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텔레비전드라마 <닥터 이방인>에 재현된 분단의 실상과 타자들의 비극

        윤석진 한국언어문화학회 2019 한국언어문화 Vol.0 No.70

        This study is about <Dr. Stranger>, which uses the genre grammar of medical dramas and recreates the state of the division of South and North Korea in a new way. <Dr. Stranger> recreates the tragedy of the divided nation by the political power of the two Koreas, who are bent on fulfilling their personal ambitions, and the reality of the defectors being used by them. <Dr. Stranger> has evoked the tragedy of the division, which is now progressive, through ethnic and sociocultural Others. The Others, who were forced to sacrifice politically and economically by those with vested interests abusing the entrenched state of the division, are able to resolve and bond with one another, thus setting off new life for themselves and Others. However, ‘the right to have rights’ that have been lost to ethnic and sociocultural Others is not fully realized as social changes in the political reality where the division of South and North Korea is on hold. Nevertheless, it is clear that the disenfranchised ‘Song Jae-hee’ is a problematic character in that she is the one triggering other eruptive points in history.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Dr. Stranger> was a television drama that focused on the desire for political power to exploit the division and the Others that had to be in a tragic situation. 본고에서는 의학드라마의 장르 문법을 전유하여 남북 분단 실상을 새로운 관점 으로 재현한 <닥터 이방인>을 연구하였다. <닥터 이방인>은 남북 분단 상황이 고 착되는 정치 현실에서 개인의 야욕을 채우는데 혈안이 된 남북의 정치 권력자들 과 그들에게 이용당하는 탈북자의 실상을 통해 분단의 비극을 재현하였다. 특히 민족적・사회문화적으로 타자화된 인물들을 통해 남북 분단 상황 고착에서 비롯한 문제적 현실을 환기시킨 점이 돋보였다. 남북 분단 상황을 정치적으로 악용하는 세력에 의해 정치적・경제적 희생을 강요받으면서 각자의 방식으로 대처했던 타자 들은 서로에 대한 오해를 풀고 연대함으로써 자신과 다른 타자들의 새로운 삶을 촉발시키는 존재로 자리매김한다. 하지만 남북 분단 상황이 고착되는 정치 현실에 서의 사회적 관계 변화가 요원하기 때문에 민족적・사회문화적 타자들이 상실한 ‘권리를 가질 권리’는 온전히 실현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말할 자격을 박탈당하여 말할 수 없는 타자로 대상화된 송재희가 역사 안에서 다른 돌발 지점 들이 만들어지도록 촉발시키는 존재라는 점에서 문제적 인물인 것은 분명하다. 결 론적으로 본고의 논의를 통해 <닥터 이방인>이 분단 상황을 악용하는 정치권력의 욕망과 이로 인해 비극적 상황에 처할 수밖에 없었던 타자들을 주목한 텔레비전 드라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1960 년대 한국 희곡에 나타난 멜로드라마적 경향 연구 : 박현숙의 작품을 중심으로

        윤석진 한국연극학회 1998 한국연극학 Vol.10 No.1

        It is taken granted that plays in 1960's had two main streams, 'Realism' and 'Avant-Garde'. This view means excluding the melodramatic tradition from the theatre history. But if we consider the condition of the spectatorship which is one of the basic elements consists of drama, the melodramatic tradition in Korean plays can not be ignored. A spectator takes a play from one's own point of view although falling in the world of the fiction, not that of the 'real'. That is, the spectator is not in the passive position which only absorbs what is held on the stage. Considering the spectator as an active and subjective being, we can find a new meaning in the melodramatic tradition. In this thesis, I have analysis the play on the basis of theatre semiotics. Especially I choose to of Hyun-Sook, Park's early plays, Searching for love and Woman. I adapted the model of behavioral element and analysis two plays for clearing how the melodramatic style is embodied in the plays. The results is as belows. Searchine for love comments on the cruelty of the ideology by constructing the triangle of the ideology, the real and the love. Woman focuses on the mental value through the triangle of the material, the real and the mental. As a results of the analysis by the model of behavioral element, by found the two plays have succeeded delivering the author's message, and the melodramatic plots of them made it possible. The ways of capturing and representing the theme are shown as the melodramatic style. Melodrama as the author's choice results in the spectator's identification with the characters in the play. So we would better reconsider the critic against Park which commented on the melodramatic heritage of her early plays. They criticized that the melodramatic tradition should be transformed in to the realist play. It is said that Korean people in 1960's were oppressed politically, economically and socially. So they easily could identify the characters of Park's play who were under the oppressive circumstance. Korean people in 1960's needed the consolation and the catharsis in fictional space which helped them endure there hard times in real space. And I believe the melodramatic tradition in the plays helped them a lot. In cultural map of 1960's the drama genre was pushed out from the central position. The influence of the play was relatively smaller than that of the film which was the new leading roll in the popular culture in 1960's Korea. But the melodramatic tradition in plays still had there own influence on the spectators. Actually, I guess the melodramatic tradition always adapted itself to the cultural change for the long time it survived the criticism that melodrama is only 'light popular' or 'schematic'. Now we need the serious reflection on the relation between the spectator and the play as well as the industrial aspect of the pla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Influences of Donor Dopants on the Properties of PZT-PMS-PZN Piezoelectric Ceramics Sintered at Low Temperatures

        윤석진,최지원,최주영,Dandan Wan,Qian Li,Ying Yang 한국물리학회 2010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57 No.41

        0.90Pb(Zr0.48Ti0.52)O3-0.05Pb(Mn1/3Sb2/3)O3-0.05Pb(Zn1/3Nb2/3)O3 quaternary piezoelectric ceramics with CuO added were synthesized by using a conventional method at low sintering temperatures. CuO additive, 1.0 wt%, significantly improves the sinterability of 0.90PZT-0.05PMS-0.05PZN ceramics, lowering the sintering temperature to 900 ℃ and showing moderate electrical properties: d33 = 306 pC/N, Qm = 997, kp = 53.6%, tanδ = 0.50%, and "εT 33 = 1351. To obtain more optimal piezoelectric properties, we selected Bi2O3 and Nb2O5 as donor dopants to introduce a softening effect. The crystal structure, micro-morphology and electrical properties were studied in terms of the Bi2O3 and the Nb2O5 contents. Our study demonstrates that Bi2O3 is very effective in improving the piezoelectric properties, causing a significant enhancement in d33 and kp values. Particularly, 0.75-wt%-Bi2O3-added 0.90PZT-0.05PMS-0.05PZN + 1.0 wt% CuO ceramics show excellent electrical properties: d33 = 363 pC/N, Qm = 851, kp = 59.3%, tanδ = 0.38%, and "εT 33 =1596. On the other hand, the effect of Nb2O5 on the piezoelectric properties is very complicated,0.50 wt% Nb2O5 doped 0.90PZT-0.05PMS-0.05PZN + 1.0 wt% CuO ceramics have a remarkable improvement in kp value and maintain good electrical properties: d33 = 300 pC/N, Qm = 971, kp = 58.4%, tanδ = 0.36%, and "εT 33 = 1332.

      • 사회서비스 지방분권화를 위한 법적 과제

        윤석진 한국사회보장학회 2019 한국사회보장학회 정기학술대회 Vol.2019 No.2

        우리나라의 사회서비스 정책은 본래 중앙정부 중심으로 추진되어 오다가 1995년 지방자치제도가 본격 실시되면서 많은 사회서비스 사무를 지방자치단체로 이관하였다. 특히 2003년 「사회복지사업법」 개정은 지방자치단체에게 지역사회복지계획을 수립·시행하도록 하여 사회서비스 지방분권화를 알리는 신호탄이 되었다. 2004년 이후 국내에서는 지방정부의 권한 강화와 자율성 신장을 목표로 지방분권화 정책이 본격 시행되었다. 2005년부터는 사회서비스 분야에 대한 지방분권화가 시작되었는데, 전체 사회복지사업 중 일부를 지방자치단체로 이양하였다. 이에 따라 각 중앙부처가 관리해 오던 국고보조사업을 대폭 정비하는 한편, 지방자치단체에 필요한 재원을 보전해 주기 위해 “분권교부세 제도”를 도입하였다. 이 시기 보건복지부 소관사무 중 67개 사무가 지방으로 이양되었다. 이는 보건복지부가 관할하던 전체 국고보조사업의 약 48%에 해당하는 것이었고, 특히 사회서비스 부문은 이양사무 중 약 67%가 지방으로 이양된 것이다. 이 시기 중앙정부 권한의 지방이양을 위해서 근거법이 국내에 마련되었다. 우선 2004년 「지방분권특별법」이 제정되었다. 이 법에서는 지방분권의 기본이념, 사무배분의 원칙, 국가사무의 포괄적ㆍ일괄적 이양, 지방재정의 확충 및 건전성 강화, 자치행정 역량 및 책임성 강화를 주된 내용으로 선언적 규정을 두고 있었다. 한편 이 법은 2008년 「지방분권촉진에 관한 특별법」으로 전부 개정되었다. 개정법에서는 지방분권의 추진에 고나한 구체적 실천과제와 추진시한을 명시하고 이를 강제하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였다. 또한 국가사무와 지방사무의 명확한 구분, 자주재원 확충의 보장, 지방의회 자치입법권의 확대 등에 관한 비교적 구체적인사항을 정하고 있었다. 2013년 「지방분권 및 지방행정체제개편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면서, 「지방분권촉진에 관한 법률」은 제정법에 흡수통합되었다. 「지방분권 및 지방행정체제개편에 관한 특별법」은 지속적인 지방분권과제의 추진을 위한 행정체제정비를 통한 지방분권 총괄조정기구 마련하기 위해 종전 「지방분권촉진에 관한 법률」과 「지방행정체제 개편에 관한 법률」을 통합하여 일원화를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다. 특히 이 법에서는 지방분권의 기본이념과 사무배분 원칙의 재정립, 권한이양과 사무구분체계의 정비 등이 구 「지방분권촉진에 관한 법률」과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입법성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이어져온 사회서비스 분야 지방분권화 정책은 여전히 중앙정부의 분권교부세 등 국조보조사업에 의존하는 경향이 크고, 과중한 지방비부담 문제 때문에 오히려 지방자치단체간 복지격차의 심화 및 불평등현상이 확대되었고, 지방자치단체 고유사업으로 추진하는 지역복지사업은 역설적이게도 중앙정부의 국고보조로부터 이탈 되는 등 당초 예정했던 지방분권화의 목표가 제대로 달성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분명 그 간의 입법성과는 적어도 사회서비스 분야에서는 지방분권과 관련하여 부족했다는 것을 방증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문제는 중앙정부 권한의 지방으로의 이양은 비체계적인 자치분권법리 또는 권한이양법리 때문이며, 지방분권화는 불완전한 권한이양과 함께 특히 사무 및 재정분야에 있어서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모호한 역할분담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현안과제의 공통원인은 복지사무에 있어 중앙과 지방자치단체 간의 기능배분을 규범적 원리에 따라 시행 했다기 보다 국가의 일방적인 정치적ㆍ정책적 판단에 따라 좌우되었다는 데에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사회서비스 지방분권화의 문제가 모두 현행법의 한계 때문에 발생하고 있는 것이라고 보며, 지방분권의 법적 개념의 적극적 규명, 지방자치단체 자치입법권 강화, 지방재정조정제도의 개선을 통해 실질적 사회서비스 분권화를 위해 바람직한 법적 대안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 KCI등재

        방송극작가 한운사의 ‘통일연습시리즈’ 고찰1 - ‘반전(反戰)드라마’를 중심으로 -

        윤석진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0 한국문학연구 Vol.0 No.39

        Un-sa Han, a TV playwright, was a harbinger of broadcasting literature focused on anti-war dramas portraying the tragedy of the Korean War without being preoccupied with anticommunism. Accordingly, he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studies on the earlier stage and the formative stage of broadcast plays in Korea. In order to figure out Un-sa Han's world of broadcast plays, it is necessary to study Unification Practice Series as named by the playwright. In this regard, the study has conducted analyses on the actual circumstances of the Korean War and the playwright's perspectives on ‘war’ with regard to such radio dramas as <Until I Die>, <Under the Sky>, and <The North and the South> included in the Unification Practice Series. As a result, it has been found that the Unification Practice Series by Un-sa Han consisted of anti-war dramas aimed at unification of the nation when anti-communist dramas prevailed. Of the three dramas, two dramas except for <Until I Die> had a tragic ending where a main character died, and it reflects the playwright's intention to symbolically portray the tragedy of the Korean War. The tragic ending has stemmed from the playwright's perception on such a dreadful situation that it is hard to expect a happy ending even in a fictional world of the Korean War. However, this is not the whole story. Un-sa Han thought that the unification of the nation that can restore the homogeneity of the two Koreas going beyond ideology is a way to cure a scar of the Korean War. The playwright's intention to induce the general public to have a critical reflection on the war by realistically recording the tragedy of the war has led to a tragic ending. It seems clear that Un-sa Han's Unification Practice Series that recorded high program listener ratings and that gained popularity when they were reproduced as films and TV dramas induced many to have a critical reflection on political situations where the division of the nation was fixated. However, the study has failed to figure out the significance of the Unification Practice Series in terms of the history of broadcast plays due to a lack of secondary materials that can back up the result of analyses on primary materials. It needs to be resolved through subsequent studies after analyses on the remaining works that this study has not covered among the Unification Practice Series that consists of 12 works. 방송극작가 한운사는 한국 방송극의 초창기와 형성기 연구에서 대단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극작가이다. 그는 ‘반공’ 이데올로기에 사로잡히지 않고 ‘반전(反戰)드라마’의 틀에서 6․25전쟁의 참상을 전파로 기록한 ‘방송문학’의 선구자였다. 따라서 한운사의 방송극 세계의 전모를 제대로 밝히기 위해서는 작가가 명명한 ‘통일연습시리즈’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통일연습시리즈’ 가운데 일차로 ‘반전(反戰)드라마’의 면모가 돋보인 <이 생명 다 하도록>, <어느 하늘 아래서>, <남과 북>을 대상으로 6․25전쟁의 실상과 ‘전쟁’에 대한 작가의 시선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운사의 ‘통일연습시리즈’ 가운데 ‘반전드라마’에 해당하는 작품들은 ‘반공드라마’가 주류를 형성하고 있었던 시절에 비록 ‘반공’ 이데올로기의 틀에서 완전히 자유롭지 못했으나, 전쟁의 참상을 고발함으로써 통일을 지향한 드라마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3편의 방송극 가운데 <이 생명 다 하도록>을 제외한 나머지 2편이 주인공의 죽음이라는 비극적 결말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는 6․25전쟁의 비극을 상징적으로 처리하고자 했던 작가의 의중이 반영된 것이다. 물론 이러한 비극적 결말은 6․25전쟁이 허구의 세계에서조차 해피엔딩을 기대할 수 없을 정도로 끔찍한 참상이라는 작가의 인식에서 비롯한 것이다. 하지만 이것이 전부는 아니다. 한운사는 사상과 이데올로기를 떠나 한 핏줄로서의 동질성을 회복하는 ‘통일’이 6․25전쟁의 상흔을 치유할 수 있는 방법이라 생각했다. 전쟁의 참상을 사실적으로 기록하여 전쟁에 대한 당대 대중의 비판적 성찰을 유도하기 위한 작가의 선택이 비극적 결말로 표현된 것이다. 방영 당시 높은 청취율을 기록하고, 영화와 텔레비전 드라마로 다시 제작될 정도로 당대 대중의 호응이 높았던 한운사의 ‘통일연습시리즈’ 가운데 ‘반전드라마’의 범주에 속하는 3편이 남북 분단이 고착되는 정치 현실에 대한 성찰을 유도한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본고에서는 1차 자료의 분석 결과를 뒷받침할 만한 2차 자료 제시가 충분하지 않아 ‘통일 연습 시리즈’의 방송극사적인 의미를 제대로 부여하지 못했다. 이 문제는 후속 연구를 통해 11편의 ‘통일연습시리즈’ 가운데 본고에서 다루지 못한 나머지 작품들을 분석한 뒤로 미루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