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각중복장애학생 교수·학습 방법 관련 국외 연구 동향 분석

        윤애영,송다인,고은지,홍재영 공주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4 특수교육논집 Vol.29 No.1

        목적: 국외 학술지에 게재된 시각중복장애학생 지도와 관련된 최근 10년간의 연구물들을 수집·분석하여 시각중복장애학생 지도 및 교수법 관련 동향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NECA체계적 문헌고찰 매뉴얼에 따라 국내 학술 연구 정보 서비스 내 해외 학술논문 검색 서비스 및 국외 학술 논문 검색 사이트를 활용하여 2013년부터 2022년까지 발표된 국외 시각중복장애학생 교육방법 관련 문헌 총 16편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귀납적 및 연역적 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시각중복장애학생의 특성에 적합한 구조화 실시 관련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학습 환경의 구조화, 사고 과정의 구조화를 위한 시각중복장애학생 교수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둘째, 학습자 의도 파악 및 참여도 증진을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학습자 학습 참여 증진을 위해 보조공학 기기를 활용하거나, 학습자의 여가활동 증진을 위해 보조공학기기를 활용한 연구, 행동 중재를 적용한 보행 교육 연구가 진행되었다. 결론: 시각중복장애 학생 특성에 대한 구조화는 학습 환경 및 사고 과정 측면에서 필요함을 확인 하였다. 학습자 의도 파악 및 참여도 증진을 위해 보조공학 기기 및 행동 중재 방법을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NLP를 활용한 진로집단코칭이 고등학생의 진로결정 관련 변인에 미치는 영향

        윤애영,최혜란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20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6 No.3

        본 연구에서는 NLP코칭의 기술을 활용하여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정체감을 증진시키고 진로미결정을 감소시키는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위해 충북에 소재한 1개 고등학교 1학년 학생 24명(남자 12명, 여자 12명)을 무선적으로 선발하여실험집단 12명, 통제집단 12명으로 각 집단의 남녀성비가 동일하도록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은 1회당 100분 주 1회 총 7회기의 NLP진로집단 코칭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다. 각 집단에서 프로그램 실시 전, 후, 그리고 종료 2개월 후에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정체감, 진로미결정검사가 포함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검사 결과에 대한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집단에 따라 사전, 사후, 추수검사에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반복측정 변량분석(Repeated Measure ANOVA) 및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은통제집단에 비하여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전체점수와 하위요인인 직업정보, 목표선택, 미래계획에서그리고 진로정체감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으며, 진로미결정 전체 점수와 하위요인인 직업정보부족과 우유부단한 성격에서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NLP를 활용한진로집단 코칭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정체감을 향상시키고 진로 미결정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 KCI등재

        미래형 특수교육 교과서와 수업 장면에 대한 특수교사 인식 연구

        윤애영,이미숙 한국특수아동학회 2024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6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사들이 미래형 특수교육 교과서와 수업 장면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미래형 특수교육 교과서와 수업에 대한 발전 방향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를 위해 특수교사 5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사들은 미래로 향하는 교육의 흐름을 느끼며 특수교사만의 고충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특수교사들은 특수교육 수업을 보완하는 미래형 특수교육 수업 장면에 대해 기대를 갖고 있었다. 셋째, 특수교사들은 미래형 특수교육 수업을 운영하기에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고 하였다. 넷째, 특수교사들은 변화하는 미래형 특수교육의 흐름 속에서 장애학생의 개별화에 초점을 맞추어 운영해야한다고 하였다. 결론: 학교, 교육청, 유관기관 등은 교사들이 수업 다양성을 위해 노력할 수 있는 제반 환경을 마련해야 한다. Purpose: This study focused to find out what special teachers' perceptions of future special education textbooks and class scenes are, and to examine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Method: For this study,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are working to run future special education classe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felt the flow of education toward the future and had their own difficulties. Seco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d expectations about future special education class scenes that complement special education classes. Third, special education teachers said that there were realistic limitations in operating future special education classes. Fourth, it was said that special teachers should run classes by integrating flow of future special education. Conclusion: Related organizations such as schools and offices of education need to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teachers can strive for class diversity.

      • KCI등재후보

        장애인 보호자 지원 실태 및 요구에 대한 기초 연구

        윤애영,이미숙,한민경,나인정,양소현 공주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2 특수교육논집 Vol.27 No.1

        Purpose: This study presented the concept of guardians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presented the contents of support by life cycle and support by disability typ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meaningful in preparing measures for domestic disabled guardian support policies and services. Metho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t was intended to clearly understand the status of support for guardians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in Korea by examining laws, academic studies, and degree papers related to support for guardians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by life cycle and disability types. Results: The research results focused on the concept and area of support for guardians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understanding of support by life cycle, and support by disability types. In the concept of support for guardians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legal definition of guardians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family members as guardians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support areas for guardians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examined. In the trend of supporting guardians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by the life cycle, the request for support for guardians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required in the life cycle such as infancy, childhood, adolescence, transition period, and adulthood was presented. As for the status of support for guardians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by disability types and the demand for support, the status of support felt by guardians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by each disability type such as visual, hearing, physical, developmental, and intermediate redundancy were presented. Conclusion: Direct support for carer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should be focused, and support services for carers of people with disability should be expanded considering the life cycle and disability typ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장애인 보호자 지원체계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한민경,이미숙,양소현,나인정,윤애영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2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가 델파이 설문과정을 통해 생애주기별, 장애유형별 장애인 보호자 지원 체계 구축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3차에 걸친 전문가 델파이 설문을 실시하였다. 4개 집단 유형(특수교육 전공 및 전문직 패널, 특수교사, 장애인 보호자, 장애인 복지관련 기관에 종사자)에 속한 총 18명이 참가하였다. 연구결과, 전문가 패널은 생애주기별 특수성을 반영한 지원체계 개발을 강조하였다. 유아기의 경우, 장애영유아기의 발달특성 및 성장특성 관련 부모교육 지원을 강조, 아동⋅청소년기의 경우, 장애학생과의 의사소통 및 장애학생의 도전적 행동 중재 관련 교육, 양육기술 교육을 강조, 전환기 및 성인기 장애인 보호자 지원 체계에 관해 장애인 대상 직업생활 지원, 직업재활 교육, 장애인의 자립, 권리 옹호를 강조하고 특히 장애인 본인의 자립과 직업 관련 서비스를 강조하였다. 또한 장애유형별(예: 시각, 청각, 발달장애 등) 강조되어야 하는 보호자 지원체계의 특성에 대해서도 의견을 주었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장애인 보호자 지원체계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후보

        특수교육 교과용도서의 내·외적 체제 및 전자저작물 활용에 대한 문헌 분석

        이미숙(Misuk Lee),윤애영(Ae-Young Yoon),나인정(In-Jung Ra),김보민(BoMin Kim) 공주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3 특수교육논집 Vol.27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육 교과용도서의 내·외적 체제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으며, 전자저작물의 활용은 어떠한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를 위해 특수교육 교과용도서와 관련된 저서, 보고서, 연구포럼 자료, 학술지 논문 등이 선행연구의 분석 범위에 포함되었다. 연구결과: 본 연구는 특수교육 교과용도서의 법적 근거, 특수교육 교과용도서의 형태, 특수교육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교과용도서의 편찬, 특수교육 교과용도서의 내적 및 외적 체제, 특수교육 교과용도서 전자저작물의 활용, 미래 교육과정을 반영한 특수교육 교과용도서의 편찬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결론: 모든 교과에서 교과의 특색과 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위하여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미래형 교과용도서 개발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how the internal and external structure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extbooks are organized and how electronic resources are utilized. Method: For this study, journal articles and books related to curriculum, research forum data, an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related policies and government reports we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literature review. Results: The themes of the literature review included the legality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extbooks, the format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extbooks,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extbooks according to the revision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nternal and external structure, electronic resources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nd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reflecting on future education. Conclusion: It is required to develop curriculum textbooks that could be flexibly modifi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 area to promot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