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황종희(黃宗羲)의 고문론(古文論) -지정(至情)과 궁경(窮經)을 중심으로-

        윤상수 ( Sang Soo Youn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3 民族文化硏究 Vol.59 No.-

        이 글에서는 황종희의 古文에 관한 논의 가운데 至情과 窮經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그의 문학론에 대해 검토하였다. 황종희의 문학론은 자신의 고유한 至情을 망각한 채, 秦漢혹은 唐宋의 고문을 모방하는 데 여념이 없었던 明末淸初의 문학에 대한 강한 불만을 배경으로 하고 있었다. 이러한 불만에서 그는 시대에 따라 변하는 詞가 아니라 萬古에 불변하는 至情이 문학의 근본임을 강조하고, 문학을 하려면 무엇보다도 먼저 ‘讀書’, 그중에서도 특히 ‘窮經’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던 것이다. 황종희가 문학에서 궁경을 강조한 것은 “모든 학문은 반드시 六經을 근저로 삼아야 한다”는 주장과도 연결된다. 그가 이처럼 모든 학문의 기초로서 경학을 중시한 것은 文學뿐만이 아니라 理學등 명말청초의 학문 전반이 모방과 표절에서탈피하지 못하고 있는 근본적인 원인이 경학의 부재에 있다고 진단하였기 때문이 었다. 이러한 명말청초의 학문에 대한 반성에서 나오는 경학에 대한 강조는 이후淸代經學의 부흥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된다. In this writing, Huang Zongxi`s literary theory about classical prose is examined focusing on ``genuine emotion`` and ``study of classics``. The background of Huang`s literary theory is a strong dissatisfaction about the literature in the late Ming-early Qing. To Huang, the literature at that time seemed to lose its genuine emotion (至情) and be occupied with copying classics from Qin, Han, Tang and Song. Having this critical mind, Huang stressed that the unchangeable genuine emotion, not ‘sa’ (詞), is the root of literature, and insisted that ‘reading books’ (讀書) especially ‘study of classics’ (窮經) should be preceded to learn literature. His emphasis on the study of classics is relevant to his own opinion that learning should be based on six Chinese classics (六經). The reason why he laid stress on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經學) as a foundation of all learning is that he thought that the fundamental cause of imitation and plagiarism in academia in the late Ming-early Qing including literature and science is the absence of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Later, such emphasis on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originated with the self-reflection on academia in the late Ming-early Qing influenced the revival of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during the Qing period.

      • KCI등재

        황진(黃震)의 인심유위장(人心惟危章) 해석을 통해 본 남송(南宋) 말 학술의 일면

        윤상수(YOUN Sangsoo)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21 泰東古典硏究 Vol.47 No.-

        이 글에서는 황진(黃震)의 『서경』 「대우모」편의 ‘인심유위장’에 대한 해석을 살펴보고, 거기에서 나타나는 전심설(傳心說)과 심학(心學)에 대한 비판을 통해 남송(南宋) 말 학술계의 일면을 드러내 보고자 하였다. 남송 말의 주자학자 황진은 ‘인심유위장’의 본지는 요·순·우가 ‘마음을 전했다’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천하를 다스리는 방법을 전수했다’는 데 있다고 해석한다. 이는 ‘전심(傳心)’을 중심으로 이 장을 해석하는 것이 ‘선학자(禪學者)’의 입장을 강화시켜 주고 있다는 당시의 학술적 상황에 대한 인식을 배경으로 하여 나온 것이었다. 그런데 심학(心學)을 말하기를 좋아하다가 선(禪)에 빠진 ‘선학자’ 가운데 황진의 시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던 인물이 양간(楊簡)이었다. 불교 심학을 물리쳐 리학(理學)을 위기에서 구한 것을 주희의 위대한 공적으로 평가하는 황진은 주희를 계승하여 양간의 불교 심학을 비판 극복하려 하였다. 양간의 심학을 따르는 문급옹(文及翁)은 마음의 절대성과 심학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심학 비판에 대해 강하게 반발한다. 황진이 리학(理學)의 입장에서 양간을 불교 심학이라고 비판하고, 문급옹이 심학의 입장에서 양간의 입장을 옹호하는 것은 남송 말 유학에서 나타난 주륙(朱陸) 대립을 보여주는 하나의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d Huang Zhen(黃震)’s interpretation of the “renxin-weiwei (人心惟危)” chapter in the Book of Documents, and through the critique of Chuan Xin theory(傳心說) and Xin Xue(心學) that appeared there, attempted to reveal an aspect of the academic situation at the end of the Southern Song period. Huang Zhen who followed Zhu Xi, interpreted the original meaning of the “renxin-weiwei” chapter is not that Yao(堯), Shun(舜), Yu(禹) “delivered their hearts”, but that they teached “how to rule the world” each other. This was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e academic situation at the time that the interpretation of this chapter focusing on the ‘delivering hearts’ strengthened the position of the ‘scholar of Zen(禪)’. However, Yang Jian (楊簡) was the most influential person in the era of Hwang Zhen among the ‘scholars of Zen’ who liked to talk about Xin Xue(心學) and fell into Zen. Hwang Zhen, who evaluated Zhu Xi(朱熹)’s great achievement in defeating the Buddhist Xin Xue and saving Li Xue(理學) from the crisis, tried to overcome Yang Jian’s Buddhist Xin Xue by succeeding Zhu Xi. Wen ji weng(文及翁) who followed Yang Jian, strongly resisted criticism of Xin Xue, emphasizing the absoluteness of the mind and the importance of Xin Xue. Hwang Zhen’s criticism of Yang Jian as Buddhist Xin Xue from the standpoint of Li Xue and Wen ji weng’s defense of Yang Jian from the standpoint of Xin Xue can be said to be an example of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School of Zhu Xi(朱熹) and the school of Lu Jiuyuan(陸九淵) at the end of the Southern Song Dynasty.

      • KCI등재

        『서천견록』을 통해 본 권근의 서경관 : 근엄(謹嚴)과 흠(欽)을 중심으로

        윤상수(YOUN Sangsoo)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21 泰東古典硏究 Vol.46 No.-

        이 글에서는 『서경』의 ‘근엄(謹嚴)함’에 대한 믿음과 ‘흠(欽)’에 대한 강조를 중심으로 권근이 『서경』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권근은 산서설에 근거하여 공자가 산정한 이상 『서경』은 엄정한 필법과 일관된 구성 등을 지니고 있을 것이라고 전제하고, 그 ‘근엄한’ 필법과 구성 등에 담겨 있는 공자의 의도를 읽어 내려 하였다. 또한 『서경』에 담겨 있는 성인의 마음을 ‘흠’으로 파악하고, 이에 근거하여 흠을 『서경』의 전체라고 규정하였으며, 다시 한 걸음 더 나아가서 흠이 『서경』의 전체일 뿐만 아니라 오경의 전체라고 주장하였다. 『서경』의 필법과 구성을 ‘근엄하다’고 생각하고 『서경』에 담겨 있는 성인의 마음이 ‘흠’이라는 생각은 『서경』을 넘어서 오경 전체로 확장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다면 경전의 근엄함에 대한 믿음과 성인의 마음이 흠이라는 점에 대한 강조는 권근의 경학 전반에 나타나는 특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article, I looked into how Kwon Geun understood the Book of Documents, focusing on his belief in the ‘geun-eom(謹嚴, carefulness and preciseness)’ and emphasis on ‘heum(欽, reverence)’ of the book. It was thought that Confucius had compiled or edited Book of Documents. In this thought Kwon Geun supposed that Book of Documents would have a strict writing style and a consistent composition and tried to read the intention of Confucius contained in the careful and precise style and composition of the book. In addition, he identified the heart of the saints contained in the book as a reverence, and based on this, defined reverence as the whole substance of the book, and went one step further, insisting that reverence is not only the whole substance of it, but also the whole substance of the Five Classics. The idea that the style and of the Book of Documents is careful and precise, and the heart of the saints contained in the book is reverence has expanded beyond it to the entire Five Classics. From this point of view, it can be said that the belief in the carefulness and preciseness of the Classics and the emphasis on the fact that the heart of the saints is reverence are characteristic features of Kwon Geun s Confucian Classics.

      • KCI등재

        「明儒學案」의 陽明學觀 재고

        윤상수(Youn, Sang-soo) 한국동양철학회 2012 동양철학 Vol.0 No.37

        양명학을 명대 유학의 정통으로 보는『明儒學案』의 관점은 종래의 명대유학사 연구에 기본적인 틀을 제공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관점이『명유학안』이 쓰여지고 있던 청초에도 오늘날과 같이 ‘정론’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당시에는 주자학 부흥의 사조 속에서 양명학 비판의 풍조가 유행하고 있었으며, 황종희도 이러한 비판에서 예외가 아니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문제에서 출발하여『명유학안』의 양명학에 관한 논의를 청초의 양명학 비판의 풍조, 이에 대한 황종희의 인식과 반박이라는 구도를 가지고 읽어보려 하였다. 이를 위해『揮仲昇文集序』, 『姚江學案』, 『明儒學案序』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황종희가 유학자로서 활동하였던 시기에 일관되게 문제시하였던 것은 주자학 진영의 양명학 비판의 풍조였으며, 이에 대응하여 양명학을 이단시하는 사람들을 學業之士에 불과하다고 평가절하하는 한편, 직접적으로 주자학을 비판하면서 양명학의 정당성을 옹호하고 있음을 밝혔다. 양명학을 정통으로 보는『명유학안』의 명대유학사관은 청초의 양명학 비판의 풍조를 극복하려는 과정 속에서 형성되고 발전되었던 것이다. 『Mingru Xue'an 明儒學案』 sees Yang Ming school 陽明學 as legitimacy of Confucianism in Ming dynasty. This viewpoint has provided basic framework for study on history of Confucianism in Ming dynasty. But this viewpoint was not widely accepted in early Ching dynasty when Mingru Xue'an was under being written. Then, Yang Ming school was much criticized in the midst of the trend of thoughts of recovery of Zhu Xi school 朱子學. Huang Zongxi 黃宗羲 was also not exception - he was also criticized. This writing started from such problem and, relating to discussion about Yang Ming school of 『Mingru Xue'an』, analyzed content of 『preface of collected works of Yun Zhong-sheng 揮仲昇文集序』, 『Yaojiang Xue'an 姚江學案』, 『preface of Mingru Xue' 明儒學案序』 an with the composition of trend criticizing Yang Ming school in early Ching, following recognition and refutation of Huang Zongxi. Huang Zongxi had consistently raised problem about trend criticizing Yang Ming school by Zhu Xi school. He undervalued people who regarded Yang Ming school as heresy - he called them Juyezhishi(學業之士, people preparing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only). On the other hand, he directly criticized Zhu xi's thought and supported reasonableness of Yang ming's thought. View of history on Confucianism in Ming dynasty of 『Mingru Xue'an 』 was formed and developed in the midst of process to overcome trend of criticizing Yang Ming school in early Ching dynasty - 『Mingru Xue'an』 sees Yang Ming school as legitimacy of Confucianism.

      • KCI등재

        呂留良의 宗朱闢王의 유학사

        윤상수(Youn, Sangsoo)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4 泰東古典硏究 Vol.32 No.-

        이 글에서는 명말청초의 주자학자인 여유량의 유학사에 대한 논의를 ‘종주벽왕(宗朱闢王)’의 측면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여유량의 논의는, 공자와 맹자로부터 시작된 유학의 역사는 주희에 이르러 하나의 정점에 도달하였지만, 이후 쇠락을 길을 걷기 시작하다가 왕수인의 등장으로 인해 결정적인 타격을 입고 결국에는 명청교체라고 하는 민족적 비극을 초래하였다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주자학을 정통으로 보고 양명학을 배척하는 여유량의 입장은, 종래의 명대유학사 연구에커다란 영향을 미쳐왔던 황종희의 명유학안과는 정반대에 서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여유량의 유학사 인식, 특히 양명학에 대한 부정적 평가는 고염무와 왕부지 등 청초를 대표하는 학자들의 견해와 기본적으로 일치하는 것이었다. 한편, 청초에는 양명학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입장도 존재하고 있었다. 황종희처럼 양명학을 정통으로 보는 입장뿐만 아니라, 손기봉이나 이옹처럼 양명학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명대의 주자학에 대해서도 그 가치를 인정하거나 양명학과 주자학을 절충하려는 경향도 있었다. 이러한 청초의 다양한 유학사의 인식은, 양명학을 비판하고 극복하려는 흐름을 중심으로 명대유학사를 서술하거나, 혹은 주자학의 흐름 역시 시야에 넣으면서 양명학과 주자학의 상호 관계를 중심으로 명대유학사를 기술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는 점을 시사해준다. This paper examines Lü Liuliang(呂留良)’s views on Confucian history, focusing on the aspect of Zong-Zhu Bi-Wang(宗朱闢王, that is, venerate Zhu Xi朱熹 and dismissed Wang Shouren王守仁). Lü Liuliang, an adherent of the teachings of Zhu Xi, advocated the view that the history of Confucianism that had been initiated by Confucius and Mencius reached its apex in Zhu Xi, followed by a gradual downfall, which culminated in the decisive blow that was the appearance of Wang Shouren, ultimately resulting in the Ming-Qing Transition, a historical tragedy for the entire nation. Lü Liuliang’s position against Yangming studies in favor of Zhuzi studies, acknowledging the latter as the authentic line of Confucianism, can be considered the opposite of the position of Ming Ru Xue An(明儒學案) as championed by its author, Huang Zongxi(黃宗羲), who had great influence over the studies of Ming dynasty Confucian history. In principle, however, Lü Liuliang’s understanding of Confucian history, particularly his negative evaluation of Yangming studies, was consistent with the views of the scholars representing the early Qing period, such as Gu Yanwu(顧炎武) and Wang Fuzhi(王夫之). Meanwhile, there were also positions in favor of Yangming studies in the early Qing period. Not only was there a position recognizing Yangming studies as the authentic line, as represented by Huang Zongxi, there were also tendencies that recognized the value of Zhuzi studies in the Ming dynasty or that synthesized Yangming and Zhuzi studies while remaining essentially in favor of Yangming studies, as represented by Sun Qifeng(孫奇逢) and Li Yong(李顒). Such diversity of views on Confucian history in the early Qing period suggests the possibility of analyzing the history of Ming dynasty Confucianism by focusing on the tendency critical and in opposition to Yangming studies or by examining the interactions between Yangming and Zhuzi studies while broadening the horizon to include Zhuzi studies tendencies.

      • KCI등재

        청대 고증학의 개조 황종희

        윤상수(Youn Sang-soo) 한국양명학회 2012 陽明學 Vol.0 No.32

        明末淸初는 중국의 학술사에서 커다란 전환이 일어난 시기이다. 이 시기를 거치면서 宋明 理學이 쇠퇴하고 淸代 考證學이 등장한다. 이 학술사적 전환, 전통적인 표현을 빌리면 宋學에서 漢學으로의 전환이 왜 일어나게 되었는가, 라는 문제에 관한 청대의 논의 가운데 유력한 견해는 科擧를 위한 학문(科擧之學)에 대한 반성에서 漢學이 일어나게 되었다고 하는 것이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고증학 부흥에 관한 청대의 논의에서 출발하여 科擧之學 비판, 經學 제창의 움직임이 淸初에 어떠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는가에 관해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는 고증학의 개조로서 평가받는 黃宗羲에 초점을 맞춰 그의 수험용 참고서인 四書講章에 대한 평가, 科擧之學의 경학적 입장에 대한 평가, 그리고 講學 活動 등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황종희가 과거지학으로 인해 四書講章이 유행하고, ‘한 선생의 말씀’만을 추종하는 태도가 만연하는 가운데 경학이 망해 버렸다고 비판하였으며, 明末의 文社와 淸初의 學風에 대한 반성에서 경학을 모든 학문의 근본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이를 講學에서 실천하였다는 점을 밝혔다. 그리고 이러한 황종희의 과거지학 비판, 경학 제창이 청초에 고증학이 일어나게 되는 데 선구적인 역할을 수행하였음을 논하였다. Late Ming and early Qing was a period when there happened great transition in intellectual history of China. Through the period, Song Ming lixue(宋明理學, the learning of principle) had continued to decline while evidential research(考證學) in Qing dynasty began to appear. Why did such intellectual transition, that is, transition from Song Learning(宋學) to Han Learning(漢學) in traditional expression, take place? The most persuasive opinion among discussions in Qing dynasty on this question is that Han Learning(漢學) began to appear from reflection on learning for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This study started from discussion about revival of evidential research in Qing dynasty, and then, investigated on in what form criticism of learning for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and movement of advocacy of classical studies appeared.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d on Huang Zongxi(黃宗羲), originator of evidential research(考證學) in Qing dynasty. For this, commentaries on the Four Books(四書講章) which is a reference book for examination was evaluated; position of classical studies of learning for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was assessed; and teaching activities, especially The Classics Discussion Society(講經會) were reviewed. Through this, Huang Zongxi criticized that commentaries on the Four Books became popular because of learning for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and attitude to follow ‘words of one teacher(一先生之語)’ was widely spread, as a result, classical studies declined. He asserted that classical studies should be foundation of all academic studies from the reflection on Wenshe(文社, literary society) in late Ming and academic trend in early Qing. Furthermore, he figured out that he implemented this in teaching activities. This study showed that such criticism of learning for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and advocacy of classical studies by Huang Zongxi played a role of a pioneer in revival of Evidential research in Qing dynasty.

      • KCI등재

        『퇴계집(退溪集)』 산문(散文) 편성(編成)의 체제(體制)와 『정본(定本) 퇴계전서(退溪全書)』의 산문(散文) 편성(編成)

        윤상수 ( Youn Sang-soo ) 퇴계학연구원 2017 退溪學報 Vol.142 No.-

        퇴계학연구원에서는 기존의 退溪 李滉의 문집 편성의 역사적 전통을 계승하는 한편, 오늘날 학계 내외의 학문적 수요에 부응하기 위하여 2018년 완성을 목표로 『정본 퇴계전서』 편성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 글은 『정본 퇴계전서』의 편성을 위하여 서간을 제외한 산문의 목록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정본 퇴계전서』는 산문의 경우, 기존 『퇴계집』의 문장 유형별 편집을 지키되 그 내부에서 고증을 거쳐 年月日順으로 편집한다는 것을 원칙으로 삼는다. 그런데 이와 같은 ‘문장 유형별 분류→저작 연대순 배열’이라는 산문의 편성 원칙을 실제 편성 작업 과정에서 일관되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많은 문제들이 있다. 이 글에서는 먼저 『퇴계집』의 편성 체제 및 그 산문 편성에 대해 살펴보고 나서, 『정본 퇴계전서』의 산문 편성 과정에서 부딪히는 세부적인 문제들에 대해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산문 목록(안)을 제시하였다. Compiling The Critical Edition of the Collected Works of Toegye(定本 退溪全書) is in progress with the aim of completion in 2018 by the Toegye Studies Institute, to meet today’s academic need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 table of contents for the prose, except for the letters. In case of the prose, it is the editorial principle to keep the classi-fication by literary genre of the existing Toegyejip(退溪集), and then as-certain the time when the articles were written and modify the contents accordingly. However, in order to apply the principles in the actual edit-ing process, many problems must be solved. After reviewing these prob-lems in detail, it will propose a table of contents for the pro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