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20년대 경성(京城)의 역사(歷史)/인문자원(人文資源) 아카이브 구축(構築)의 사례(事例) -『경성백승(京城百勝)』을 중심으로-

        유춘동(兪春東) ( Yoo Choon-dong ),오영식(吳榮植) ( Oh Young-sik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0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8 No.4

        『경성백승』은 1924년 6월 25일부터 8월 16일까지 <東亞日報> 문화면에 게재되었던 ‘一百洞町, 一百名物, 내 동리 名物’ 연재물을 재정리하여, 1929년 10월에 동아일보사 출판부에서 단행본으로 출간한 것이다. 1910년에서부터 1920년대 사이에는 朝鮮半島 전역을 다룬 案內書나, 국내주요 도시의 도시 안내서가 많이 출간되었다. 특히 경성의 지역 안내서는 타 도시와 비교해 볼 때 압도적으로 많았는데, 『경성백승』은 이 책들과 여러 면에서 차이가 있다. 이 책은 발간 및 기획주체가 宋鎭禹, 洪命熹, 鄭寅普 등의 민족지도자가 참여했고, 무엇보다 경성의 역사/인문자원의 원고를 당시 경성에 거주하면서 동아일보를 구독했던 독자들이 작성했다는 점에서 구분된다. 즉, 『경성백승』은 다른 경성 안내서와 다르게 ‘조선인에 의해서, 조선인이 선별한 경성의 주요 역사/인문자원이라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경성백승』의 전반적인 내용과 특성, 이 책에 수록된 1920년대 경성의 역사/인문자원의 아카이브의 특징 및 활용 방안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In this article, we looked at the character of “Gyeongseong Baekseung” published by the Dong-A Ilbo in 1929 and the meaning of this book. This book was published in October 1929 by the Dong-A Ilbo Publishing House, summarizing the series published in the Dong-A Ilbo culture section from June 25 to August 16, 1924 Between 1910 and 1920, guidebooks on the entire Joseon Peninsula and city guides for major cities in Korea, Gyeongseong, Busan, Daegu, Pyongyang and Kaesong, were published in a flurry. Among them, the number of 'regional guides' for Gyeongseong is overwhelming compared to other cities. However, “Gyeongseong Baekseung” differs from these books in many ways. Most of the “Gyeongseong Guidebook” and “Regional Guidebook” published during this period were published by the Governor-General of Joseon or published by related organizations. However, the book was organized by the Dong-A Ilbo, which was recognized as a national newspaper at the time, participated in the publication process by national leaders such as Song Jin-woo, Hong Myung-hee and Jeong In-bo, and most of all, it was written by readers who subscribed to the Dong-A Ilbo while living in Gyeongseong. In other words, “Gyeongseong Baekseung” is distinguished in that it is the main historical/human resources of Gyeongseong selected by the Joseon people, unlike other Gyeongseong guides. This article examines the overall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Gyeongseong Baekseung” with these characteristics, and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1920s Gyeongseong’s historical/human resources archives in the book, and how to study and utilize them in the future, and intends to proceed with the discussion.

      • KCI등재

        완판(完板) 『홍길동전』 원간본(原刊本)의 출현, 그에 따른 판본(板本)과 간행(刊行)의 문제

        유춘동(兪春東) ( Yoo Choon-dong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1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9 No.2

        새로 확인된 完板 『홍길동전』 36장본과 35장본, 경판의 낱장을 통해서, 완판『홍길동전』의 刊行과 流通과 관련된 다음의 문제를 구체적으로 확인했다. 완판 36장본은 完西, 완판 35장본은 完山 坊刻所에서 간행되었다. 두 종의 완판『홍길동전』은 小說 販賣市場에서 競爭을 벌인 결과, 완판 35장본은 退出되었고 완판 36장본이 끝까지 살아남았다. 완판 36장본이 출현한 시기는 1857년, 완판 35장본이 출현한 시기는 1890년경으로 보았다. 1840년대 무렵, 즉 19세기 중반에 간행되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경판『홍길동전』의 行文을 완판『홍길동전』에서 볼 수 있었기 때문이다. 새 자료를 통해서 완판에서만 볼 수 있는 내용이 初期 경판『홍길동전』에서 부터 존재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곧 경쟁에서 死藏된 초기 경판『홍길동전』이 다른 지역으로 넘어가 復活했다는 證據라고도 이야기할 수 있다. 새로 확인된『홍길동전』 資料를 통해서 古小說『홍길동전』 出版을 둘러싼 圖書 市場의 다채로운 모습을 확인했다. 따라서 여러 經路를 통해서 坊刻本 小說이 만들어졌을 可能性을 생각할 필요가 있다. The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of the newly identified Honggildongjeon (洪吉童傳. The Biography of Hong, gildong) was specifically confirmed through the 36 complete editions and 35 complete editions of the “Honggildongjeon” and the editions of the Gyeongpan, respectively. There are four known versions of Honggildongjeon, publish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addition to Wanpanbon(完板), these include the Gyeongpan (京板) edition printed in Seoul, the Anseong edition printed in Anseong, Gyeonggi-do, and the manuscript(安城板). However, the Wanpanbon version of Honggildongjeon, discovered this time, is the first original published in several later books. This is evaluated as evidence that Honggildongjeon was written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was estimated that 36 complete editions appeared in 1857 and 35 complete editions in 1890. This is because the passage of the Gyeongpan “Honggildongjeon”, which is believed to have been published around the 1840s, or in the mid-19th century, was found in the complete version of “Honggildongjeon”. The new data showed that the contents that can only be found on the complete plate existed from the early “Honggildongjeon”. This can be said to be is evidence that the early Gyeongpan “Honggildongjeon”, which was lost in competition, was moved to another area and revived. The newly identified “Honggildongjeon” data showed the diverse appear ance of the book market surrounding the publication of the “Honggildongjeon” by the rumor of the accus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hink about consider the possibility that the novel was created through various channels.

      • KCI등재

        『조선인회사(朝鮮人會社)·대상점사전(大商店辭典)』에 수록된 1920년대 조선의 출판사와 인쇄소의 실태

        유춘동 (兪春東) ( Yoo Choon-dong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9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7 No.2

        이 글은 1927년에 부업세계사에서 간행된 『朝鮮人會社· 大商店辭典』에 수록된 朝鮮 전역의 출판사와 인쇄소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과 운영 실태를 살펴본 것이다. 이 책은 조선을 9개 지역으로 나누어 주요 商業會社와 商店의 각종 정보(대표자, 소재지, 설립내역, 자본금, 주요 생산 품목, 영업 과목) 등을 상세히 기술해 놓았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조선의 주요 출판사 27곳, 인쇄소 9곳에 대한 내용을 수록했다. 『조선인회사 · 대상점사전』을 통해서 사업장의 대표자는 대부분 일본 유학생 내지는 지식인이란 사실을 알 수 있다. 한편 사업장의 소재지는 출판사와 인쇄소의 대부분이 시내 중심가에 위치하고 있었고, 사업장은 당시 5천원에서 10만원 내외의 자금이 소요되었음을 볼 수 있다. 그동안 일제 강점기, 조선의 출판사와 출판물에 대한 연구는 상당한 양이 축적되었지만 경성(서울)에만 국한되었다. 이 책은 일제 강점기, 경성 이외에 조선 전역에 존재했던 출판사와 인쇄소의 실상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자료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overall contents and actual conditions of the publishing houses and printing offices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published in 1927 in the book < The Dictionary of Korean Companies and Stores >. This book divides Joseon into nine regions and details various information (representatives, location, establishment details, capital, major production items, and business subjects) of major commercial companies and stores. In this process, 27 major publishing companies of Joseon, 9 printing places were recorded. Through the < The Dictionary of Korean Companies and Stores >, many of the representatives of the workplaces are self-made, but most of them are Japanese international students or intellectuals. Most of the publishing houses and printing offices were located in the city center. At that time, the company spent around KRW 100,000 to KRW 100,000. In addition, through the photographs in this book, I was able to find out the aspect of the publishing house and the print shop. In the meantime, a considerable amount of research on the publishing companies and publications of Jose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accumulated. However, it was confined to Kyungsung(Seoul). This book is the most important data in that it shows the facts of publishers and print shops that existed throughout Korea during the colonial rule of Korea and Kyungsung. The ultimate goal of this work is to restore the reality of Joseon publishing, printing, and book market and reading market in the 1920s. Subsequent research will complement the insignificant aspects of this article.

      • KCI등재
      • KCI등재

        『왕씨정의록』의 성격과 서사적 특성에 대한 연구

        유춘동(Yoo, Choon-Dong) 우리문학회 2019 우리文學硏究 Vol.0 No.64

        『왕씨정의록』은 중국 당(唐)나라 현종(玄宗)에서 숙종(肅宗) 시대를 배경으로, 왕씨집안의 조부(祖父) ‘왕경과 부인 정씨’의 이야기, 자식 내외인 ‘성국과 노씨 부부’, ‘안국과 남씨 부부’의 이야기, 손자(孫子)인 ‘용봉과 설소저와 홍소저’의 결연(結緣), 용봉이 ‘안록산(安祿山)의 난’을 진압하고 입공(入功)하는 내용을 다룬 한글 필사본 고소설이다. 『왕씨정의록』의 서사 구조는 크게 네 단락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단락은 ‘왕경과 부인 정씨’를 중심으로 간신의 참소로 귀양을 떠나 죽음을 맞는 ‘왕경’, 남편을 따라 투신하는 ‘정씨부인’의 이야기까지이다. 둘째 단락은 ‘성국과 노씨 부부’, ‘안국과 남씨 부부’를 중심으로, 남씨 부인이 노씨의 모함을 받아 집을 떠나 수월암에서 기거하며 시어머니를 만나고 자식까지 출산하는 이야기까지이다. 셋째 단락은 ‘용봉의 수학-결연-입공 과정’을 통해 용봉이 두 아내를 얻고 관직에 오른다는 이야기까지이다. 넷째 단락은 용봉이 안록산의 난에 출전하여 적들을 진압하고 귀환한다는 이야기까지이다. 이 소설은 복잡해 보이지만 집안에 모든 우환(憂患)을 손자 ‘용봉’이 해결하고 가문을 부흥한다는 내용이 서사 구조의 핵심이다. 『왕씨정의록』의 서사적 특성은 몇 가지로 구분된다. 위기의 국면마다 초월적 존재가 등장하여 예언을 주거나 도움을 주어 해결한다는 점, 작품 속의 여성 등장인물들이 위기마다 적극적으로 대처한다는 점, 용봉의 결연 과정에서 남녀가 주고받는 신물(信物)의 교환이 특이하다는 점, 역사적 사건인 ‘안록산의 난’을 서사 진행에 교묘히 교직(交織)하여 서술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제문(祭文)’, ‘서간문(書簡文)’ 등이 이야기의 서술보다 자세히 기술되는 점이 이 작품이 지닌 특성이다. 『왕씨정의록』은 내용을 볼 때, 『금향정기』와 『홍백화전』의 영향을 받아서 만들어진 작품으로 보인다. 이 과정에서 기존 소설의 내용을 차용하면서, 기존 소설에서 다루지 못했던 부분을 보완하며 만들었다. 이처럼 기존 소설의 유형을 활용하여, 새로운 한 편의 소설로 만들었다는 점에서 『왕씨정의록』은 문학사적으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Set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Tang dynasty in China, Wangssijeongeuilok is a classic Korean novel about the events and accidents that occurred in Wang"s family.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novel is divided into four. The first paragraph is the story of Wangkyung, who dies after returning home from death, and his wife, who works with her husband. The second paragraph focuses on two couples, Sungguk and Roh and Anguk and Nam. Mrs. Nam"s wife leaves Roh"s house, lives in Suwolam, meets his mother-in-law, and gives birth to her children. The third paragraph tells us that Yongbong overcame hardship and adversity, gains two wives, and takes office. The fourth paragraph is about Yong Bong"s annihilation and the return of his enemies to Anorksan. This novel may seem complicated, but it is a work that focuses on the heroic life of Yongbong. Wangssijeongeuilok has several characteristics in terms of narrative. In each phase of crisis, a divine being appears and solves the crisis through prophecy or help, the female characters in the book actively cope with the crisis, exchange of new things in the process of Yongbong"s relationship, and greet two wives. The narrative characteristic of this novel is that the scenes contain unusual imagery, and it describes how the “Anorksan"s Rebellion” is artfully taught in the narrative process. Wangssijeongeuilok is regarded as a work made under the influence of Geumhyang Junggi, which shows that the novel was produced at the end of th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reaffirming the revitalization of the novel at this time. In this sense, Wangssijeongeuilo is meaningful in literary history.

      • KCI등재후보

        『조선말 큰사전』에 수록된 고소설 항목과 표제어의 의미

        유춘동(Yoo, Choon-dong) 근대서지학회 2021 근대서지 Vol.- No.23

        이 글은 『조선말 큰사전』에 수록된 고소설 어휘의 전반적인 실태를 살펴봄으로써, 당대 사전 편찬자들이 지니고 있었던 ‘고소설’에 대한 인식, 사전 편찬 당시의 ‘고소설의 위상’ 등을 살펴본 것이다. 『조선말 큰사전』에서 가장 아쉬운 대목은 고소설의 중요한 작품이 대부분 등재되지 못했다는 점이다. 고소설의 대표적인 작품이라 할 수 있는 『홍길동전』,『소대성전』, 『유충렬전』, 『조웅전』, 『숙향전』, 『숙영낭자전』 등은 이 사전에서는 볼 수 없다. 이는 중국소설 『삼국지연의』를 표제어로 제시한 것이나 심지어 이 소설에 등장하는 주인공 관우나 장비를 소개한 것과는 상반된 모습이다. 1920∼30년대에는 고소설 연구서로서 안확(安廓)의 『조선문학사』, 김태준의 『조선소설사』 등이 간행되었다. 그리고 이 책에 수록된 내용은 당시 여러 매체를 통해서 공간(公刊)되기도 했다. 그러나 『조선말 큰사전』 에는 이러한 연구 성과가 제대로 반영되지 못했다. 그러나 이것은 사전 편찬자만의 문제는 아니다. 고소설과 관련된 중요한 어휘나 항목이 ‘사전’에 수록되기 위해서는 고소설의 의미, 한글소설이 지닌 함의를 적극적으로 알리는 고소설 연구자들의 역할도 필요하다. 『조선말 큰사전』의 아쉬움은 그런 사실을 일깨워주는 중요한 결과물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overall status of the high-profile vocabulary in the “Joseonmal Keun Sajeon,” which examines the perception of “Old Novels” held by dictionaries of the time, and the “Topology of Old Novels” at the time of dictionary compilation. The most regrettable part of the “Joseonmal Keun Sajeon” is that most of the important works of Gososeol were not registered. Hong Gil-dong, Sodae-seongjeon, Yoo Chung-ryul, Jo Woong-jeon, Sukhyang-jeon, and Sukyeong Nang-jajeon, which are the representative works of Goso theory, are not available in this dictionary. This is contrary to the Chinese novel titled “The Three Kingdoms of the Three Kingdoms” and even the introduction of the main characters of the novel, Guanyu and Equipment. In the 1930s and 1940s, “The History of Joseon Literature” by An Hwak(安廓) and “The History of Joseon Novels” by Kim Tae-jun(金台俊) were published. The contents of the book were then shared by various media outlets. However, the “Joseonmal Keun Sajeon” did not reflect this and published the dictionary. But this is not just a matter for the lexicographer. In order for important vocabulary or items related to the complaint to be included in the dictionary, it is not only a matter for the lexicographer, but also the role of the complaint researchers to actively inform the meaning of the complaint and the implications of the Korean novel. The regret of the “Joseonmal Keun Sajeon” is an important reminder of this fact.

      • KCI등재

        근대 초기에 해외로 반출된 고소설의 문제

        유춘동(Yoo, Choon-Dong)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코기토 Vol.- No.77

        이 글은 근대 초기에 해외로 반출된 우리나라의 전적(典籍)이나 고소설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면서 확인한 사실이나 이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를 다룬 것이다. 조선의 문호가 외국에 개방되면서 이 땅에 수많은 외국인들이 들어왔다. 이들 중에는 특별히 우리나라 전적에 관심을 갖고 체계적으로 수집했던 사람들이 많았다. 이러한 전적들은 외국인이 자국으로 귀국하면서 함께 반출되었다. 현재 확인된 전적은 12개국 139개 기관에 이르지만 이보다 더 많은 곳에 우리나라의 전적이 존재할 것으로 추정된다. 그동안 해외로 반출된 전적들을 발굴하거나 이에 대한 의미 부여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했다. 최근 이 문제를 인식하고 국가 기관의 주도로 조사가 진행되고 있다. 이 작업에서 아쉬운 점은 고소설이 대부분 제외되어 왔다는 것이다. 조사를 마쳤다고 공표된 해외 기관이나 대학에 가보면 작업에서 제외된 많은 수의 고소설을 볼 수 있다. 이 자료는 고소설의 유통 문제를 규명해 볼 수 있는 정보나 원 소장자(수집가)의 수집 과정을 알 수 있는 정황을 담고 있다. 따라서 해외 기관에 소장되어 있는 전적을 조사할 때 반드시 고소설을 포함시켜 조사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 언급한 것은 일본 교토대학, 동경대학, 러시아 국립대학과 동방학연구소, 영국 캠브리지, 런던 SOAS 대학에 소장되어 있는 고소설이다. 이 곳을 대상으로 그간 조사 과정에서의 부족한 점, 기관의 특징 등을 다루었다. 그리고 마지막에는 런던 SOAS 대학에 소장되어 있는 고소설 서지목록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al with things that became known in the course of examination on old novel or books taken out of the country at early modern times as well as several problems related to this. Many foreigners came into Korea as door of Joseon opened to foreign countries. Among them, there were many foreigners who were deeply interested in Korea in particular and collected information systematically. Such books of Korea were taken out of Korea as those foreigners returned home. Those books have been found in 139 institutions of 12 countries up to now. However, they are estimated to be housed in more locations. Up to now, such books taken out of the country have not been identified or almost no meaning has been granted on this. Only recently, such problems began to be recognized and systematic examination has been performed, under the initiative of the government. What is missing is that old novels were excluded from examination since it focused on book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It is important in that it shows circumstance why such original possessors (collectors) collected such books, or information that clarified distribution problem of old novels. Accordingly, it is required to include old novel and to carry out more detailed examination when examining the books possessed at overseas institutions. This study will examine present status and problems of old novels, and explore old novels possessed at Kyoto University, Tokyo University of Japan, Russia National University, East study research center, Cambridge University of UK and London SOAS University requiring detailed discussion in the future.

      • KCI등재

        「황비호실기(黃飛虎實記)」를 통해 본 「봉신연의(封神演義)」의 유통 문제

        유춘동(Yoo, Choondong) 중앙어문학회 2021 語文論集 Vol.85 No.-

        「황비호실기」는 중국소설 「봉신연의」의 전체 내용 중에서, 30회부터 34회까지의 내용만을 발췌하여 단행본의 형태로 1932년에 간행한 것이다. 「황비호실기」의 본문은 장회(章回)의 구분 없이 내용만 기술되어 있다. 번역은 「봉신연의」의 축자역(逐字譯)은 아니지만 원전에 최대한 가깝게 내용을 실었고, 이해가 어려운 부분은 의역(意譯)을 해놓았다. 따라서 「황비호실기」는 「봉신연의」에 가까운 번역/번안본(飜案本)이라고 할 수 있다. 「황비호실기」는 「봉신연의」가 국내로 수용되고 번역되어 읽힐 때, 「서주연의(西周演義)」와 다른 경로로 번역되고 유통되었던 「봉신연의」의 존재를 짐작케 해준다. 이는 「봉신지(封神誌)」를 비롯한 번역본을 통해서도 확인된다. 「황비호실기」의 존재를 통해, 「봉신연의」는 당대 고소설의 출판시장, 독자들의 성향, 구활자본 고소설 출판의 전략 등과 맞물려, 「소달기전」, 「강태공전」, 「황비호실기」로 분화(分化)/분권(分卷) 되어 출간되었음을 알 수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blems of the Korean translation of the Chinese novel Fengshenyanyi (封神演義) through the Chinese novel Hwangbiho Silgi (黃飛虎實記). Hwangbiho Silgi was published in 1932 with only 30 to 34 parts of the Chinese novel Fengshenyanyi. The text contains only the content regardless of the chapter and is divided into ten paragraphs. In terms of the translation, Fengshenyanyi was not translated as it is, but the contents were translated as close to the original as possible, and the parts that were difficult to understand were loosely translated. Therefore, Hwangbiho Silgi is a relatively original translation/translation, and demonstrates that when Fengshenyanyi was accepted and translated in the Chosun Dynasty era, it was translated differently than Seojuyeonui (西周演義). This is also evident in various other translations, including Bongsinji (封神誌). Therefore, Fengshenyanyi indicates that there were several translations in the domestic book market. By confirming the Hwangbiho Silgi translation, this analysis demonstrates how Fengshenyanyi was read in the classical novel market and published as Sodal Gijeon, Gangtae Gongjeon, and Hwangbiho Silgi.

      • KCI등재
      • KCI등재

        구활자본 고소설의 출판과 유통에 대한 몇 가지 문제들 -원고/저본, 저작권, 판권지, 광고, 서적목록을 중심으로

        유춘동 ( Choon Dong Yoo ) 한민족문화학회 2015 한민족문화연구 Vol.50 No.-

        This study has looked into several issues with regards to old printed classical novels, including manuscript/original script issue in publishing(producing) old printed classical novels, copyrights of old printed classical novels and issues in distribution such as ads by publisher and library catalog. First, I have stressed again that each publish has utilized the manuscript of a book for lending to create a manuscript/original script required for publication in the process of publishing old printed classical novels. Next, I mentioned issues relating to authors, copyrights and publication rights of old printed classical novels. It was a general view that old printed classical novels are considered to have no copyrights and/or publication rights but the catalog of books published by Gwanghan Bookstore has identified a new possibility about this issue. It was difficult to pinpoint the original authors of classical novels in the first place but it has been found that the very first author and publisher of the first edition, at least, had a certain extent of rights and that there were a climate where these were clearly stated. Finally, I have noted a variety of ads and distribution methods that were printed on the opening and ending pages of a book and on the printer`s imprint. Publishers introduced a variety of differentiated advertisements using the opening and ending pages of a book as well as on the printer`s imprint. In addition to this, publishers and distributors located in local province as mentioned on the printer`s imprint were also mentioned. I hope this discussion will further advance the debate on the characteristics of old printed classical novels in the ‘commercial publication classical novels’ mark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