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ercentage of Phonemes Correct on EnglishNonword Repetition Tasks Performedby Korean-English BilingualChildren and Adults

        윤석연 한국언어치료학회 2010 言語治療硏究 Vol.19 No.2

        In the present study, phonological awareness in Korean-English bilingual (KEB) children and adults was measured via Nonword Repetition Task (NRT) developed by Dollaghan and Campbell (1998). Many studies have shown that phonological awareness measured by repetition of non-words is a reliable indicator for the presence of language impairment (LI; Gathercole & Baddeley, 1993; Bishop, North, & Donlan, 1996). NRT in Dollaghan and Campbell (1998; hereafter, DG98) was purported to minimize bias against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backgrounds. The present study examined whether KEBs without LI, who are culturally as well as linguistically diverse, perform NRT similarly well, compared to English monolinguals (EM) without LI, as reported in DG98 and in Weismer et al., (2000). The present study also asks if phonological awareness is affected by age of acquisition for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L2). The results showed that KEB children aged between 7 and 13 performed 86% correct, which is slightly higher than EM children in DG98 and Weismer et al., (2000). Group difference between KEB children and adults, however,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even though the adult group appeared to perform slightly better with 89% accuracy. Findings from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NRT in DG98 does not seem to be biased against children who speak more than one language and that age of L2 acquisition does not significantly influence phonological awareness on L2 English. Considering a seizable growth in bilingual populations around the world, the need for studies on bilingual population may increase and the role of speech language pathologists may be extended to help bilingual population learn his or her L2.

      • KCI등재

        The Influence of English on Articulatory Accuracy of Korean Nonwords

        윤석연 이중언어학회 2014 이중언어학 Vol.56 No.-

        이 연구는 제2언어인 영어가 먼저 습득한 제1언어인 한국어 자음 및 모음을 정조음하는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태어나 미국으로 이주하여 평균 4년 7개월을 거주한 8~13세 아동 9명, 만 11세 이후 미국으로 이주하여 평균 4년 8개월을 거주하고 미국 대학 또는 대학원에 재학 중인 21~33세 성인 8명, 영어권 지역에 거주한 경험이 없으며, 학교 교과과정 외에 영어학습을 하지 않은 8~13세 아동 18명이 참여하였다. 이 세 집단은 한국어의 음운규칙을 따르지만, 의미를 가지고 있지 않은 16개의 무의미단어를 듣고 따라 말하였다. 이들의 발화전사를 토대로 계산한 음운정확도, 자음정확도, 모음정확도는 통계적으로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사후검정에 의하면 이중언어아동의 조음정확도(M=90.2)가 이중언어성인(M=94.9)과 단일어아동(M=94.6)보다 발음 정확도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행성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 단일어 아동의 조음정확도와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성인의 조음정확도가 차이가 없음은 일반적으로 조음음운발달이 완성되는 시기이후에 습득한 영어는 한국어 음소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함을 시사한다. 반면에, 만9세 이전 영어에 집중적으로 노출된 아동의 조음정확도는 한국어 단일어 아동의 조음정확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임으로써 아동기 때 영어에 집중적으로 노출될 경우 제1언어인 한국어를 조음하는데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원광디지털대학교)

      • 비단어 따라하기를 통해 본 제2언어가 제1언어에 미치는 조음영향

        윤석연,이경재,최성희,최철희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2013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학술대회 Vol.2013 No.10

        In the field of bilingualism and second language acquisition (SLA), literature has shown extensive research on how first language (L1) influences on second language (L2). The L1-L2 relationship, however, cannot be unidirectional.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L2) on Korean as a first language (L1) at phonetic level. Methodologically, the present study includes tasks that the effects of English or Korean proficiency matter the least (see Sharwood & van Buren, 1991 for their discussion of methodological implications) such as nonword repetition task. The performance of the speech production task was compared among the three groups: 8 Korean-English bilingual (KEB) children, 8 KEB adults, and 18 Korean monolingual (KM) childre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performance of Korean nonword repetition task among the three groups for the percentage of phonemes correct (PPC), the percentage of consonant correct (PCC), and PPC for 4-syllabic-length nonwords (or 4 PPC). According to the followed post-hoc test, PPC, PCC, and 4 PPC of KEB children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KM children. Nonetheless, the performance of KEB adult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either from KEB children nor from KM children. These results indicate the acquisition of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during the childhood ma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peech production of Korean speech sounds

      • 장애인복지관 종사자들의 직무만족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윤석연(Youn, Suik-Yeon) 한국복지행정학회 2014 복지행정논총 Vol.24 No.1

        본 연구는 장애인을 위한 서비스 전달 매개체인 장애인복지관 종사자들의 직무만족에 대한 연구를 통해 대전지역 장애인복지관 종사자들의 직무만족 결정요인을 알아보고, 장애인을 위한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 장애인복지관 종사자들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한 효율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대전광역시의 6개 장애인복지관 200명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SPSS for Window Version 18.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장애인복지관 종사자들의 조직과 업무에 대한 개인적 특성과 조직관리적 요인의 직무만족과의 상관성을 규명하기 위한 상관관계분석과 장애인복지관 종사자들의 조직과 업무에 대한 개인적 특성과 조직관리적 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작업환경이나 직원교육시간 할애 등 근무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전반적으로 타 항목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업무와 관련한 상하관계 및 조직에 대한 소속감과 책임감, 성취감 등도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전체적인 조직관리적 요인을 정리하면, 근무환경 요인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고, 승진, 업무 등의 순으로 만족도가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보수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In this study, through Services delivery medium about Workers’ of rehabilitation center for the disabled Study on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We were to propose efficient plan to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surveyed 200 workers in six rehabilitation center for the disabled. We used the statistical program of SPSS for Window Version 18.0, perform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identify correlation analysis relevant to individual characteristic in worker’s organization, task and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working environment and working conditions, including staff training time spent on overall satisfaction is higher than the other items showed,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relationships, and work for their organization, as well as belonging, responsibility and accomplishment is relatively high. The whole organization management factors can be summarized environmental factors, the highest for satisfaction, promotion, job satisfaction, such as the order showed relatively very low satisfaction for compensation to be investig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