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형용사에 결합된 어미 ‘-게’ 연구

        유현경 한글학회 2006 한글 Vol.- No.273

        A Study on ‘-ke’ combined with Adjectives in KoreanYoo Hyun-kyungThis article is concerned with investigating the syntactical characteristic and the category of adverbial ending ‘-ke’ which is combined with adjectives in Korean.I classify ‘-ke’ combined with adjectives into two: pseudo- affix and adverbial clausal ending. Pseudo-affix ‘-ke’ functions like a derivative adverb in a sentence. Adverbial clausal ending ‘-ke’ functions obligatorily in small clauses or optionally in a sentence. ‘Ke’-adverbial clauses with adjectives are non-finite clauses. On the contrary ‘Ke’-adverbial clauses with verbs are finite clauses. Finite clauses are clauses with predicates that are tensed, non-finite clauses are clauses having neither tense nor modality. Pseudo-affix ‘-ke’ is a variation of inflection through the change of meaning. These characteristics of ‘-ke’ is due to the meaning of adjectives [+stative] and the meaning of ‘-ke’ [+result]. In conclusion, the proper syntactic treatment of ending ‘-ke’ remains a matter of considerable debate and complexity, but it seems to be desirable that we should regard ‘-ke’ as a polyse mous item not a homonymy. 이 글은 형용사에 결합된 어미 ‘-게’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어미 ‘-게’에 형용사가 결합하는 경우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하나는 파생접사적 성격을 가지고 문장에서 하나의 어휘처럼 쓰이는 경우이고, 또 다른 하나는 부사절로 쓰이는 경우이다. 부사절로 쓰이는 형용사 결합 ‘-게’ 구성은 소절 구성에서 필수적으로 나타나는 부류와 일반적인 문장에서 수의적으로 나오는 경우의 둘로 나눌 수 있다. 형용사 ‘-게’ 부사절은 필수적으로 쓰이는 경우와 수의적인 경우가 크게 다르지 않고, 다만 주절의 서술어에 따라 ‘-게’ 부사절의 특성이 달라지는 것으로 보았다. 동사에 결합되는 ‘-게’ 부사절은 선어말어미가 나올 수 있어 정형절이라고 할 수 있는 반면, 형용사 결합 ‘-게’ 절은 선어말어미가 결합될 수 없는 비정형절이다. 파생접사적 성격을 갖는 ‘-게’ 구성은 완전히 부사로 파생된 어휘로 볼 수 없으며 형용사의 의미전이에 의한 활용형의 변이라고 할 수 있다. 형용사에 결합된 ‘-게’ 구성이 동사에 결합된 ‘-게’ 구성과 대비하여 가지는 여러 가지 특이 현상은 결국 어미 ‘-게’의 문제라기보다 형용사의 의미적 속성이 ‘-게’의 결과적 의미와 만났기 때문이며, 결국 어미 ‘-게’는 동사와 결합된 경우나 형용사와 결합된 경우에 동형어적인 요소가 아니라 다의적인 측면에서 보아야 할 것이다.

      • KCI등재

        MICE 목적지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반응 세분화에 따른 태도, 경험가치 및 충성도 차이 연구: 외국인 참가자 중심으로

        유현경,김은진,윤유식 관광경영학회 2020 관광경영연구 Vol.9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gment cognitive responses toward MICE destination marketing communications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among segmented groups in terms of MICE destination attitude, experiential value, and loyalty. From the literature review, the measurement of cognitive responses of marketing communications was developed and employed 12 important attributes. The on-site survey was conducted at COEX and respondents who had experienced marketing communications of MICE destination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the research survey. A total of 320 samples were used for the analyses. Factor and cluster analyses with cognitive responses toward marketing communications were conducted and found three underlying dimensions of cognitive responses (recognition, informativeness, and recall) and three different segmented groups (high, moderate, and low cognitive response groups). MANOVA analysis reveal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segmented groups. The group that highly responds to marketing communications showed the most favorable attitude, experiential value, and loyalty toward MICE destination, whereas low responding group showed the least favorable attitude, experiential value, and loyalty towards MICE destination. These result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marketing communications in promoting MICE destination. More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the conclusion.

      • KCI등재

        ‘속’과 ‘안’의 의미 연구

        유현경 한글학회 2007 한글 Vol.- No.276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emantic and syntagmatic information of ‘sok’ and ‘an’ based on corpus evidence. It is especialy difficult to explain the subtle differences between usages of individual words. Therefore it is useful to apply learner's dictionary as a supplementary device for effective vocabulary learning. Current Korean dictionaries, however, do not provide sufficient information regarding distinctive features of the synonyms. Each sense of a word can be associated with different context. Different semantic relationships and word associations can also be learned from contexts. Dealing such kind of lexical information would be quite meaningful for Korean language leaners. In this study, we categorize semantic features and contexts of two synonymous words ‘sok’ and ‘an’ based on examples collected from a corpus. 이 글은 말뭉치 용례 분석을 기반으로 하여 ‘속’과 ‘안’의 결합 관계와 의미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속’과 ‘안’은 부분 중첩 관계에 있는 유의어 쌍이다. 먼저 ‘속’과 ‘안’의 결합 관계 즉, 선행 요소와 후행 요소를 분석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속’과 ‘안’의 의미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속’과 ‘안’은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의미도 있으며 각각의 어휘가 독자적으로 가지는 의미 영역도 있다. ‘속’과 ‘안’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의미는 ‘어떤 물체의 둘레로 싸인 가운데 공간’이다. ‘속’의 기본적 의미는 부피가 있는 물체의 둘레 가운데 부분을 가리키는 것이다. ‘속’은 ‘어떤 상태나 상황이 지속되는 가운데’의 의미도 가지고 있다. ‘안’은 ‘한계 지정’을 기본적인 의미로 하고 있다. ‘안’의 ‘한계 지정’의 의미는 ‘속’과 달리 ‘안’을 시간적 범위를 한정할 때 쓰일 수 있게 한다. ‘속’은 부피가 전제되고 ‘안’은 넓이가 전제되는 차이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속’과 ‘안’의 결합 관계와 의미에 대한 분석 결과는 어휘 교육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어 문법 형태 습득 연구의 쟁점들 - 장경희 밖에(2015)를 중심으로 -

        유현경,송현주 형태론 2020 형태론 Vol.22 No.2

        The current paper presents a critical review of a book by Chang et al. (2015). The authors of Chang et al. (2015) established a corpus on Korean children’s spoken communication and produced 14 papers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grammatical morphology and syntactic structures. This review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of Chang et al. (2015) for the process of Korean morphology acquisition. First, we examined how Chang et al. (2015) provides different perspectives of theoretical issues on Korean grammar. Second, we examined whether the data on the onset and order of Korean morphology acquisition provides some evidence on the innate nature of language acquisition an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thinking. Finally, we discussed how remaining questions from Chang et al. (2015) suggest fruitful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이 글은 장경희 밖에 『취학 전 아동의 문법 능력 발달』(2015)를 대상으로 한 서평 논문이다. 장경희 밖에(2015)는 아동들의 언어 습득 과정을 관찰하여 수집한 자료를 말뭉치로 구축하고 이를 문법 형태의 발달과 문법 범주의 발달, 문장 구성의 발달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본 연구이다. 본고에서는 문법론적 관점과 언어 습득론적 관점에서 장경희 밖에(2015)의 한국어 문법 형태의 습득 과정과 습득 순서에 대한 기술을 검토하였다. 문법론적 측면에서는 장경희 밖에(2015)의 문법 형태 습득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어미나 조사 등 문법 형태와 연관된 한국어 문법 연구의 쟁점을 재해석해 볼 수 있었다. 언어 습득론 측면에서는 한국어의 문법 형태가 언어 발달 초기부터 출현하고 비록 문법 형태의 발달 과정에서 아동들 간에 상당한 동질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전제로 언어 습득의 생득론적 기반과 언어와 사고의 관계에 대한 쟁점을 논의하였다. 이를 통하여 본고에서는 장경희 밖에(2015)의 문법론적, 언어 습득론적 의의를 기술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후보

        어미 '-다고'의 의미와 용법

        유현경 배달말학회 2002 배달말 Vol.31 No.-

        어미 '-다고'는 부사형 어미로서, 문장 내에서 서술어의 의미구조에 따라 선택되는 필수적 부사절을 이끌거나 때로는 부가어의 자리에서 원인을 나타내기도 하며, 종결어미처럼 쓰이기도 한다. '-다고'의 다양한 의미는 [정보전달]이라는 기본 의미가 앞뒤 문맥에 따라 구체적으로 실현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기존의 국어 문법의 복합문 체계 안에, 명사절, 부사절, 관형사절 이외에 특수한 내포절로 인용절을 설정한 것은 간접인용의 '-다고, -라고, -냐고, -자고'를 올바로 설명하지 못한 결과이다. 간접인용의 '-다고'를 부사형 어미의 일종으로 범주화하면, 내포절의 체계 안에 인용절을 따로 설정할 필요가 없어진다.

      • KCI등재

        Conceptualization of the Individual as a Modern Subject in Korea: Analysis of Co-occurrence Relations

        유현경,안예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12 Korea Journal Vol.52 No.4

        This article examines the conceptual development of gaein (individual) as a modern subject in Korea in the late nineteenth and early twentieth century. It utilizes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in order to analyze two different corpora: academic journal corpus (1896-1909) and Gaebyeok (Genesis) corpus (1920-1926). For this purpose, it focuses on the co-occurrence relations of gaein and other concepts, and builds a list of words that were frequently used near gaein in sentences. In addition, we have investigated in what context and for what reason the co-occurrences changed, and to what degree. By doing this, we found that the co-occurring rate of gaein with “state,” “law,” and “people,” decreased after the annexation of Korea by Japan, whereas the co-occurring rate with “society,” “nation,” “organization,” and “freedom” increased. We were able to conclude that while gaein was considered a member of a state in the enlightenment period, it developed into an economic and sociocultural subject in the 1920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