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매체의 발달과 시간에 대한 연구

        유현정 한국기초조형학회 2006 기초조형학연구 Vol.7 No.1

        The paper is a general contemplation of time from definition and philosophy standpoint, and a study into the theory of time by period representing new media. Philosophers would divide time into official time and private time. The expression of time in the works of artists has mostly been tilted towards private time, or the empirical time, as media becomes more sophisticated. In line with the chronological sequence in the emergence of media that have altered the perception of time and space, the paper segments the history of media into three periods: the eras of mechanical devices, electronic media and digital media, each represented by cameras and projectors, TV's and videos, and personal computers respectively. Art in the era of mechanical devices is expressed in Cubism and Futurism, one characterized by single view point and multiple times, and former multiple view points and single time. In the electronic era video art is the mainstream, expressed in real time present and synchronism. Art in the digital era is about interactivity where the essence of time is circular as is dominant in web arts; and also virtual, or fractional and non-linear, as is represented in interactive art installation. Art works in the present age where digital media is all around, a lot of them use time as their motif. Without the concept of time,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create, express and interpret art. The paper inquires into the concept of time from art point of view and provides a chronological look into the means of expression employed by artists to represent their changing perceptions as they adopt the new mediums of their time. The research is expected to make interpretation of art works easier as their creators adopt new forms of media. 역사적으로 과학기술의 발달은 매체의 출현과 동시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형성하는 원인이 되어왔다. 이러한 패러다임은 시간과 공간의 인식을 변화시켰으며 새로운 매체에서 비롯된 시간과 공간 인식의 변화는 정치, 사회, 문화 등에 영향을 주었다. 특히 예술가들은 새로운 미디어의 출현을 작가적 관점에서 적극 차용했으며 작품의 지경을 넓히는 계기가 되었다. 본문에서는 시간에 대한 사전적 정의 및 철학에서의 일반적인 고찰을 하였으며 예술에서의 시간관을 시대별 매체의 출현으로 구분하여 연구하였다.. 시간은 추상적인 개념으로 관점에 따라 다양한 개념과 해석이 존재한다. 철학자들은 시간을 공적인 시간과 사적인 시간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예술가들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표현방법은 매체가 발전할수록 경험에 의한 시간 즉 사적인 시간으로 해석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시공간의 인식을 바꾸어놓은 매체의 출현에 따라 사진기와 영사기의 출현, TV와 비디오의 출현, 컴퓨터의 출현 순으로 기계시대, 전자매체시대 그리고 디지털매체시대로 크게 3개 시대로 구분하였다. 기계시대의 예술은 입체주의와 미래주의의 사조로 나타나며 입체주의는 복수시점, 다시간으로 미래주의는 단시점 다시간으로 그 특성을 이야기할 수 있다. 전자매체시대의 예술에서는 비디오아트가 주류를 이루며 시간적인 특성은 실시간에 기반한 현재시제와 동시성으로 나타난다. 디지털매체시대의 예술은 인터렉티브 아트가 주류를 이루며 웹아트에서 주로 보이는 순환적 시간과 인터렉티브 아트 설치물에서 주로 보이는 파편적이고 비선형적 시간, 가상의 시간으로 그 특성을 정의하였다. 디지털미디어가 일반화된 현 시대 예술작품들은 시간을 모티브로하여 표현된 것들이 많다. 시간에 대한 개념이 없이는 작업 또는 표현, 해석이 불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예술적 관점의 시간개념에 대한 고찰과 함께 새로운 매체를 적용하는 예술가들의 인식에 따른 표현방법을 시대별로 구분하여 연구하였다. 이러한 매체의 발전에 따른 시간개념과 예술 표현방식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 새로운 매체를 적용하는 예술가들의 작품 표현 해석을 보다 용이하게 할 것으로 기대한다.매체의 발달과 시간에 대한 연구유현정Hyun-Jung Yu이화여자대학교 조형예술대학 디자인학부Ewha Womans University, Dollege of Art & Design, Division of Design

      • KCI등재

        The Effect of Gamitongkyutang Distillate in Mice with Allergic Rhinitis

        유현정,최인화 대한한의학회 2006 대한한의학회지 Vol.27 No.2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find the curative effect of Gamitongkyutang distillate in mice with allergic rhinitis. Material & Methods: Forty mice were divided into fou r groups: the normal group, th e control group (allergic rhinitis elicited group), the sample Ⅰ group ( Gamitongkyutang treated group after allergic rhi nitis elicitation) and the samp le Ⅱ group (distilate of Gamitongkyutang treated group after allergic rhinitis elicitation). Indexes of AR were investigated such as the histol ogical changes of the nasal muco sa, the changes of eosinophil count, the changes of interleukin-4 (IL-4) secretion in the intranasal mucosa, the alteration of induci 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 mRNA expression and the distribution of the nuclear factor kappa B (NF-κB). ANOVA test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p<0.05). Results: Los of the cilium and the mucous secretion in the sample Ⅰ and Ⅱ groups was rare when compared to the co ntrol group. The segment of eos inophi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sample Ⅰ and Ⅱ groups when compa red to the control group (p<0.05). A significant de crease of IL-4 mRNA expression was observed in the sample Ⅰ and Ⅱ groups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p<0 .05). Inhibition of iNOS induced by NF-κB p50 in the sample Ⅰ and Ⅱ groups was sign ificantly superior to that in the control group (p<0.05). DGT and GT didn 't affect AST and ALT. Conclusions: GT was superior to DGT in the IL -4 secretion, eosinophil level s and iNOS production. However, considering the difficulty in taking herba l medicine, the DGT has a meaningful curative effect in mice with allergic rhinitis.

      • KCI등재

        안전에 대한 한·미 대학생 소비자의 태도-행동모형 개발 :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유현정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2 Crisisonomy Vol.8 No.6

        식품안전사회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제도적 마련과 지속적인 관리감독이 필요한 동시에 소비자들도 식품안전제도를 잘 이해하고 스스로 안전한 식생활을 추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또한 점차 글로벌화 되고 있는 시장환경을 고려할 때 식량자급률이 낮아 수입식품에 많은 의존을 해야 하는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특히나 식품안전에 대한 국제적 표준을 이해하는 것이 절실히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미국의 대학생소비자를 대상으로 각국의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식품안전태도 및 행동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여, 실제 식품안전인식, 태도, 행동을 측정한 뒤 이를 구조화하여 구조방정식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소비자들은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과 태도는 높지만 상대적으로 식품안전을 위해 실천해야 하는 행동 측면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미국의 소비자들은 전반적으로 식품안전인식과 태도에 비해 행동점수가 높아 스스로 식품안전을 위해 실천하는 것이 습관화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한국의 소비자들은 위해물질에 대한 우려보다는 위해식품에 대해 걱정을 많이 하고, 표시에 대한 신뢰도도 낮았던 반면, 미국의 소비자들은 식품의 생산과 제조, 가공, 유통 등의 각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해식품에 대한 불안보다는 식중독균, 발암물질 등과 같은 위해물질들에 대한 우려가 높았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표시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 전반적으로 식품안전관리체계에 대한 신뢰가 한국보다 미국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소비자의 식품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인과관계를 모형화 했을 때, 식품안전인식은 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태도는 다시 행동에 영향을 미치지만, 인식이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식품위해정보의 커뮤니케이션 과정에 따른 소비자반응 : 벤조피렌 사건을 중심으로

        유현정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3 Crisisonomy Vol.9 No.1

        본 연구에서는 최근 발생한 식품안전사고를 중심으로 우리사회에 잠재되어 있는 위험수준을 추정해 보고, 기업이미지와 사건 경과, 정부의 조치내용 등에 대한 소비자들의 견해를 알아보고, 이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2012년 10월 23일 뉴스보도를 시작으로 촉발된 농심 벤조피렌사건을 중심으로 사건에 대한 정보가 커뮤니케이션 되는 과정과 그에 따르는 소비자반응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벤조피렌 관련 신문기사나 뉴스내용에 대한 신뢰도는 75.14점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나, 기업측의 해명기사에 대한 신뢰도는 47.83점으로 매우 낮아, 실제 결과와 상관없이 소비자불신이 형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자진회수 조치를 취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은 해당 기업에 대해 벌금형, 동종 기업에 대한 조사 확대 등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나 징벌적 처벌에 대한 요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보다 안전한 식품을 위해서 발생하는 비용에 대해 약 27.6%의 비용을 지불할 의사가 있다고 조사된 반면, 식품위해사건 이후 시간이 지나면서 약 67%의 소비자들이 다시 구매를 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나 식품위해사건 발생 당시 소비자들의 반응이 지나치게 과민하게 조장되었다가 또한 시간 경과와 함께 지나치게 무관심해지는 부정적 과정이 되풀이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아동을 위한 정서조절 치료 도구로서의 애착 상황에서의 정서 교육 카드 개발

        유현정,이정숙,권선주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 2024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Vol.19 No.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emotional education cards based on attachment situations as a new therapeutic tool to help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regulate their emotions. This tool aims to activate and promote changes in the emotional processes of ASD children's attachment narratives, providing opportunities to re-experience attachment and re-establish bonds with caregivers, thereby improving emotional regulation. Additionally, the study seeks to assist therapists working with ASD children in clinical settings to address issues related to emotional regulation. To achieve this, the attachment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ASD were examined, along with a review of attachment-based therapy. This study attempted to modify the emotional process of attachment narratives, one of the four key components of the attachment-based emotional regulation program by Koback et al. (2015), by developing a visual tool based on attachment situations. Through this tool, ASD children were encouraged to recognize and express their emotions within their attachment relationships with caregivers, enhancing emotional interaction and re-experiencing attachment to support emotional regulation. The study also explored the development process, the underlying principles, and the content of the emotional education card tool based on attachment situations.

      • KCI등재

        근거이론적 접근을 통해 본 이재민의 반응분석

        유현정,이재은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08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근거이론적 접근을 통해 이재민이 재난 피해과정에서 겪는 고통과 재난현장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취약계층의 하나인 이재민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높이고 이들을 위한 경제적, 심리적 지원이 일회성으로 그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마련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근거이론적 분석을 통하여 총 57개의 개념 및 18개의 하위범주와 9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가장 중심되는 범주는 ‘재난의 상처’였으며, 재난의 상처는 크게 스트레스와 아나키로 압축해 볼 수 있다. 스트레스는 다시 경제적 측면의 스트레스와 정신적 측면의 스트레스로 구분되었고, 아나키는 정신적 공황상태와 시스템 무정부 상태의 두가지로 요약되었다. 인과적 조건은 재난이 ‘예고된 재난’이라는 인식이었으며, 재난현장에 참여하는 다양한 사람들의 입장 차이가 중요한 맥락조건으로 나타났다. 중재적 행동으로는 보상체계를 들 수 있으며, 이재민들은 비판과 다양한 대안을 제시하면서 스스로의 문제를 해결하고 보다 바람직한 방향을 찾으려 노력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반응결과는 다양한 십인십색의 양식으로 나타나므로 획일적이지 않고 지속적인 맨투맨형의 지원이 요구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disaster victims' pain and the disaster site' problems from the grounded theory. On the basis of this results, we aim that more attention will be gathered to the disaster victims who are another vulnerable population. Fur the more, when the program for the disaster victims will be planned, we aim that this study can be used for a preliminary data.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the 5 consumers who were disaster victims of Ewiniar. In the study methodology, the grounded theory designed by Strauss and Corbin was utilized. From the analysis results, 18 subcategories and 9 categories were created. In the axial coding, the following paradigm model was proposed: 1) the casual conditions was "expected disaster," 2) the contextual conditions was "various point of view about disaster" 3) the central phenomenon was "a hurt of disaster". It was organized two of dimensions. One was "stress", and the other was "anarchy", 4) the intervening conditions was "compensation system", 5)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y was "criticism or showing the alternative plan", and 6) the consequence was "adaptation/non-adaptation". Disaster victims were located in the various and difficult situation, so it is necessary that disaster management service should be approached them by men-to-men method.

      • 의료법률 - 야간당직근무 중 교제거부를 이유로 환자에게 살해당한 간호사가 산재급여를 받을 수 있는지 여부

        유현정,Yu, Hyeon-Jeong 대한간호협회 2008 대한간호 Vol.47 No.3

        A는 S병원 간호사로 자신을 포함한 의사와 간호사 4명과 함께 교대로 야간당직업무를 수행해왔으며, B는 2006년 4월경 24일간 S병원에서 입원치료를 받고 퇴원하였습니다. B가 퇴원한지 5일째 되던 날 23시 10분경 A는 병원에 혼자 남아 야간당직근무를 하다가 외부인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해 1층 출입문을 폐쇄하였는데, 미리 병원에 침입하여 2층 화장실에 숨어 있다가 1층 출입문을 닫는 소리를 듣고 접근한 B에게 칼로 위협을 당해 지하 물리치료실로 끌려 내려가 소리를 지르며 저항하다가 결국 살해당하였습니다. B는 경찰에서 강도 목적으로 병원에 침입하여 A를 살해하게 되었다고 진술하였다가 검찰에서 입원치료를 받을 당시 A에 대하여 연정을 품고 있었는데 A가 자신의 교제요구를 거부하여 살해한 것이라고 진술을 번복하였고, 살인죄로 기소되어 징역 15년을 선고받아 그 판결이 확정되었습니다. A의 유족은 A가 업무상 재해로 사망하였다고 주장하며 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 유족보상금과 장의비 지급을 청구하였으나 근로복지공단의 부지급결정처분을 받고 이에 대한 취소소송을 제기하였습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