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뇌졸중 환자 보호자의 지식 및 교육에 관한 연구

        유화영,양영애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2012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4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돌보는 간병인들을 대상으로 뇌졸중관련 지식과 원하는 교육요구도를 파악하 여 뇌졸중 환자의 효과적인 재활을 도울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 내용을 제시하기 위함이 다. 연구방법 현재 부산에 소재하고 있는 S병원과 K병원에서 2012년 8월 1일에서 8월 20일 까지 설문지를 수집하 여 70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뇌졸중 지식점수에서 15점 만점에 평균 점수가 11.14점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뇌졸 중 교육을 받은 적이 없다가 훨씬 많았었고 뇌졸중 관련 정보를 듣는 장소는 병, 의원이 가장 높게 나 타났다. 이는 병원에서 환자를 돌보면서 일반인들에 비하여 지식,정보들을 많이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았을 것으로 사료된다. 교육요구도의 점수에서 환자를 간호하는 동안의 체력을 유지하고 건강을 관 리하는 방법의 문항의 점수가 높았다. 일반적 특성 및 질환문항에 따른 지식정도의 차이에서는 초등학 교 졸업보다 고등학교 졸업한 사람의 점수가 높게 나왔으며 교육정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 및 질환문항에 따른 교육요구도의 차이에서 남자보다 여자가 더 높게 나 왔으며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에서 무교보다 천주교가 가장 높게 나 타났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기초로 하여 뇌졸중 환자를 돌보는 보호자를 대상으로 차별화된 교육제공이 필요하며 교육 요구도가 높은 만큼 단순지식전달의 내용이 아닌 보다 시각적인 교육방법을 채택하여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교육을 통하여 건강한 체력을 유지하면서 질 좋은 서비스로 뇌졸중 환자를 간병 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대학생의 경제적 불평등, 교육 불평등, 미래 불평등 간의 관계

        유화영,김동심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1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Economic, Educational,and Future Inequality of College StudentsHwayoung Yu & Dongsim Kim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economic (parental income, allowance), educational (self-awareness, reading, school activity), and future inequality (future perception, future occupation) of college students. This study analyzes 3,810 students, using ‘2019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Ⅱ’. The result of this study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is as follows: Economic inequality effects on educational inequality, and economic and educational inequality effects on future inequality. Specifically, parental income and allowance effect on self-awareness. Parental income effects on reading, allowance effect on school activity. Parental income, self-awareness, reading and school activity effect on future perception. Allowance, reading and school activity effect on future occup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role of higher education and society. Key Words: Economic Inequality, Educational Inequality, Future Inequality, OED Triangle, College Student 대학생의 경제적 불평등, 교육 불평등, 미래 불평등 간의 관계유 화 영*ㆍ김 동 심** 요약: 본 연구는 대학생의 경제적 불평등(부모 소득, 용돈), 교육 불평등(자기인식, 독서여부, 학교활동), 미래 불평등(미래사회인식, 미래직업 결정여부)의 관계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9 한국교육고용패널 II’의 전국 대학생 3,810명을 대상으로 구조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경제적 불평등, 교육 불평등, 미래 불평등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경제적 불평등이 교육 불평등에, 경제적 불평등과 교육 불평등이 미래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력이 모두 유의미하였다. 구체적으로 부모소득, 용돈은 자기인식에 영향을 미쳤다. 부모소득은 독서에, 용돈은 학교활동에 영향을 미쳤다. 부모소득, 자기인식, 독서여부, 학교활동은 미래사회인식에, 용돈, 자기인식, 독서여부, 학교활동은 미래직업 결정 여부에 영향을 미쳤다. 이상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불평등 해소를 위한 대학, 사회의 역할을 논의하였다. 핵심어: 경제적 불평등, 교육 불평등, 미래 불평등, OED삼각모형, 대학생 □ 접수일: 2021년 12월 9일, 수정일: 2022년 1월 12일, 게재확정일: 2022년 2월 20일* 주저자, 가톨릭관동대학교 교수(First Author, Professor, Catholic Kwandong Univ., Email: hwayu@cku.ac.kr)** 교신저자, 한신대학교 조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Hanshin Univ., Email: southpaw61@hs.ac.kr)

      • KCI등재

        이러닝 환경에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유화영,임유진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19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5 No.3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e-learning quality, academic self-efficacy, learner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he college level e-learning environment. Towards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via LMS at semester’s end on students of K University enrolled a cyber class. Based on faithful responses to the survey submitted by 533 participants, the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variant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quality of e-learning had a meaningful effect on learner’s satisfaction. Second, emotional intelligence also meaningfully affected the learner’s self-efficacy. Third,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quality of e-learning did not meaningfully affect learning achievement; whereas, self-efficacy and learner satisfaction did affect learning achievement.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improve learner satisfaction in an e-learning environment, efforts must be directed towards enhancing the learn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upgrading the quality of the e-learning provided. Second, in order to improve the learning achievement of the students, measures should be taken to enhance the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involved.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methods and strategies geared towards maximizing the learning achievement of the students in an e-learning environment.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의 정서지능, 이러닝 품질, 자기효능감, 학습만족도 및 학업성취도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 강좌에 등록을 한 K대학의 학생을 대상으로 학기말에 학습관리시스템(LMS)을 통해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설문에 성실히 응답한 533명의 응답을 바탕으로 구조방정식 모델링 분석을 통하여 정서지능, 이러닝 품질, 자기효능감, 학습만족도 및 학업성취도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상정한 가설을 검증한 결과 첫째,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학습자의 정서지능과 학습자가 지각하는 이러닝의 품질은 학습자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학습자의 정서지능은 학습자의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의 정서지능과 이러닝의 품질은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자기효능감과 학습만족도는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이러닝 학습환경에서 학습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정서지능을 높이기 위한 노력과 이러닝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고 학습자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자기효능감 및 학습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의 이러닝 학습환경에서 학습자의 학업성과를 높일 수 있는 방법 및 전략에 대해 자세히 논의하였다.

      • KCI등재

        코눈물관협착 환자의 실리콘관삽입술 전 진통제 및 진정제 복용이 통증에 미치는 영향

        유화영,이가현 대한안과학회 2023 대한안과학회지 Vol.64 No.10

        목적: 코눈물관협착 환자에서 국소마취하 실리콘관삽입술 시행 전 진통제와 진정제 복용이 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6년 7월부터 2022년 5월까지 본원 안과에서 코눈물관협착으로 국소마취하 실리콘관삽입술을 시행한 121명에서, 수술 전 acetaminophen과 diazepam 경구약을 복용한 환자군(71명)과 복용하지 않은 환자군(50명)으로 나누어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분석하였다. 각 군별 수술 직후 통증 정도(visual analogue scale score [VAS score]: 0=통증 없음, 10=극심한 통증), 수술 시간, 눈물흘림 호전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술 전 경구약을 복용한 환자군에서 복용하지 않은 군보다 의미 있게 낮은 VAS 점수를 보였다(각각, 5.23 ± 2.75점 vs. 6.34 ± 2.33점, p=0.02). 또한 술 전 경구약 복용군이 미복용군에 비해 수술 시간이 단축되었고(p<0.01), 술 후 눈물흘림 증상 호전 역시높은 비율을 보였다. 그러나 술 전 경구약 복용 유무는 술 후 tube 유지 기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p=0.86). 결론: 실리콘관삽입술 전 진통제와 진정제 복용이 수술 중 환자들의 주관적 통증 경감 및 수술 시간 단축에 도움이 되었으며 복용군에서 술 후 눈물흘림 증상 호전과 관련해 좋은 결과를 보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Purpose: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preoperative administration of analgesics and sedatives on pain levels during silicone tube intubation conducted under local anesthesia in patients with acquired nasolacrimal duct stenosi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from 121 patients at the ophthalmology department of our hospital from July 2016 to May 2022. In total, 71 patients were administered acetaminophen and diazepam orally, while the remaining 50 were not. Postoperative pain (measured using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 [0 = no pain, 10 = severe pain] immediately after operation), operative duration, and improvement in epiphora symptom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The premedication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VAS scores than the non-premedication group (5.23 ± 2.75 vs. 6.34 ± 2.33, p = 0.02). It also had a notably shorter (p < 0.01) operation duration and higher subjective improvement rate of epiphora symptoms. However, premedication did not influence the tube retention period post-surgery (p = 0.86). Conclusions: The administration of analgesics and sedatives prior to silicone tube intubation effectively mitigates operative pain and reduces operation duration. Furthermore, it may help improve postoperative epiphora symptoms.

      • KCI등재

        플립러닝을 활용한 국어교육 교수학습 제안

        유화영 ( Yu Hwayoung ),권순희 ( Kwon Soonhee ) 국어교육학회 2017 國語敎育學硏究 Vol.52 No.1

        개별적으로 발달한 각종 기술들의 융합이 이루어지면서 제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하였다. 급변하는 사회적 변화는 교육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지식에 대한 단순 이해나 지식 적용 차원을 뛰어넘어서 창의 융합적으로 응용할 수 있는 사고가 필요하다. 이에 국어교육에서의 플립러닝을 활용한 교수학습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플립러닝은 전통적인 수업 방식을 거꾸로 뒤집는다(flip)는 의미로 학습자들이 동영상이나 인터넷 등 강의실 밖에서 수업 전에 예습하고 강의실 안에서는 학습자나 교수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학습활동을 하는 것이며, 과학기술을 접목한 교수학습방법이다. 국어교육에서 사용할 수 있는 플립러닝을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짝토론 학습법과 소집단 반대신문토론 학습법을 제안하였다. 짝토론 학습법이란 학습자들이 특정한 주제나 현상에 대해 짝을 지어 질문하고 대화하고 토론하게 하는 학습법이며, 소집단 반대신문토론 학습법이란 학습자들이 특정한 주제나 현상에 대해 4~6명의 학생들이 입론과 반박을 하여 간략 토론을 하는 교수·학습 방법이다. 반대신문토론을 진행하는 데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발언 순서가 복잡하여 학습자가 이를 숙지하고 토론을 진행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시간도 줄이고, 절차도 간략화한 소집단 반대신문토론 학습법을 제안한다. In recent years, we have witnessed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marked by the convergence of various technologies, which have been developed individually. The rapid societal change requires changes in education.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type of thinking, which goes beyond simpl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knowledge and which enables creative convergent applications is necessary. Thus, this study proposes a flipped learning model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lipped learning` refers to a learning model that reverses or “flips” the traditional classroom approach and is a technology integrated teaching/learning method in which learners preview their lessons using videos, the internet, etc. outside the classroom before they engage in actual learning activities through interaction with other learners or educators inside the classroom. This study proposes a `paired debate learning method` and `small group cross examination debate learning method` as a viable flipped learning model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paired debate learning method` refers to a learning method where learners are paired to ask questions, converse, and engage in a debate on a particular topic or phenomenon, whereas the `small group cross-examination debate learning method` refers to a teaching/learning method where 4 to 6 students briefly discuss a particular topic or phenomenon by making or refuting arguments. Since the cross examination debate is time consuming and the speech orders are complicated, learners may experience difficulties following their instructions and participating in the debate. Hence, this study suggests using a curtailed version of the `small group cross examination debate learning method`, which reduces the time required and simplifies the procedure.

      • KCI등재

        학교폭력 피해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유화영 ( You Wha Yeong ),이종한 ( Jonghan Yi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6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0 No.4

        본 연구는 학교폭력 피해를 경험한 청소년들이 그들의 심리적인 특징인 낮은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기술 부족으로 인하여 학교생활에서 위축되고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이들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기술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밝히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Y시에 소재한 중학교 학생 중 정서행동특성검사에서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있다고 표시한 학생 26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13명, 통제집단 13명으로 구성하여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10회기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자아존중감 척도와 한국판 청소년용 사회적 기술 평정척도(Korean Social Skill Rating System: K-SSRS)이다.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실험집단의 자아존중감 전체 점수와 하위영역인 총체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가정 자아존중감, 학교 자아존중감 전 영역에서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실험집단의 사회적 기술 전체 점수와 하위영역인 협동성, 주장성, 공감, 자기조절 전 영역에서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학교폭력 피해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기술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이 증명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self-esteem and social skill on school violence of adolescents who have school withdrawal and interpersonal problems. In the pursuit of this purpose, 26 middle school students (13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s each) experienced victimization using AMPB(adolescent mental-health problem- behavior questionnaire) participated the experiment. Only the experimental group were given the Group Art Therapy which was developed by researcher of this study. To measure the improving observation skills, Self-Esteem Inventory(SEI) developed by Choi Bo-ga and Jeun Gui-Yun (1993) and Korean Social Skill Rating System developed by Moon Sung Won (2003) was used as a measuring instrument for a pre-test and post-test between the both groups. Analysis of data was performed using SPSS 18.0 statistical data processing program. The result obtained in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the Group Art Therapy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overall self-esteem, social self-esteem, domestic self-esteem, inside-school self-esteem, and total self-esteem means compared with those who didn`t. Second, the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the Group Art Therapy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cooperation, assertion, empathy, self-control, and total social skill means compared with those who didn`t.

      • 뇌졸중 환자 보호자의 우울증과 삶의 질의 상관관계

        유화영 ( Hwa Yeong Yu ),신중일 ( Jung Il Shin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2011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3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돌보는 보호자들의 우울증의 정도와 삶의 질을 알아보고 우울증과 삶의 질과의 상관관계와 일반적 특성과 우울증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현재 부산 소재의 7개의 병원으로 2011년 8월 8일부터 9월 9일까지 우편을 통해 설문지를 수집하여 101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구뇌졸중 환자 보호자들의 우울증 점수 범위는 우울하지 않은 상태가 49명(48.5%)으로 가장 많았고 심한 우울 상태는 15명(14.9%)으로 가장 낮았다. 우울증과 삶의 질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다. 즉 우울증 점수가 낮을수록 삶의 질은 높았으며 우울증의 점수가 높을수록 삶의 질은 낮았다.일반적 특성과 우울증과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보호자의 성별,연령, 환자 발병기간, 보호자의 건강 상태,질병 여부에 따라 우울증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일반적 특성과 우울증과의 관계에서 성별이 여자일 경우와 연령이 높고, 환자의 발병 기간이 길수록 우울증을 더 많이 느꼈고 보호자들의 건강 상태가 좋지 않을 때와 질병이 있는 경우 우울증을 많이 느꼈다. 본 연구를 기초로 하여 뇌졸중 환자 보호자들의 우울증 해소와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여러 요인들의 체계적인 연구와 다양한 프로그램 계획과 방법에 대한 개발의 연구가 앞으로 필요할 것이다. Purpose : This study puts the purpose in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pression of stroke caregivers and their life quality by explori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m and depression. Methods : Questionnaire surveys were conducted on 7 hospitals, located in Busan from August 8, 2011 to September 9, 2011, and 101 copies of questionnaire papers were collected via mail and analyzed. Results : In terms of score ranges of caregivers` depression, a state of non-depression was the majority with a total of 48.5%(N=49), and a state of severe depression was the lowest with 14.9%(N=15). This demonstrated that there would be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depression of stroke caregivers and the quality of their life. In other words, lower scores for depression were associated with higher scores for quality of life while higher depression scores were related with the lower quality of life.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roke caregivers and depress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ccording to genders, ages, the onset duration of patients, health status and diseases of caregivers. Conclusion : In terms of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of caregivers and their depression, the higher the age of female caregiver is, the longer the duration of stroke onset is. In this case, caregivers were more depressed than other cases. In addition, as the health status of caregivers was not good and they had disease, they felt more depressed than other times. This study indicates that systematic studies, plans, and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s are required for relieving the depression of stroke patients` caregiver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their life based on this study.

      • 농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자아탄력성, 진로정체감, 진로성숙도 간의 관계

        유화영(You, Wha-Yeong) 한국청소년상담학회 2018 한국청소년상담학회지 Vol.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농업계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자아탄력성, 진로정체감, 진로성숙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이를 고려한 진로지도와 생활지도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에 소재한 2개의 농업계 특성화고등학교 재학생 519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척도검사를 실시하였고,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탄력성 점수가 높은 학생이 진로정체감 전체 점수와 하위요인인 안정성, 목표지향성, 독특성, 자기주장, 자기존재의식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 결과는 자아탄력성이 높은 학생이 진로정체감도 잘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자아탄력성 점수가 높은 학생이 진로성숙도 전체 점수와 하위요인인 결정성, 준비성, 확신성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목적성과 확신성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자아탄력성이 높은 학생의 경우 진로성숙도 전체 점수와 일부 하위요인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셋째, 진로정체감 점수가 높은 학생이 진로성숙도 전체 점수와 결정성, 준비성, 독립성, 목적성, 확신성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이 결과로 볼 때 진로정체감이 잘 형성된 학생의 경우 진로성숙도 전반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해석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ego-resilience, career identity and career maturity in agricultural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and to provide the student s career guidance and basic life guidance. For this purpose 519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self reported survey, SPSS 18.0 statistical data processing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 ego-resilience students are positively related to the total of career identity and in subordinated categories such as stability, goal orientation, uniqueness, self-assertion and self-existence consciousne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 ego-resilience students are positively related to the total of career identity and in subordinated categories such as stability, goal orientation, uniqueness, self-assertion and self-existence consciousness. Through this result, the high ego-resilience students were estimated to show high formed career identity. Second, the high ego-resilience students are positively related to the total of career maturity and subordinated categories such as decision, preparation, confidence and independence, sense of purpose don t have meaningful relationship. According to this result, the high ego-resilience students were estimated to show high career maturity total score and its sub-categories partially. Third, the high career identity students are positively related to the total of career maturity and in subordinated categories such as decision, preparation, independence, sense of purpose, and confidence. Through this result, the high career identity students can show well formed career maturity.

      • KCI등재

        멀티미디어 환경의 구성과 교육에의 활용에 관한 연구

        유화영(Yu, Hwa-Young) 한국교육시설학회 1998 敎育施設 Vol.5 No.4

        In this information-oriented society, the ability to manage and process the rapidly increasing amount of information has become an absolute requirement. Students of today must prepare for the challenges of the upcoming 21st century through developing skills in computers and by nurturing a creative mind and the aptitude to resolve problems. In terms of its pedagogical function and range and applicability, multimedia will surpass all other tools of education, owing to its flexibility and openness. This study provides actual case examples of the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of the multimedia environment and proposes factors that must be consider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multimedia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