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3.1운동 및 임시정부수립 100주년 특별전 전시디자인 비교 연구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서울역사박물관, 서대문형무소역사관, 독립기념관을 중심으로 -

        윤선영 ( Yoon¸ Sunyoung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20 전시디자인연구 Vol.17 No.2

        본 연구에서는 3.1 운동 및 임시정부수립을 주제로 한 4개의 기관(대한민국역사박물관, 서울역사박물관, 서대문형무소역사관, 독립기념관)의 전시디자인에 관하여 둘러보고 특성에 대하여 비교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동일한 소재로 진행된 전시디자인을 비교하여 콘텐츠 및 연출방법에 따라 연출효과 및 의미전달이 어떻게 다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각 박물관은 공통된 역사적 사실을 다루었기 때문에, 각 박물관의 입장이나 관점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어느 정도 공통적인 내용과 유사한 연출이 나타났다. 하지만 기관별로 강조하고자 하는 부분에 따라, 동일한 내용이라도 다른 연출과 효과를 보였다. This study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hibition designs of four different institutions that have exhibitions dealing with the theme of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and establishment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the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the Seoul Museum of History, Seodaemun Prison History Hall, and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mpare exhibition designs conducted with the same material and to find out how the directing effect and meaning transfer differ according to the content and display. Because the museums deal with the same historical theme, some degree of commonality in content and direction in the exhibitions is unavoidable, although each museum presents these themes a bit differently. However, depending on the part to be emphasized for each institution, even the same contents showed different direction and effects.

      • KCI등재
      • 시각적 웹 기반 그래프 알고리즘 학습 시스템

        윤선영(Sunyoung Yoon),한현구(Hyungoo Han) 한국정보과학회 2006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2A

        정보 통신의 발달과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그래픽 등의 매체를 통하여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학습자 수준에서 적절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쌍방향 멀티미디어 환경의 원격 웹 기반교육(Web Based Instruction, WBI)이 등장하게 되었다. 인터넷을 활용한 교육을 함으로써 개별화된 교육을 할 수 있고, 학습자들이 인터넷을 통해 함께 탐구하고 대화하며 결론에 도달하는 협력 학습의 장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그래프 알고리즘은 자료구조의 한 분야로 종류도 다양하고 개념도 복잡하여 학습자들이 쉽게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이 많았다. 본 논문에서는 그래프 알고리즘을 하이퍼텍스트를 통한 단순한 자료의 제시에 그치지 않고 웹의 장점을 살려 플래시를 통해 각 그래프 알고리즘의 수행단계를 시각적으로 보임으로써 그래프 개념을 쉽게 이해하고 여러 종류의 그래프 알고리즘을 효율적으로 반복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C로 구현된 각 알고리즘의 소스를 볼 수 있게 하고 그 결과도 보여줌으로 그래프 알고리즘을 정확히 이해하도록 하였다. 학습 후 평가 문제를 통해 학습자의 이해도를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막대그래프 차트로 보임으로써 비교 평가가 쉽게 구현하였다.

      • KCI등재

        학습공동체 작업을 통한 영유아중심· 놀이중심 개정 표준보육과정 적용 과정에 대한 탐구

        윤선영(Sunyoung Yoon),임환미(Hwanmi Im) 한국질적탐구학회 2021 질적탐구 Vol.7 No.1

        본 논문은 어린이집 교사들이 영유아중심·놀이중심으로 개정된 표준보육과정을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하는지 그 과정을 탐구하여 교사들의 경험으로부터 의미를 도출함으로써, 교사교육 내용 및 학습공동체와 관련된 교사교육 형태의 지원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가 촉진자 역할을 수행하며 교사들이 스스로 연구, 성찰, 실천해 가는 학습공동체 작업을 통한 질적 연구방법을 실시했다. 참여 교사는 신입과 경력교사 집단 각 8명씩이었다. 그 결과 ‘주제와 계획은 울타리’, ‘놀이중심 교육의 시작은 놀이자료의 변화로부터’, ‘조심스러운 놀이지도’, ‘영유아의 놀이와 친해지기’, ‘영유아에게 물어보기’, ‘어색하지만 행복한 어린이들’, ‘넘어야 할 쉽지 않은 산’, ‘적용하기 어려운 교사교육’의 주제들이 도출되었다. 지금까지 사용해 왔던 주제와 계획은 강하게 자리를 잡고 있어 교사들이 벗어나기 쉽지 않았다. 놀이중심 교육을 위한 방법과 전략은 소극적으로 적용되어 활발한 토론과 교류가 어려웠다. 교사들에게는 영유아중심 교육에 대한 개념 정리가 필요했으며, 원장의 적극적인 지원, 놀이지도의 질적 보장을 위한 평가 기준과, 주입식 교육이 아닌 교사들이 주체가 되고 전문가가 동반된 학습공동체 운영 지원이 절실했다. 앞으로 학습공동체 운영은 신입과 경력 교사가 혼합된 집단이 효과적이며, 교사중심·주제중심 지도, 계획된 활동에 영유아의 흥미 반영, 개방적인 놀이자료 지원, 영유아의 자발적인 놀이지원, 놀이 흐름 지원의 순서로 단계적인 변화를 시도하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paper is to find ways to support teacher education with the education contents and learning communities by exploring the process of applying the infant and play-oriented revised standard childcare process in the field. To this end, researcher served as facilitators in learning community and implement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rough teachers work in a learning community in which they self-studied, reflected, and practiced. 8 new and experienced teachers each participated in the study As the results of study, the following topics were drawn: ‘The subject and plan is a fence’, ‘The play-oriented education starts from the change of play materials’, ‘Cautious play guidance’, ‘Infants getting familiar with play’, ‘Asking to infants’, ‘Awkward but happy infants’, ‘A difficult challenge to clear ‘, ‘Difficult to apply teacher training’. It was not easy to get out of the themes and plans that have been used so far as they were deeply strongly rooted and the methods and strategies for the play-oriented education were applied passively, making it difficult to have ctive discussion and exchange. For teachers, it is needed to put together the concept of infant-oriented education and it was essential to adopt evaluation criteria to ensure the quality of play guidance and support the operation of a learning community, led by teachers, with assistance of experts, instead of one-way learning by rote. It will be more effective to have the operation of the learning community led by a group of new and experienced teachers. And it is necessary to support step-by-step changes in the order of teacher-oriented and topic-oriented support, reflecting infants’ interest in planned activities, providing open play materials, voluntary play support for infants, and supporting play flows.

      • KCI등재후보

        국립박물관의 야외전시 특성에 관한 연구

        윤선영 ( Yoon Sunyoung ),이현숙 ( Lee Hyunsuk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21 전시디자인연구 Vol.18 No.1

        박물관 전시는 박물관 활동 중 관람객과 소통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야외전시를 찾는 관람객은 실내전시에 비해 비중이 높다. 하지만 박물관의 야외전시는 관리적인 측면에서 접근하고 전시기획이나 디자인 등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박물관 야외전시가 가지는 특성을 이해하고, 국립박물관들의 야외전시 사례를 분석하여 국내 야외전시의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접근성, 안전성, 편의성, 전시연계성의 항목으로 국립박물관 야외전시들을 조사한 결과, 접근성과 안전성에 있어서는 대부분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평가되었으며 편의성은 모두 잘 갖추고 있었다. 다만 전시명칭, 전시 콘셉트, 스토리, 조명, 그래픽, 교육 프로그램 등 세부항목으로 전시연계성을 볼 때 좋은 상태로 평가되지 않았다. 박물관 야외전시는 야외환경이라는 특수성과 한계를 지니지만 또다른 맥락적 가능성을 가지고 있고, 관람객들이 접근하기 쉬운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박물관 야외전시는 지금보다 적극적인 기획과 디자인이 개입되어야 할 것이다. Museum exhibitions are the most effective way to communicate with visitors among museum activities. After the Corona19 pandemic, visitors who visit outdoor exhibitions have a higher proportion than indoor exhibitions. However, the museum's outdoor exhibition is approached from a management perspective and lacks in exhibition planning or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outdoor exhibitions in museums and to analyze the cases of outdoor exhibitions of National museum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outdoor exhibitions in Korea. As a result of surveying the outdoor exhibitions of the National Museum in terms of accessibility, safety, convenience, and exhibition linkage, all of the conveniences were well equipped. In terms of accessibility and safety, most were evaluated above average. However, it was not evaluated as good when looking at the exhibition connection with detailed items such as the exhibition title, exhibition concept, story, lighting, graphics, and educational program. Outdoor exhibitions in museums have the specificity and limitations of the outdoor environment, but have another contextual possibility and have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access by visitors. Therefore, more active planning and design should be involved in outdoor exhibitions in museums.

      • KCI등재후보

        어린이미술관의 전시해설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를 중심으로 -

        윤선영 ( Yoon Sunyoung ),정윤정 ( Jeong Yoon Jeong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19 전시디자인연구 Vol.16 No.2

        최근 미술관들은 관람객 중심의 다양한 전시해설 프로그램으로 적극적으로 관람객을 유치하고 있다. 전시해설의 유형에는 도슨트부터 모바일 앱에 이르기까지 종류와 특성이 다양하며,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특히 어린이미술관에서는 어린이의 특성을 이해하여 해설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한다. 어린이 관람객에게 있어서 상호소통 및 체험적 요소가 중요함에 따라 전시해설은 직접 사람과 소통하는 도슨트 방식이 효과적이다. 또한 모바일 앱의 활용도 가능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현대어린이책미술관에서의 시범운영을 시행한 결과, 어린이관람객은 도슨트에 적극적이었으며, 도구를 활용한 해설에 흥미를 보였다. 이에 따라 어린이관람객에게 적합한 도슨트 전시해설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Recently, art museums actively attract visitors with various exhibition interpretation programs centered on visitors. There are many kinds and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interpretation ranging from docent to mobile apps, and they are developing rapidly. Children's art museums need to develop interpretation programs by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s mutual communication and experiential factors are important for children visitors, the docent's method of direct communication with people is effective. Also, mobile app's potential is growing. As a result of the pilot operation at MOKA (Hyundai Museum of Kids’ Books and Art), children visitors were active in docents and interested in interpretation using tools. As a result, a suitable method of docent's interpretation program for children visitors is requir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베를린의 어린이보육시설 평가에 대한 사례 연구

        윤선영(Yoon, Sunyoung) 한독교육학회 2013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18 No.3

        본 논문에서는 베를린의 어린이보육시설의 질적 관리를 위한 평가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에 대한 질문을 가지고 보육시설을 방문하여 교사와 원장의 인터뷰를 통해 살펴보고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이 무엇인지 제시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내부평가의 수행방법, 외부평가의 수행방법, 내부평가가 현장의 교육운영 및 발전에 도움이 되는 점과 문제점 및 개선점, 외부평가가 현장의 교육운영 및 발전에 도움이 되는 점과 문제점 및 개선점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는 어린이보육시설 평가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내부평가의 역할, 획일적이지 않은 자유로운 평가 방법, 다양한 평가기관제도에 의한 외 부평가를 들 수 있으며, 자기발전과 원의 발전을 촉진하는 내부평가에 대한 긍정적인 측면과 교사들의 업무 부담과 외부인의 평가에 대한 부담감에 대한 부정적인 측면이 나타났다. 대표적인 시사점으로는 교사가 평가의 핵심적 역할을 하며 반성적 사고와 자기교육의 기회로 삼는다는 것이다. Diese Arbeit zielt auf das Herausarbeiten, was wir davon lernen können, wie die Arbeit der Kindertagesstätte in Berlin evaluiert wird. Hierfur besuchte die Untersucherin acht Kindertagesstätte und interviewte die Erzieherinnen und LeiterInnen. Die Untersuchung besteht aus die Verfahren der Interne und externe Evaluation, und deren positiven bzw. negativen Auswirkung auf die Bildungsarbeit bzw. -entwicklung. Die Ergebnisse zeigen, daß die interne Evaluation als eine Selbstevaluation eine wichtige Grundlage der externe Evaluation war, und die Verfahren der Evaluation bzw. des Evaluationsanbieters je nach den Erziehungsphilosophien und Situationen der Einrichtungen vielfaltig sind. Bei der internen Evaluation erfuhren die Erzieherinnen als Betroffener einen lernenden Prozeß, indem sie reflektierten, was und wie sie mit den Kindern arbeiteten. Die fachliche Unterstützung durch die Trager und Evaluationsanbieter vor Ort stpielte für die Verbesserung der Erziehungssarbeit eine große Rolle, da sie den Kindertagesstatten den jeweiligen Situationen und Umständen entsprechend geholfen haben. Eine negative Auswirkung ist die Belastung der Evaluation auf die Arbeit der Erzieherinnen. Wir konnen lernen, daß die Evaluation viel mehr zur Selbstbildung der Erzieherinnen dient, wenn die Arbeitsbedingungen angemessen si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