단체의 원조에 의지하였다. 경제개발이 성장위주로 진행되면서 사회복지는 뒷전으로 밀렸다. 한국전쟁 전후로 내한한 외원단체의 아동구호는 한국이 반공국가로서 유지되기 위해서는 안전한 체제유지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미국의 민간자원원조가 필요하다는 구상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인도적 차원에서 전개된 CCF의 아동구호의 배경에는 선한 기독교인과 민주주의 수호자로서의 미국을 동일시하는 ‘기독교 미국주의’가 있었다. CCF의 활동은 전후 응급 구호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 CCF한국지부는 초기 즉각적인 구호의 역할을 감당하고 한국의 아동복지관계자들과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이후 한국어린이재단에 인계하고 철수하였다. 1960년대 중반 이후 전쟁의 구호적 성격에서 나아가 복지로의 전환이 모색되기 시작하였다. 외원에 대한 의존이 여전한 가운데 아동복지관이 정립되지 못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인 아동복지전문가들과 사회사업가들에 의해 초보적이지만 주체적인 아동복지에 대한 의식이 싹트기 시작한다. 사회사업가의 윤리의식 제고, 자립으로의 준비, 전문가 양성, 일반아동으로까지 확장되는 아동복지에 대한 고민들이 그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이 1970년대 외원철수에 대비하여 아동복지사업이 성장하는 발판이 되었다.

      • KCI등재후보

        1960년대 여성사회교육과 기독교여성단체의 활동

        윤은순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2023 한국기독교문화연구 Vol.20 No.-

        1960년대 국가는 여성사회교육을 통해 여성인력을 국가재건에 이용하려 하였고, 여성지도자들은 국가발전에 여성이 기여할 때 여성의지위향상이 뒤따를 것이라는 믿음을 여성사회교육에 자발적으로 투영하였다. 기독교여성단체들의 움직임도 이와 비슷하다. 기독교가정의건설을 통해 기독교국가 수립을 목표로 했던 해방 후 기독교계의 열망이 이어지면서 여성기독교인으로서의 정체성은 국가와 사회에 대한봉사로 먼저 수렴되었고, 여성사회교육도 이에 집중되었다. YWCA는 주부를 본격적인 대상으로 하여 시민의식, 주부생활교육, 교양, 취미프로그램을 진행하는 한편 주부의 사회진출을 염두에 둔 직업을 개발하기도 하였다. 여성의 사회적 기여를 강조하기도 하지만 기독교적전인간화를 지향하며 개인 스스로의 존재가치를 높이고자 했다. 한편, 요보호 여성에 대한 보호에서 시작된 근로여성 대상의 사회교육은 점차 단순한 구호에서 나아가 구조개혁을 위한 움직임으로 나타나기 시작했다. In the 1960s, state power attempted to use women for national reconstruction through women's social education. Female leaders conducted social education for women with the belief that women's status could be improved when they contributed to national development. After liberation, the Christian world wanted to establish a Christian nation through the construction of Christian families. And women's social education also emphasized service to society. YWCA provided civic awareness, culture, and hobby programs for housewives, while also developing jobs with housewives' advancement into society in mind. It emphasized women's social contribution, but aimed at Christian holistic humanization. Meanwhile, social education for working women, which began with the protection of underprivileged women, went beyond relief activities and prepared for structural reform.

      • KCI등재

        일제시기 일간지 여기자의 역할과 위상

        윤은순 숭실사학회 2012 숭실사학 Vol.0 No.28

        일제시기 일간지 여기자의 역할과 위상 윤 은 순 일제시기 신여성으로 대표되는 교육받은 여성들은 신교육의 세례를 받 은 덕분으로 각종 사회활동에 참여할 수 있었다. 특히 교사, 의사 작가 등 은 전문직으로서 선망의 대상이 되었다. 1920년대 새롭게 등장하는 여기 자도 마찬가지였다. 여기자는 식민지 조선의 언론인이라는 점에서, 전통적인 문사개념에 기 대 남성들이 주도하던 언론계에 존재했던 여성이었다는 점에서, 교육받은 신여성 가운데서도 전문직으로 활동했던 소수의 직업여성이었다는 점에 서 주목되는 집단이다. 일제시기 일간지 여기자들은 비교적 부유한 가정환경에서 자라 유학을 할 정도로 고등교육을 받은 엘리트들이었다. 여기자로 활동하기 이전 또 는 이후에도 민족운동, 여성운동, 작가 등으로 활발한 사회활동을 펼쳤다. 여기자들은 주로 학예부에 소속되어 가정분야를 담당하면서 여성계몽 과 여성의 사회적 활동 및 지위 향상에 도움이 되는 기사를 작성하기 위 해 노력하였다. 남성기자 못지않은 기사작성으로 두각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기사가 가정란에 한정되다 보니 현장취재에 취약하다 는 비판을 받기도 하였고 기자 본연의 임무보다는 번역, 원고 청탁 등의 잡무를 보는 일이 많았다. 때문에 여기자들은 여러 가지 갈등을 겪게 되는데, 무엇보다 일과 가정 을 병행하는 데 따른 고충, 저널리스트적 역량이나 평가보다 외모, 성, 결 혼 등으로 그들을 성적 대상화 하는 사회의 시선과 편견이 그것이었다. 여기자의 출현은 남성 전문 영역으로 인식되었던 언론에 여성이 진출 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는 데, 여성들에게 하나의 역할 모델로서 기능했 다는 데 의의를 둘 수 있을 것이다. 여성의 다양한 목소리를 대변했고, 그 자체가 여성의 적극적인 사회진출 노력의 결과라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다만, 짧은 활동기간과 왜곡된 사회의 인식으로 여성언론인의 위 치를 확고히 하지 못했다는 아쉬움이 있다. The role and status of women reporter in japanese imperialism Yoon, Eun Soon The educated women represented modern women in the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could paticipate in many kinds of social activity for receiving modern education. Teachers, doctors, authors etc as specialist were especially regards to envious jobs. The new rising women reporter also became the envy. In the way that women reporter were journalist of colony-choseon, in the way that women reporter existed in the middle of traditional media that men was leading, in the way that women reporter were a small number of specialist among the educated women, women reporter group became distinguished. The women reporter on the daily newspaper were the higher educated elite bacause they had wealthy home backgrounds. They had been worked actively on the independence movement, women’s movement, writing, before they became reporter and after also. Women reporter made an effort to write article of helping to improve women’s position, activity. Some women reporter surpassed men on writing article. But they were criticized for handicap of reporting on the spot, the reason why women’s field was limited on the home-life section. They were occupied with trivial works like translation, requesting article. Women reporter encountered a number of difficulties. The difficulties came from that women reporter had to combine house work and press work and that there were prejudice to evaluate their ability with appearance, gender, marriage instead of journalistic capability. The meaning of emerging women reporter is one of the role models for women to advance to journalism regarded male’s field. They represented women’s various voice. To be reporter was the product of their positive social activity effort. This has important meaning. One of wistful sense, but, was that women reporter didn’t solidify their status as female journalist bacause of short acting period and social prejud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