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인성교육 프로그램 연구 분석: 정의적 영역과 교육방법을 중심으로

        윤가영,신주랑,신창호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0 敎育問題硏究 Vol.33 No.3

        This study is to analyze Korean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focusing on the education’ affective domain and the instructional method. To be more specific, 444 researches designed and executed for teaching affective elements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Here is the attribute of these programs: The studies that determined the effects on these programs was to select and adopt various instructional methods such as ‘casebased learning’, ‘problembased learning’, ‘debate class’, ‘resource based learning’, ‘storytelling class’, ‘handson activities’ for educating affective aspect: positive attitude, respect, cooperation, etc. All of these tries and actions were to attempt for achieving the learning objectives. These instructional methods had in common was ‘interac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nstructional design is essential to implement classes of affective domain and it is important to adopt proper instructional methods for meeting learning objectives and making meaningful interactions. 본 연구는 국내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한 논문을 정의적 영역과 교육방법을 중심으로 분석한 것이다. 인성 요소를 가르치기 위하여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실행한 444여 편을 검토한 결과, 국내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연구한 논문은 심리적・정의적 영역에 해당하는 요소인 태도, 존중, 협동 등를 가르치기 위해 사례기반학습(CBL), 문제기반학습(PBL), 토론수업, 자원기반학습(RBL), 스토리텔링 수업, 체험활동과 같은 교수학습방법을 선정하여 실행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하였다. 이러한 교수학습 방법의 공통점은 ‘상호작용’이다. 하지만 인성교육에서 정의적 측면을 구체적으로 가르치기 위해서는 체제적 교수설계가 요구되며, 적합한 교수학습 방법을 선정하고 적용하여 상호작용을 구현하는 작업이 중요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좋은 수업을 위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역할에 관한 연구: 예비교수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윤가영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4

        Objectives This study attempted to contribute to the restoration of subjectivity by identifying the roles of instructors and learners for good instruction. Methods For this purpose, written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6 graduate students using an online platfor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ubject analysis, 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factors that make up good instruction, and the instructors' and learners' tasks for good instruction were derived. Results As a result, class content delivery, instructor competency, and attitude were derived as higher categories for teaching activities that compose good instructions, and learner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learning attitudes were derived for learning activities. In addition, as for the role of instructors for good instruction, strategies for preparation, acquisition and performance, and relationship formation were derived as higher categories, and detailed subcategories corresponding to each item were presented. As for the role of learners for good instruction, the role of learners over time was organized into the upper category, before, during, after instruction, and into detailed subcategories. Conclusions In instructions, instructors are in charge of teaching and learners are in charge of learning. And good instruction can be made when the instructor's teaching activities can induce and promote learners' learn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o design and implement good instructions under the relationship between desirable instructors and learners.

      • KCI등재

        Effect of temperature on coalescence behavior of unsupported gold nanoparticles

        윤가영,Jaegab Lee,남호석 대한금속·재료학회 2019 ELECTRONIC MATERIALS LETTERS Vol.15 No.1

        The coalescing behavior of gold nanoparticles was studied by employing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s based on a semiempiricalembedded-atom method. Investigations on the coalescing process of the faceted nanoparticles revealed that atrelatively low-temperatures, plastic deformation by slip motion was the main mechanism of coalescence, while near themelting point, coalescence was preceded by local fl uid motion. Diff erent initial confi guration and coalescing temperaturehave a substantial infl uence on the coalescing behavior, making diff erent fi nal structures such as twinned face-centered cubicor amorphous nanoparticles.

      • 언어발달지연 아동을 대상으로 한 학교준비반 수업의 효과

        윤가영,김화수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2022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12

        본 연구는 언어발달지연 아동을 대상으로 학교준비반 수업을 실시하여 학교준비도에 대한 개선을 확 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시 G기관에 다니고 있는 언어발달지연 아동 4명을 대상으로 학교준 비를 위한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사전, 사후검사는 우리나라 교육과정을 반영한 척도를 사용하고자 방소영(2012)이 개발한 ‘학교준비도’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평가 영역은 기능 영역, 적응 영 역, 성향 영역, 태도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연구 결과, 사전·사후 비교 시 4가지 영역에서 모두 향 상을 보였으며 큰 격차를 보인 순으로 나열하면 태도 영역, 적응 영역, 성향 영역, 기능 영역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적은 대상자 수, 한정된 대상자(언어발달지연)로 모든 아동들에게 일반화할 수 없다 는 것과 실제 학교에 입학하였을 때 적응 및 유지하는 정도를 파악하지 못하였다는 것이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학교준비반’ 수업을 통해 언어발달지연 아동들의 학교준비도가 향상 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아동의 창의적 학교 환경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교사, 학부모, 학생 요인을 중심으로

        윤가영,장재홍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3

        목적 본 연구는 창의적 학교 환경 인식을 결정하는 요인을 탐색함에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를 위하여 육아정책연구소(KICCE)에서 제공한 한국아동패널(PSKC) 12차년도(2019년) 자료를 활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구체적으로 교사, 학부모, 학생 측면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요인이 창의적 학교 환경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생의 창의적 학교 환경 인식에 영향을 주는 교사 요인을 확인한 결과, 교사와 학생의 친밀도가 창의적 학교 환경 인식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의적 학교 환경 인식에 영향을 주는 학부모 요인을 확인한 결과, 부모와의 의사소통, 신뢰감이 창의적 학교 환경 인식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 요인 확인 결과, 교우관계와교사관계가 창의적 학교 환경 인식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특히, 교사와 아동의 관계는 창의적 학교 환경 인식을 예측하는 가장 중요한 변수였다. 한편, 학생이 느끼는 학업 스트레스는 창의적 학교 환경 인식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서 창의적 학교 환경 인식에는 물리적 환경 자체보다 관계성 측면이 중요한 요인이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심리적 환경 조성 및 관계적 측면에서의 개선이 필요하며, 이를 지원하고 조력할 수 있는 시스템과 노력이 요구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Sonographic features that can be used to differentiate between small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and fibroadenoma

        윤가영,차주희,김학희,신희정,채은영,최우정 대한초음파의학회 2018 ULTRASONOGRAPHY Vol.37 No.2

        Purpose: Our study investigated whether any sonographic findings could be useful for differentiating between small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TNBC) and fibroadenoma.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approved by our Institutional Review Board, which waived the requirement for patient consent. From January 2009 to December 2010, the sonographic features of 181 pathologically proven TNBC tumors and 172 fibroadenomas measuring less than or equal to 2 cm in the longest dimension were review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fifth edition of the Breast Imaging Reporting and Data System (BI-RADS) lexicon. Mean tumor roundness was also measured using in-house software. Results: The median longest lesion dimension was 16 mm (range, 13 to 18 mm) in TNBCs and 13 mm (range, 10 to 16 mm) in fibroadenomas. In comparison to fibroadenomas, small TNBC tumors presented with a higher incidence of irregular shapes (66.9%), noncircumscribed margins (91.7%), hypoechoic echotexture (59.1%), posterior acoustic enhancement (65.2%), and associated features (24.4%). Most TNBCs were classified as BI-RADS category 4 (65.2%) or 5 (28.2%). The mean tumor roundness of small TNBCs was greater than that of fibroadenomas (60%±12% vs. 53%±13%).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older patient age, irregular shape, nonparallel orientation, posterior acoustic enhancement, associated features, a BI-RADS final assessment category of 4 or 5, and greater tumor roundness were significant independent factors indicative of TNBCs. Conclusion: TNBC tumors tend to demonstrate more suspicious sonographic features and greater tumor roundness than fibroadenomas. These features may have the potential to help differentiate between small TNBCs and fibroadenomas.

      • KCI등재

        천장제트기류에 대한 국내 정온식 열감지기의 작동온도 및 반응시간지수(RTI)에 관한 DB 구축

        윤가영,한호식,문선여,박충화,황철홍 한국화재소방학회 2020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4 No.3

        The accurate prediction of fire detector activation time is required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fire modeling during thesafety assessment of performance-based fire safety design.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activationtemperature and the response time index (RTI) of a fixed heat detector, which are the main input factors of afixed-temperature heat detector applied to the fire dynamics simulator (FDS), a typical fire model. Therefore, a fire detectorevaluator, which is a fire detector experimental apparatus, was applied, and 10 types of domestic fixed-temperature heatdetectors were selected through a product recognition survey.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activation temperature and RTI among the detectors. Additionally, the detector activation time of the FDS with the measuredDB can be predicted more accurately. Finally, the DB of the activation temperature and RTI of the fixed-temperature heatdetectors with reliability was provided. 성능위주 소방설계(PBD)의 안전성 평가 과정에서 화재모델링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서는 화재감지기 작동시간의정확한 예측성능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대표적 화재모델인 FDS에 적용되는 정온식 열감지기의 주요 입력인자인 감지기 작동온도와 RTI의 측정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화재감지기 실험 장치인 Fire detector evaluator (FDE)가 적용되었으며, 제품 인지도 조사를 통해 선정된 국내 10종의 정온식 감지기가 고려되었다. 결과적으로 감지기의 제조사별로 작동온도와 RTI는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측정된 DB가 적용된 FDS의 감지기 작동시간은보다 정확한 예측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신뢰성이 확보된 정온식 열감지기의 작동온도와 RTI의 DB가제공되었다.

      • KCI등재

        초고층 비정형 평면구조물의 횡변위 거동에 관한 연구

        윤가영,박성수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2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4 No.4

        비정형 평면의 경우, 정방형 평면보다 횡변위 방생 방향과 횡적 거동을 예측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적절한 구조적 보완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횡력저항 강성증가 방법과 횡력저항 구조요소를 추가하는 방법 등에 대한 실제 구조설계의 수행을 통해 Y형 평면을 가진 초고층 구조시스템을 구성하는 횡력저항 요인들의 효과를 정적해석으로 해석하여 횡변위 저감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횡력저항 강성변화 방법에는 여러 요소들이 있으나 코어 단면, 콘크리트 강도 변화를 통하여 구조물의 강성 변화에 따른 횡적거동 특성을 비교·분석 하였다. 또한, 횡력저항 구조요소로는 현재 국내의 초고층 건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아웃리거, 벨트 시스템, FIN WALL을 비정형 Y형 평면에 도입하여 그 효율성을 검토해 보았다.

      • 스마트교육의 개념과 속성 고찰: 개념 분석을 중심으로

        윤가영,이효진,장민성,박인우 한국교육공학회 2016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6 No.2

        본 연구는 스마트교육 관련 연구에서 활용되고 있는 스마트교육의 개념이 혼재되어 있는 문제점을 밝힘으로써 스마트교육의 명확한 개념 정립과 이론적 기틀 확립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스마트교육에 대한 이론적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아 연구자마다 다양한 관점에서 개념과 특성을 정의하고 있으며, 이러한 혼재로 인해 교육현장에서 스마트 교육은 본질적 특성을 잃은 채 협소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하게 혼재되어 있는 스마트교육에 관한 개념과 속성을 분석하여 학문적 개념을 정의하고, 이론적 기틀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스마트교육과 관련된 논문에서 제시하고 있는 개념과 속성을 정리하여, 공통적인 속성을 코딩·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속성을 도출하였다. 첫째, 스마트교육은 수업 및 학습의 도구로서 스마트형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다. 둘째, 스마트교육은 적절한 교육내용·교육방법·교육평가를 모색하고 이를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체제이다. 셋째, 스마트교육은 자기 주도적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넷째, 스마트교육은 학습자 중심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다섯째, 스마트교육은 학습자 간, 학습자와 교수자 간, 학습자와 매체 간의 상호작용 및 피드백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학습자의 지식 구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여섯째, 스마트교육은 학습을 위해 형식·비형식 학습이나 물리적 환경을 활용하며, 이러한 열린 학습 환경이 학습자의 학습과 지식 구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상의 6가지 속성을 토대로 교육공학적 관점에서 스마트교육을 정의하였다. 스마트교육은 학습자의 학습을 촉진시키고, 학습목표 달성에 적합한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자기 주도적 학습, 학습자 중심 학습, 상호작용 학습과 같이 지식과 능력의 구성 및 향상이 가능한 학습을 실천하며, 최선의 실천을 위해 어떠한 도구, 자원, 환경이 수업과 학습에, 그리고 학습자에게 활용될 수 있으며, 선택한 도구와 자원이 왜 더 나은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는지를 분석한 체계적인 설계가 수업과 학습에 반영된 교육방법이라 할 수 있다. 합의된 개념의 부재는 오해와 편견을 야기할 수 있으며, 개념적 혼란을 초래함으로써 스마트교육의 발전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기에, 연구자들 간의 논의와 합의를 통해 하루빨리 스마트 교육의 개념과 특성에 대한 공식적인 정의를 확립하고, 이론적 기틀을 마련하는 작업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