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국산규조토여과조제가 Cake Filtration 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윤석호,나종복,조원선 한국화학공학회 1989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27 No.4

        국산규조토여과조제를 사용하여 cake filtration에서 filter cake의 공극률과 국소여과비저항이 filter cake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변화하는 특성을 filter cell에서 실험적으로 고찰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시료는 탄산칼슘, Talc(I) 및 Talc(II) 슬러리와 규조토여과조제였으며 여과조제는 body feeding및 precoating하여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filter cake의 공극률은 감소하였고 국소여과비저항은 증가하였다. 여과조제를 첨가하면 filter cake의 공극률이 증가되어 국소여과비저항을 줄일 수 있다. Variations of porosity and specific local filtration resistance in cake filtration were studied in a filter cell. Samples used were slurries of CaCO₃, Talc(I) and Talc(II) and diatomite filter aids, which were used by body feeding and precoating. From the experimental result, the porosity of filter cake decreased and the specific local filtration resistance increased with increasing pressure. The addition of filteraids increased the porosity of filter cake and it resulted in decreasing the specific local filtration resistance.

      • KCI등재

        ‘개천맥(開阡陌)'에 대한 해석사를 통해 본 『반계수록(磻溪隨錄)』 「전제고설 (田制攷說)」의 경사(經史) 독법

        윤석호 한국사상사학회 2022 韓國思想史學 Vol.- No.72

        본고는 사적 소유의 현실에서 토지제도의 고법이 독해되는 다양한 양상을 ‘개천맥(開阡陌)’에 대한 선유의 해석사와 반계 유형원의 경・사 독법을 통해 분석했다. 이로써 확인된 몇 가지의 의미 있는 지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개천맥’ 해석사에서의 주요한 논점은 ① 천맥과 정전의 제도적 관계, ② ‘개천맥’으로 인한 영향과 그에 대한 평가, ③ ‘개천맥’ 이전으로의 회복 가능성과 그 방안이었다. ①과 관련해서는 양자를 별개의 구획으로 보기도, 천맥을 정전제 하에서의 구획으로 보기도 했다. 그리고 전자의 경우 ‘개(開)’를 ‘찢어서 열다’로, 후자의 경우 이를 ‘새롭게 만들다’로 해석했다. ②와 관련해서는 ‘개천맥’의 현실적 효용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기도, 그러한 면모에도 불구하고 사적 소유를 용인하여 유학의 이상적 토지제도로부터의 단절을 초래했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한편 주희는 <개천맥변>에서 두 측면을 각각 조명하는 평가를 내리기도 했다. ③과 관련해서는 고법의 이념과 원리[분전과 제록], 제도 가운데 보편성을 어디에 두는가에 따라 경세의 목적과 방법에 차이가 있었다. 특히 이와 같은 선택적 분기가 신유학의 여러 유자들에게서 확인되는 바, 이로써 성리학 내부에는 경세론의 다양한 흐름들이 저류하게 되었다. 조선의 경세학에서는 16세기에 접어들어 고법의 보편성을 논점으로 한 논의의 지형이 그려지고 있었는데, 본고가 확인한 인물은 황준량과 이이이다. 양자는 고법의 보편성을 각각 그 원리와 이념으로 달리 이해했다. 성리학의 저변에서 본다면 황준량은 정호와 장재의, 이이는 주희의 경세론과 친연하다고 하겠다. 유형원은 이러한 경세론의 지형을 토대로 하면서도 고법의 원리에 강한 보편성을 부여하는 견해를 제출했다. 특히 반계수록 「전제고설」에서는 그 근거를 경・사의 재해석과 이에 대한 학술사의 정리를 통해 제시했다. 하나는 농지의 균등분배가 삼대의 농지 전역에서 이루어졌다는 것이고[경학], 다른 하나는 사적 소유로의 변화로 인해 나타난 폐단을 고발하는 것이다[사학]. 더구나 후자에 있어 그의 서술 전략을 보면, ‘개천맥’에 대해 부정적인 평가를 내렸던 선유의 견해를 인용했고, 주희의 <개천맥변> 가운데서도 ‘개천맥’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를 발췌하여 재맥락화했다. 요컨대 그가 고법의 원리에 보편성을 부여했고, 또한 ‘개천맥’을 이상으로부터의 단절로 평가했던 바, 이러한 그의 입론에 공명하는 견해들을 선택하여 경사(經史) 해석사상의 근거로 삼은 것이다. 또한 이로써 본다면 조선의 경세학사 나아가 사상사 연구에 있어서는 성리학 내부의 다채로운 지적 흐름에 대한 분석, 그리고 주자설과의 면밀한 질적 비교 등이 향후 더욱 요청된다고 하겠다. This paper analyzed various interpretations of Confucian scholars about Gaecheonmaek(開阡陌) and compared them with the interpretation of Bangyesurok(磻溪隨錄) 「Jeonjegoseol(田制攷說)」 about Gaecheonmaek. The main contents confirmed by this are as follows. There were three main issues in the interpretation of Gaecheonmaek, the first was the institutional relationship between Cheonmaek(阡陌) and Jeongjeon(井田), the second was the impact and evaluation of Gaecheonmaek, and the third was the possibility of recovery before Gaecheonmaek. Regarding the first, '開' was interpreted as 'tear open' by considering Cheonmaek and Jeongjoen as different systems, or '開' was interpreted as 'newly establish' by considering Cheonmaek as a farmland compartment under Jeongjeon. Regarding the second, The practical utility of the "Gaecheonmaek" was positively evaluated, or despite such aspects, it was also evaluated as a disconnection from the ideal land system of Confucianism. Meanwhile, Zhu Hee(朱熹) also made an evaluation in <An Critical Essay on Gaecheonmaek(開阡陌辨)> that sheds light on the two sides, respectively. Regarding the third, the purpose and method of Statecraft were different depending on where the universality of the Old Law(古法) was placed among ideology, principle, and system. In particular, this selective branch is confirmed in various Confucian scholars, which shows that various flows of Statecraft theory were formed inside Neo-Confucianism. In the 16th century, Joseon's Statecraft theories was creating discussions on the universality of Old Law. The figures confirmed by this paper were Hwang Jun-ryang(黃俊良) and Lee Yi(李珥). Each assigned the universality of Old Law differently to principle and ideology. In relation to the base of Neo-Confucianism, it can be said that Hwang Jun-ryang is similar to Jeong Ho(程顥) and Jang Jae(張載)’s theory of Statecraft, and Lee Yi is similar to Zhu Hee's. Based on these theories, Yu Hyung-won(柳馨遠) submitted an opinion that gave a strong universality to the principle of Old Law. In particular, he presented the basis in Bangyesurok(磻溪隨錄) 「Jeonjegoseol(田制攷說)」 by reinterpreting Confucian scriptures and Historical Books. Moreover, he cited opinions that gave negative evaluations on Gaecheonmaek and extracted negative evaluations on Gaecheonmaek among Zhu Hee's <An Critical Essay on Gaecheonmaek>. In short, he selected opinions that conform to his theory of Statecraft and used them as the basis for interpreting Gaecheonmaek(開阡陌). In this regard, it can be said that analysis of various intellectual flows within Neo-Confucianism and close qualitative comparisons with the theory of Zhu Hee are further requested in the study of Joseon's History about Statecraft and thought.

      • KCI등재

        신발굴 자료 『고금비언古今鄙諺』의 분석(1) ─ 「고금비언古今鄙諺」을 중심으로

        윤석호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21 다산학 Vol.- No.38

        Gogeum bieon(『古今鄙諺』) newly collected in Tasan Museum is a book authored by Tasan Jeong Yak-yong, which consists of three separate chapters, “Gogeum bieon”(「古今鄙諺」), “Baekeonsi”(「百諺詩」), “Aheon jiha”(「雅言指瑕」).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trast and analyze “Gogeum bieon”, one of three chapers of Gogeum bieon with Chinese proverbs loaded in Idam sokchan(『耳談續纂』). Tasan was aware that there were many proverbs not collected from Confucian scriptures and ancient hitory books in Idamryujeung(『耳 談類增』) written by Wang, Dong-gwe. Accordingly, Tasan collected proverbs under the principle that the sentences in Confucian scriptures and ancient hitory books should be contained as they are. “Gogeum bieon” is a version produced around this time. Lee Hakrae and Hwang Ji-cho participated in the correction together, so it is presumed that the book produced before Tasan moved to Chodang. “Gogeum bieon” contains 110 proverbs which were categorized by book name, arranged in the order of chapters. Also proverb’s source was written in note. After writing “Gogeum bieon”, Tasan excluded 8 proverbs that are difficult to extend their meaning to everyday levels. In addition, referring to several books including Idamryujeung , he collected ‘Chinese folk saying’ that he had not collected before. Then he sent the result to Sin-Jak, and asked for the supplement of the missing proverb. At this time, he received ‘about 10 proverbs’ from Sin-Jak, whose scope is 16 proverbs loaded in Idam sokchan, which are not included in “Gogeum bieon” and Idamryujeung. The other two chapters Gogeum bieon will be analyzed in subsequent paper. 다산박물관에 소장된 『고금비언』은 「고금비언」, 「백언시」, 「아언지하」 를 수록한 다산의 저작이다. 본고는 3편 중에서 「고금비언」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그리고 이를 『이담속찬』〔중국속담〕과 대조 및 분석하여, 「고금비언」에서 『이담속찬』〔중국속담〕으로의 저술 과정을 밝히는 것에목적을 두었다. 다산은 『이담유증』(왕동궤)에 누락된 ‘경사속담’이 많다는 것을 간파하고 있었다. 이에 직접 경사를 열람하면서 원전의 자구 그대로를 수록한다는 원칙 하에서 속담을 채록했다. 「고금비언」은 이즈음에 생산된 판본이다. 이학래와 황지초가 함께 교정에 참여했으므로, 그 시기는 다산이 초당으로 이거하기 이전의 강진유배기로 추정된다. 여기에는 110수의 ‘경사속담’이 실렸다. 속담은 서명별로 분류되었고, 저작의 목차 순으로 배열되었으며, 세주에는 대체로 출처가 부기되었다. 「고금비언」을 저술한 이후, 다산은 기왕의 110수 중에서 일상적인 층위로 그 의미를 확장하기 어려운 속담 8수를 제외했다. 또한 왕동궤의『이담유증』 및 여타 저술을 참고하여, 그간 수집하지 않았던 ‘중국 민간속담’을 채록했다. 아울러 이상의 결과물을 신작에게 보내어 누락된 속담의 증보를 요청했다. 다산은 이후 신작에게서 ‘10여수’를 받았다고 밝혔는데, 그 범위는 「고금비언」이과 『이담유증』에는 없으나 『이담속찬』 〔중국속담〕에는 실린 16수로 한정될 수 있다. 지면 관계상 본고에서는 『고금비언』 전체의 성격, 그리고 『이담속찬』 및 『아언각비』가 저술되기까지의 경로를 다루지 못했다. 이에 대해서는『고금비언』에 실린 나머지 두 편〔「백언시」와 「아언지하」〕에 대한 후속의분석을 통해 해명할 예정이다.

      • KCI등재

        Spectral Analysis of Polysomnography in Narcolepsy

        윤석호,최호동,서완석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17 PSYCHIATRY INVESTIGATION Vol.14 No.2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people with narcolepsy and the normal control of delta and theta activity using electroencephalogram (EEG) spectrum analysis of nocturnal polysomnography (PSG). Methods: Seven narcolepsy patients and seven age-sex matched normal controls underwent PSG and multiple sleep latency tests. Participants’ non-rapid eye movement (NREM) sleep EEGs in PSG was analyzed using a Fast Fourier Transform technique. Results: While NREM delta activity of people with narcolepsy declined during the first three periods of NREM, there was no change during the 4th period of NREM. The increase in NREM theta activity also lasted until the 3rd period of NREM but did not occur during the 4th period of NREM. In comparing sleep parameters, REM sleep latency in the narcolepsy group was significantly shorter than in control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ople with narcolepsy are likely to have a delta and theta activity-related sleep disturbance mechanism in NREM sleep.

      • KCI등재

        신발굴 자료 『고금비언古今鄙諺』의 분석 (2) ― 「백언시百諺詩」와 「아언지하雅言指瑕」를 중심으로

        윤석호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21 다산학 Vol.- No.39

        This paper is a follow-up analysis of Gogeum bieon (『古今鄙諺』), comparing “Baekeonsi”(「百諺詩」) and “Aheon jiha”(「雅言指瑕」), which were not previously covered, with other versions. In the case of “Baekeonsi”(「百諺詩」), Tasan Jeong Yak-yong in Jangki revised “Baekeonsi”(「百諺詩」) written by Seongho Lee Ik. “Baekeonsi”(「百諺詩」)(the collection of Jangseogak) is presumed to be the result of this process. Tasan added and revised Joseon proverbs even after being moved to Gangjin, and received dozens of proverbs recorded by Sonam Jeong Yak-jeon from Heuksando Island. The rest of the versions of “Baekeonsi”(「百諺詩」) did not contain the proverb that Sonam gave to Tasan, so the year of production was before 1816. In particular, “Baekeonsi”(「百諺詩」)(contained in Gogeum bieon(『古 今鄙諺』)) appears to be a version produced before Tasan moved to Chodang. Next is “Aheon jiha”(「雅言指瑕」). It is clear that “Aheon jiha”(「雅言指瑕」)(the collection of Kyujanggak) is a manuscript of “Aheon jiha”(「雅言指瑕」)(the collection of Jangseogak), and “Aheon jiha”(「雅 言指瑕」)(contained in Addendum to the Complete Writings of Yeoyudang) is a photoprint of “Aheon jiha”(「雅言指瑕」)(the collection of Kyujanggak). Meanwhile, “Aheon jiha”(「雅言指瑕」)(contained in Gogeum bieon (『古今鄙諺』)) and “Aheon jiha”(「雅言指瑕」)(the collection of Jangseogak) appear to have been created before Tasan moved to Chodang(spring of 1808). In particular, “Aheon jiha”(「雅 言指瑕」)(contained in Gogeum bieon(『古今鄙諺』)) is less complete than “Aheon jiha”(「雅言指瑕」)(the collection of Jangseogak), and the transcribed situation is confirmed without sufficiently digesting the content and context of the text, which is the basis for estimating that “Aheon jiha”(「雅言指瑕」)(contained in Gogeum bieon(『古今鄙諺』)) was created before “Aheon jiha”(「雅言指瑕」)(the collection of Jangseogak). To sum up, Gogeum bieon(『古今鄙諺』) is a transitional work that shows that Tasan’s academic interest in language has accumulated during exile, and that it has been supplemented with three short stories, “Gogeum bieon”(「古今鄙諺」), “Baekeonsi”(「百諺詩」) and “Aheon Jiha”(「雅言指瑕」), and has been reorganized and expanded into two books, Idam sokchan(『耳談續纂』) and Aheon kakbi (『雅言覺非』) even after exile. 본고는 신발굴 자료인 『고금비언』에 대한 후속 분석으로, 전편에서다루지 못했던 「백언시」와 「아언지하」를 그 이본들과 비교했다. 먼저「백언시」의 경우, 다산은 장기 유배시절 이익의 『백언해』를 대상으로 4 언 2구〔8언〕와 협운에 유의하여 수정했는데, 장서각본 「백언시」(이하 백언시A)는 이 단계의 결과물로 추정된다. 강진으로 이배된 이후로도 다산은 조선속담을 증보 및 수정했고, 손암이 흑산도에서 채록한 수십 수의 속담〔巽庵所輯〕을 받았다. 『운곡잡저』 「백언시」(이하 백언시B), 『고금비언』 「백언시」(이하 백언시C), 『청관총서』 「백언시」(이하 백언시C)에는모두 ‘손암소집’이 빠져 있으므로, 필사 혹은 저본의 생산된 시점은 늦어도 손암이 서세한 1816년 6월 6일 이전이다. 그중에서 백언시C는 ⒜ 다산 수고본의 형태가 나타난다는 점, ⒝저자가 ‘籜翁’으로 되어 있다는 점 등으로 볼 때, 초당 이거 전에 생산된 판본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아언지하」이다. 장서각본 「아언지하」(이하 아언지하B)를 등사한 것이 규장각본 「아언지하」(이하 아언지하C)이며, 아언지하C의 영인본이 보유본 「아언지하」(이하 아언지하D)임은 분명하다. 한편 『고금비언』 「아언지하」(이하 아언지하A)와 아언지하B의 저자는 모두 ‘籜翁’로표기되었으므로, 양자는 초당으로 이거하기〔1808년 봄〕 이전에 생성된것으로 보인다. 특히 아언지하A는 아언지하B보다 완성도가 낮으며, 본문의 내용과 맥락을 충분히 소화하지 못한 상태에서 필사된 정황이확인되는데, 이들은 아언지하A가 아언지하B보다 먼저 생성된 판본임을 추정케 하는 근거들이다. 다산은 「아언지하」를 저술한 뒤로도 일상의 언어 오용에 대한 광범위한 조사를 진행했는데, 여기에는 기서술된항목에 대한 조사도 포함되었다. 이를 보여주는 것이 「아언지하」의 47 개 조목 중에서 『아언각비』로 전승된 39개이다. 유배기에서부터 다산은 ‘중국속담’, ‘조선속담’, ‘우리말의 오류’를 각각 수집하고, 이들을 「고금비언」, 「백언시」, 「아언지하」라는 독립된 저술로 정리하고 있었다. 한동안 이와 같은 구도를 유지한 채 각각을 보완해오던 다산은, 해배 이후 이들을 속담집과 어휘집으로 재편할 기획을 하게 되었다. 이에 「고금비언」와 「백언시」를 통합하고 수정 및 증보하여 『이담속찬』을, 「아언지하」를 대거 증보 및 재편하고 『혼돈록』과합하여 『아언각비』를 저술했다. 이로써 볼 때 『고금비언』은 언어생활에 대한 다산의 학적 관심이 유배기 동안 축적되어왔음을, 그리고 그것이 「고금비언」, 「백언시」, 「아언지하」이라는 3개의 단편으로 보완되다가 해배 이후 『이담속찬』과 『아언각비』이라는 두 저서로 재편 및 확대되었음을 보여주는 과도기적 저작이다.

      • KCI등재후보

        스팬 300m 단층래티스 돔의 라이즈-스팬비에 따른 좌굴 특성

        윤석호,이동우,정환목 한국복합신소재구조학회 2017 복합신소재구조학회논문집 Vol.8 No.4

        As the national income grows,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buildings that require long span structures such as exhibition facilities, sports facilities, special industrial facilities, and aerospace facilities. Single-layer latticed dome is one of representative llong span structures. But single layer latticed domes are apt to occur the unstable phenomena that are called “buckling” because of the lack of strength of members and instability of structures, etc. In the previous study, the structural stability of a single-layer lattice dome was roughly grasped by a frame structural system using a ready-made steel when a self-weight and a snow load were applied to a single-layer latticed dome having a span of 300 m and a height of 75 m. However, a systematic study of a 300m single layer lattice dome with various rise-span ratios was not perform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various conditions of this structure because the researchers do not have much research data to apply to actual desig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buckling characteristics of span 300M single-layer latticed dome with rise-span ratio

      • KCI등재

        홍이섭洪以燮의 다산학茶山學 연구 ― 다산 경세학經世學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윤석호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20 다산학 Vol.- No.36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and achievements of Hong Yi-seop’s study about Tasan’s Theory of Statecraft and to criticize it based on Tasan’s writings. Hong Yi-seop authored A Study on Jeong Yak-yong’s political and economic thoughts, the first study about Tasan’s Theory of Statecraft submitted by the post-liberation South Korea. In addition to this pioneering significance, this book have significant achievements in the study of Tasan’s theory of statecraft. There are two main things. First, Hong Yi-seop noticed that Tasan’s Theory of Statecraft closely related to his study of Confucius classics, and sought points of contact between the two. Second, he demonstrated the content, structure, and trend of Tasan’s Theory of Statecraft. He regarded that Gyeongse yupyo and Mongmin simseo contained respectively the reform of the national system and the management plan in the local village, and that the theories and reformation plans contained in the two books were complementary and homogeneous. Despite these achievements, Hong Yi-seop’s research has two limitations based on the writings of Tasan. First, he gave the connotation of backwardness in pre-modern East Asia to ‘Confucianism’ and ‘Fengjian’, and placed ‘Western Modernity’ at the opposite point. As a result, he did not detect Tasan’s changed wiew points about the Confucian classics and Old Law. Second, he failed to elaborate on the contents, structure and trends of Tasan’s works on Statecraft. Therefore, it was not possible to explain the inconsistency within the individual writing, and the changes of reading about Old Law and the corresponding changes in the reformation plans. However, Hong Yi-seop presented a comprehensive view and methodology on the study of Tasan’s Theory of Statecraft even in the barren research environment, which is a pioneering achievement that is further requested now. 본 글은 홍이섭의 다산 경세학 연구의 특징과 성과를 밝히고, 이를 다산의 저술에 근거하여 비평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홍이섭은 『정약용의 정치ㆍ경제사상 연구』를 발표했는데, 이는 해방 이후의 남한학계에서 제출된 최초의 다산 경세학 연구였다. 이 같은 선구적 의의 외에도 홍이섭의 저술은 다산 경세학에 대한 연구에 있어 유의미한 성과를 담고 있다.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 첫째로 홍이섭은 다산의 경세학이 그의 경학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음을 간파하고, 양자의 접점을 모색했다. 둘째로 다산 경세학의 내용과 구조, 그리고 추이를 논증했다. 이에 그는 『경세유표』와 『목민심서』가 각각 제도의 개혁과 향촌에서의 관리방안을 담았으며, 그래서 양자에 담긴 경세론과 경세안이 상호보완적이고 균질적이라고 간주했다. 또한 「전론」에서의 여전론을 다산의 최종적이자 이상적인 경세안으로 간주했다. 이 같은 성과에도 불구하고, 홍이섭의 연구에는 다산의 저작을 근거로 볼 때 두 가지의 한계가 있다. 첫째로, ‘유교(유교주의)’와 ‘봉건’에 전근대 동아시아의 후진성이라는 함의를 부여하고, 그 대척점에 ‘서학’과 ‘서구적 근대’를 위치시켰다. 이로 인해 경서와 고법에 대한 다산의 변화된 독법과 지향을 감지하지 못했다. 둘째로, 그는 다산의 경세 저작의 내용과 구조, 추이를 세밀하게 고증하지 못했다. 이로 인해 개별 경세서 내에서의 비균질성, 고법 독법의 변화와 이에 상응한 경세안의 변화 추이 등을 정합적으로 해명하지 못했다. 하지만 홍이섭은 척박한 연구 환경에서도 통섭적 시야와 방법론을 제시했는데, 이는 지금의 다산학 연구에서 더욱 요청되는 선구적인 업적이다.

      • KCI등재

        『尙書知遠錄』[補遺本] 頭註의 내용 분석

        윤석호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9 한국문화 Vol.0 No.85

        In this paper, I closely analyzed the contents of twenty-three headnotes described on handwritten Sangseo jiwonrog(尙書知遠錄) boyu version comparing with Jeong Yak-yong’s other books.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mong twenty-three headnotes, Dasan wrote ten, which corrected formats or supplemented arguments of manuscript. Second, especially, fourth headnote which differentiated ‘Jeon(田)’ with ‘Se(稅)’ strengthened the argument of manuscript that the tax system of Three Dynasties operated in a dual way. Third, sometime after writing ten headnotes, Dasan copied boyu version to make Berkeley version. Fourth, the date of Berkeley version’s writing was no later than March 1821, when Mokmin simseo(牧民心書) was completed. More detailed date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research of writing process of Gyeongse yupyo(經世遺表). Fifth, the opinions described on the other thirteen headnotes were different from Dasan’s opinions. Sixth, based on the similarity in handwriting, it is supposed that thirteen headnotes were written by Dasan’s grandson-in-law Yun Jeong-gi(尹廷琦), and that the date was around 1868.

      • KCI등재

        A New Approach to Local Signal Design for Enhanced TMBOC Signal Tracking

        윤석호,채근홍,김선용 대한전기학회 2020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 Technology Vol.15 No.4

        We present a new approach to the design of the signal generated locally to enhance the performance in tracking of the time-multiplexed binary ofset carrier (TMBOC) signal. Considering that the advantages of the TMBOC signal such as a high degree resistance to noise and multipath result from its BOC(6,1) segments, we propose to design the local signal with exploiting only BOC(6,1) segments, which is diferent from the conventional design approach using both BOC(6,1) and BOC(1,1) segments of the TMBOC signal. Separating and re-grouping the components composing the BOC(6,1) segments, we produce a local signal set and develop a special correlation procedure tailored to the local signal set. Numerical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posed approach achieves the TMBOC signal tracking with a higher degree of robustness to noise and multipath infuences over that of the conventional approach in various urban canyon environ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