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백제 임류각과 ‘류(流)’자명 기와

        윤용혁(Yong Hyuk Yoon)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22 충청학과 충청문화 Vol.33 No.1

        임류각(臨流閣)은 서기 500년(동성왕 22) 봄 백제 동성왕에 의하여건축된 웅진시대의 대표적 건축물이다. 높이는 5장, 최소 2층 정도의건축물이어서 건축 측면에서도 중요하고, 연못과 함께 구성함으로써 고대 조경으로서도 매우 의미가 크다. 임류각의 위치에 대해서는 그동안 많은 논란이 있었고, 현재는 1980년에 발굴된 건물지가 공식적으로는 ‘임류각지’로 되어 있다. 그러나 초석을 사용한 이 건물지가 백제보디 늦은 시기의 건물지로 인식됨에 따라 임류각의 위치는 재검토를 피할 수 없게 되었다. 본고는 백제 임류각의 위치로서, 공산성의 동북쪽에 위치한 현재 영은사 자리를 지목하였다. 바로 앞에서 백제시대 지당이 확인된 곳이기도 해서, 건축과 연못을 셋트로 한 궁궐 관련 조경 시설 기록과도 부합한다. 검토의 과정에서 백제 연못 발굴과정에서 확인된 ‘류’자 명 기와에 대해서도 임류각과의 연계 가능성을 제기 하였다. YimRyuGak (臨流閣) was a building constructed by Baekje’s King Dong-seong in spring A.D. 500 (the 22nd year of King Dongseong) representingUngjin Baekje era. It was 5 Jang tall, at least 2 stories building tall. It is highly valuable in the aspects of not only architecture but also ancient landscaping which was constructed with a pond. The location of YimRyuGak has been controversial so far. Today, the building area excavated in 1980 is regarded officially as YimRyuGak buil-ding area. As cornerstone was used in this building area, however, it has been recognized as a building area later than that of Baekje. Such building area, therefore, can not avoid being re-examined. As the location of Baekje YimRyuGak, this study pointed out YoungEun-Sa Buddhist Temple located in the northern-east area away from GongSan-Seong fortress. In front of the temple, a pond of Baekje era was identified,so that its area meets also the record of palace related landscaping facility that sets architecture and pond in combination. While looking into, this study also suggested the possibility that the roof tile carved with the letter pronounced ‘Ryu’ excavated during the excavation process of a Baekje’s pond may have been related with YimRyuGak.

      • KCI등재

        무인정권, 그리고 전란 속의 왕권 : 고려 고종(1192-1259) 연구

        윤용혁(Yoon Yang Hyuk) 한국인물사연구소 2009 한국인물사연구 Vol.12 No.-

        고려 고종은 13세기 몽고 전란기, 그리고 무신정권 하에서 반세기동안을 왕위에 있었던 인물이다. 최씨정권은 고종의 왕권을 자신의 정치권력 유지에 이용하였으며, 특히 13세기 다난한 대외관계의 전개는 이점에 있어서 매우 유효한 점이 있었다. 반면 고종은 사실상 최씨정권의 보호 하에 국왕으로 지명되고 그 지위를 유지하였다는 점에서 고종과 최씨정권 양자의 관계는 서로를 뒷받침해주는 상보적 입장에 있었다. 고종은 자신이 몽고와 직접적 외교 주체로 대두되는 것을 기피하였다. 이점에 있어서 고종이 대외관계의 외교적 사안을 이용하여 왕권의 회복을 추구하였다는 견해는 적절해 보이지 않는다. 고종은 보기 드물게 가정적이고 성실한 자기 신변 관리를 다했던 군왕이었다. 그러나 현실의 모순과 문제를 개혁하기보다는, 상황에 순응하는 소시민적 의식이 그를 지배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것은 청년기까지의 성장과정과 시대적 상황에 의하여 체득되어진 하나의 삶의 방식이었다. 이점에 있어서 고종의 왕위 재위는 이 시기의 역사성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e emperor Gojong of Goryeo dynasty was a person who was on the king's position during the half 13th century that went with Mongolian invasion and military power regime. The military power regime of Choi's family used the king's power of the emperor Gojong to keep their political power taking good advantage from the overseas relation that went with many difficulties and troubles in the 13th century. In fact, however, the emperor Gojong was appointed to an emperor and kept his position under the protection of Choi's family. This point indicates that the relation between the emperor Gojong and the power of Choi's family was to help each other. The emperor Gojong avoid becoming the main body directly for the diplomatic relation with Mongolia. In this point, the opinion that the emperor Gojong used some diplomatic issues in such overseas relation to seek restoration of king's power does not look proper. Unlike most of the other kings or emperors, the emperor Gojong was family-oriented and faithful to manage himself. It is, however, thought that he had mainly petit bourgeois style consciousness in sympathy with the current situations rather than reformed the real conflicts and problems. Such consciousness was a kind of life style that he gained through his growing-up process he experienced till his youth time and the situations of the times. In this point, his reign period is thought to reflect the historical character of his times.

      • KCI등재

        백제의 대왜(對倭) 항로와 가카라시마(加唐島)

        윤용혁 ( Yong Hyeok Yoon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4 백제문화 Vol.1 No.51

        백제는 중국 혹은 일본과의 활발한 교류를 통하여 발전한 국가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히 일본과의 왕래에 사용되었던 뱃길에 대해서는 구체적 논의가 거의 이루어져 있지 않다. 본고에서는 백제의 대왜항로에 대하여, 가장 일반적인 노선이 가라츠 방면, 가카라시마 근해를 경유하는 노선이었다는 견해를 『일본서기』의 무령왕 출생에 대한 기록을 주요 근거로 하여 구체적으로 전개하였다. 그동안 무령왕의 가카라시마 출생 기록은 이에 대한 부정적 인식 때문에 이 자료가 갖고 있는 고대 해로 관련의 자료적 가치가 간과되었다. 고토열도(五島列島) 혹은 오키노시마를 경유하는 노선은 지리적 조건상 백제~왜의 일반적 항로로 기능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다. 가카라시마는 한반도와 일본열도를 잇는 가장 거리가 가까운 지점이며, 쓰시마, 잇키섬을 잇는 징검다리 섬의 하나라는 점에서 해로상의 의미를 갖는다. 백제 이전이나 이후에도 이 노선이 사용된 많은 사례들을 확인할 수 있다. 가카라시마 근해의 해로에 대한 조사에서는 이 섬이 해로 이용자들에게 중요한 랜드마크가 되었으리라는 점이 인정 되었다. 해로 문제와 연관하여, 본고는 5~6세기 대왜 교류에 이용된 백제선이 돛을 이용한 구조선(構造船)이었을 것이라는 견해를 제시하였다. 앞으로 고대 선박의 자료의 발굴 가능성이 상존하기 때문에, 백제선에 대한 연구는 이러한 고대 자료의 발견이 이루어지면 훨씬 구체적인 논의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Baekje was a kingdom which prospered through active exchange with China and Japan. Nevertheless, there are few discussions on sea lane used particularly for travel to Japan. This paper specifically develops an opinion that the lane most usually taken from Baekje to Wae was toward Karatsu via coast of Kakarashima based on record of King Muryeong``s birth in Nihonshoki. Because of the negative awareness, the record of King Muryeong``s birth on Kakarashima has been overlooked for its value as material related to ancient sea lane. It is challenging for a lane via Goto Islands or Okinoshima to serve as a general sea lane between Baekje and Japan for its geographical conditions. Kakarashima is the closest point between Korean Peninsula and Japanese archipelago and it has significance as a sea lane in that it functions as a stepping-stone island along with Tsushima and Iki Island. It is frequently observed that this lane was used both before and after Baekje. A research on sea lanes around Kakarashima coast acknowledges that this island could have been an important landmark to those who used the sea lane. Regarding the sea lane, this paper presents an opinion that Baekje``s ships used for exchange with Japan in the 5-6th century were structural ones using sail. As it is probable to excavate materials on ancient vessels, studies on Baekje``s ships can be more concretely conducted upon discovery of such ancient materials.

      • KCI등재

        The Focal Issues in the Historical Study of the Koryŏ's Resistance against Mongol

        Yoon Yong-hyuk(윤용혁)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06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10 No.-

        본고는 13세기 몽골의 침입으로 야기된 고려ㆍ몽골 전쟁 연구에서 제기된 몇 가지 주제에 대하여 그동안의 논의를 소개하면서 필자의 의견을 덧붙여 정리한 것이다. 무엇이 고려의 장기항전을 가능하게 하였는가, 몽골군은 왜 강화도를 공격하지 않았는가, 고려의 대몽항전은 단계적으로 발전하였는가, 삼별초는 항몽의 불꽃인가 아니면 반민중의 정치군인인가 등의 질문이 그것이다. 그리고 여기에 ‘고려ㆍ몽골전쟁의 고고학’이라는 제목으로 유적과 유물 등 현장 자료를 통한 13세기 이해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그동안의 논의에서는 항몽전쟁에 대한 무인정권의 공과(功過)에 대한 극단적 의견차가 있어왔고 이 전쟁에 있어서 농민 천민 등 고려 인민들의 역할에 대한 높은 평가가 수반되었다. 이에 대하여 필자는 고려 인민들의 역할을 높게 평가하면서도 이를 ‘인민들만’의 공이라는 배타적 역할론에 대해서는 반대 하였다. 전쟁의 전개에 따라 항전의 단계가 발전해간다는 북한 사학의 대몽항전 발전단계론에 대해서도 비판적 의견을 개진하였다. 고려의 대몽항전이 정권의 정치적 입장에 의하여 결정되었다는 점에서 무인정권의 반몽 항전책이 비판될 요소를 안고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정권적 한계라는 관점 때문에 항전의 의미를 원천적으로 부정하는 평가를 내리는 것도 공정한 평가가 아니라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제주 삼별초와 몽골·동아시아 세계

        윤용혁 ( Yoon Yong-hyuk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6 탐라문화 Vol.0 No.52

        삼별초는 1270년 제주도를 점령한 이후 1273년 제주에서 패망할 때까지 이곳을 주요 거점으로 삼고 있었다. 제주도를 몽골에 대항하는 중요한 전략 요충으로 처음 파악한 것은 삼별초 세력이었다. 그러나 제주도를 전략 거점으로 실제 이용한 것은 몽골이었고, 이에 의하여 제주도에는 몽골 문화가 깊이 이식되는 계기가 만들어졌다. 제주도에서 몽골 관련 문화유산의 핵심 포인트인 항파두성은 ``항몽``이라는 민족적 관점이 강조되어 왔다. 항파두성의 문화재 지정 명칭 ``항파두리 항몽유적지``도 이러한 개념을 반영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제는 ``문화 다양성``이라는 제주도의 특성을 적극 배려하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 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제주도 문화유산의 몽골적 요소를 적극 활용하는 의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항파두성의 문화재 명칭 변경, 유네스코 세계유산의 추진, 그리고 한몽 수교 800년에 즈음한 제주도의 적극적 역할 등이 이에 의하여 과제로서 부각된다. Sambyeolcho used Jeju Island as their strategic, major base until their defeat there after occupying the island in 1270. It was Sambyeolcho force that first figured out that Jeju Island was a key point to fight against Mongolia. However, it was Mongolia that actually used Jeju Island as a strategic base and consequently, Mongolian culture was deeply planted in Jeju Island. Hangpaduseong, the core of Mongolia-related cultural heritage in Jeju Island, is stressed with national perspective of being ``anti-Yuan.`` ``Historic Site of Anti-Yuan Movement in Hangpadu-ri,`` the official name of Hangpaduseong as cultural property, is also reflection of such concept. However, it is now needed to actively consider Jeju Island`s feature of ``cultural diversity.`` In that sense, it is required to change our awareness for fully utilizing Mongolia elements of cultural heritages in Jeju Island. Issues arising include changing the name of Hangpaduseong, promoting it as UNESCO World Heritage and encouraging Jeju Island`s active role upon eight hundred years of Korea-Mongolia diplomatic rel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