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GVC가 경제성과에 미치는 영향

        유진만,곽지훈 한국전문경영인학회 2023 專門經營人硏究 Vol.26 No.1

        The impacts of GVC(Gloval Value Chain) on economic performance are decreasing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7, Korean economy which has developed by active GVC participation, could be highly influenced by this change. This study compares productivity,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GVC participation etc. among major countries and analyzes how GVC participation affects economic performances. We show that OECD and high-income countries have high productivity and technology, and a comparative advantage in all industries except low-level industry. In case of GVC participation by technology level, forward participation is higher in high and mid-high industries; backword participation is higher in mid-low and low industries. In addition, we find that GVC participation has positive impacts on productivity, total and value-added exports. Particularly forward participation of high and high-mid industries, and backward participation of mid-low and low industries play a role in productivity improvement. Therefore, Korea is required active GVC particip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pecially in need of high forward GVC participation of high and mid-high industries for productivity improvement.

      • KCI등재

        GVC 패러다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방안

        유진만,성봉석 한국전문경영인학회 2023 專門經營人硏究 Vol.26 No.3

        본 연구에서는 중국, 프랑스, 독일, 일본, 한국, 미국의 패널데이터를 이용하여 가공단계 와 기술수준에 따라 수출 구조가 어떻게 형성되는지 분석하였다. 주요국의 대세계와 대중 국 패러다임 변화에 대한 분석결과, 기술수준이 높은(고위) 산업에서 중국의 약진이 눈에 띄고, 미국의 브랜드가치가 다른 주요국에 비해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게다가 패널데이터 분석결과, 브랜드가치는 주요국의 대세계 및 대중국 수출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특허고급화지수의 경우 대중국 수출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의 기업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글로벌 시장 진출과 수출 증대를 위해서는 브랜드가치를 높여야 한다. 둘째, 글로벌 시장에서 수출상품의 고급화와 GVC 전방참여를 높여야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export structure is formed by processing stages and technology levels using panel data for China, France, Germany, Japa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he analysis results of the paradigm shift of each country’s export to the world and China indicate that China is apparent in high-tech industries and that the brand power of the United States is relatively much higher compared to other countries. The empirical test results of panel data also demonstrates, that brand power is a crucial driving force behind their exports to the world and China in most countries and that patent sophistication index has a positive effect on their exports to China in most countr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Korean companies should make a great deal of effort to enhance brand power. Korean firms should further ameliorate the sophistication of their exports and expend a great deal of effort trying to increase the share of forward GVC participation.

      • KCI등재

        한국 부가가치 무역의 분석 - 서비스산업을 중심으로 -

        유진만 한국무역보험학회 2019 무역금융보험연구 Vol.20 No.4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산업을 보다 실용적인 체계로 분류하였고, TSI, RCA, F&H 등을 이용하여 주요국의 서비스산업 국제경쟁력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고급화지수, 서비스무역제한지수 등을 이용하여 서비스무역 결정요인을 도출하였다. 2005~2014년까지 WIOD 데이터를 이용하여 한국과 교역액이 많은 주요국의 국제경쟁력을 분석한 결과 EU, 미국 등 주로 선진국들의 서비스 수출액이 높았고, TSI, RCA, F&H 모두 비교우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wan의 방법론으로 고급화지수를 계산하여 수출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고급화지수는 전체 산업, 제조업, 서비스산업 모두에 (+) 영향을 미쳤으며, 서비스유형별 분석에서도 유통, 생산자, 사회, 개인 서비스 모두에 (+)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경기침체의 위기에 놓여있는 한국이 앞으로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하기 위해서는 서비스업의 비중을 높이는 방향으로 산업구조를 재편해야하고, 서비스업의 고급화를 위한 방안을 강구해야한다는 시사점을 준다. This study classified the service industry more practical and conducted comparative analysis for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major service industries using TSI, RCA, F & H, and so on. In addition, the determinants of service trade were derived using the Country Sophistication Index and the Service Trade Restrictiveness Index.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the major countries which occupy high trade volume with Korea using WIOD data from 2005 to 2014, this study found that export volume of service of the advanced countries such as EU, the United States, and so forth is larger and TSI, RCA and F&H indicated that it has comparative advantage.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effect on export calculating Country Sophistication Index through Kwan's methodology. According to the results, Country Sophistication Index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overall industry,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This study has some implications; First, Korea in a economic crisis should restructure the industrial structure into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the service industry in order to achieve sustainable economic growth in the future.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counter-measures for the Sophistication of service industry.

      • KCI등재

        수입국 정부정책의 강도와 FTA 투자규정이 한국 세부 신재생에너지산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

        유진만 한국무역보험학회 2019 무역금융보험연구 Vol.20 No.1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the support policy strength, CPSI and FTA investment regulations on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Korea's new-renewable energy industry using the frequency index and the Sophistication Index measurements. As a result, the strength of the support policy and the Country Patent Sophistication Index of the importing country affected negatively(-) on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Korea. The cross term of the FTA investment regulation and the strength of the support policy of the importing countr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ountries with a high export proportion of the final goods. These results provid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 government should expand its support policy for the new-renewable energy industry, and strengthen its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through continuous technological innovation. Moreover, when FTA is concluded in the near future, a negotiation strategy should be prepared in accordance with Korea’s industry-specific trade structure and the characteristics of exporting countries. 본 연구에서는 빈도지수와 고급화지수 측정 방법을 이용하여 수입국의 지원정책 강도, 특허 고급화지수(CPSI) 그리고 FTA 투자규정이 한국 신재생에너지산업 국제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수입국의 지원정책 강도와 국가 특허 고급화지수는 한국의 국제경쟁력에 (-) 영향을 미쳤으며, FTA 투자규정과 수입국 지원정책 강도의 교차항은 최종재 수출 비중이 높은 국가에 (+)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먼저 정부의 신재생에너지산업 지원정책을 확대하고, 기술혁신을 지속하여 국제경쟁력을 더욱 늘려야한다. 또한 향후 FTA 체결시에는 한국의 산업별 무역구조와 수출 대상국의 특성에 맞는 협상전략을 수립해야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우리나라 교육 승인통계에 대한 평가와 향후 과제

        유진은(兪鎭銀)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아시아교육연구 Vol.16 No.2

        우리나라 교육 승인통계는 1963년 이래로 초·중등교육, 사교육, 고등교육, 평생교육 등을 포괄하며, 학생, 교원, 학부모, 관련 직원들의 실태조사, 의식조사 등을 망라하며 발전해오고 있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UIS 교육통계를 중심으로 우리 교육 승인통계를 평가하고, 교육정책 수립을 위한 앞으로의 교육 통계조사의 발전방향을 논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교육 승인통계의 시기별 변천사를 알아보고, 총 73종의 교육 승인통계 중 59건을 기본통계, 초중등교육, 사교육, 고등교육, 평생교육의 다섯 가지 범주로 분류하였다. 다음으로 유네스코의 UIS 교육통계의 범주화, 분류체계, 방법론적 특징 등을 고찰하였다. UIS 교육통계에 비추어 볼 때, 우리나라 교육 승인통계는 상대적으로 유아교육이 간과되는 반면 사교육이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는 특징이 있으며, 각 통계에 대한 방법론을 상세하게 문서화하여 제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총 73건의 우리나라 교육 승인통계를 평가하는 최초의 연구로, UIS 교육통계와의 비교를 통하여 우리나라 교육 승인통계의 향후 과제를 논하였다. Since 1963, Korea approved statistics of education have been conducting facts and/or perceptions surveys to students, teachers, and administrators, among others, in all possible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Korea approved statistics of education and to provide suggestions for future planning and practices of Korea approved statistics of education. Korea approved statistics of education were grouped in categories, and compared with the UIS(UNESCO Institute for Statistics) statistics, in terms of data collection methods, statistics categorization, and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A total of 73 Korea approved statistics of education were examined, and 59 of them were categorized as the five groups: Basic, Elementary and Secondary, Private Tutoring, Higher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Statistics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are lacking, and the Private Tutoring category stands out, compared with UIS statistics. Documentation efforts on detailed methodology need to be furthered. This study is the first one on the 73 Korea approved statistics of education, and discussed suggestions to improve the Korea approved statistics of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