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말 기호학계와 심설논쟁 -기호학계의 상황과 심설논쟁의 전개양상을 중심으로-

        유지웅 ( Yoo Jiwoong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8 한국 철학논집 Vol.0 No.59

        한말 기호학계는 호락논쟁이 학문 외적인 것으로 변질되고, ‘리무위’, ‘심시기’를 기반으로 하는 전통적 입장과는 다른 다양한 학설들이 크게 호응을 얻게 되면서 학계의 급속한 분열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한말 기호학계 성리학자들은 학계 내부의 갈등을 종식시키려는 동일한 지향점을 가지고 학계를 통합할 수 있는 일련의 노력들을 기울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말 기호학계는 다양한 학문적 입장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자가설을 수립하여 이를 통해 새롭게 문인 집단화 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대표적으로 심주리의 성리설을 제시한 화서, 노사학파 그리고 리무위, 기유위, 성즉리, 심시기의 전통적 입장에 대해서는 동일하게 수용하면서도 미세한 입장 차이를 보였던 간재, 연재, 의당학파가 공존하고 있었다. 그리고 기호학계의 학문적 분화와 학파 분열의 과정을 통해 한말 기호학계를 비롯한 이 시기 성리학계를 특징짓는 심설논쟁이 광범위하게 펼쳐진다. 하지만 끝내 합의되지 않는 서로간의 논쟁 속에서도 이들 모두가 추구한 공통된 가치가 있으니 바로 성리학의 궁극적 목적인 도덕적 이상사회를 건설하는 것이었다. 결과론적으로 본다면 비록 그들이 추구했던 목적은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한말이라는 엄중한 시기에 이러한 요청이 더욱 절실하였음을 그들이 치열하게 펼쳤던 심설논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Kiho Academic in the late Joseon Korea, the negative effect of the Horak debate is amplified and the division within the academic is accelerated. However, the scholars of the Kiho Academic field put forth efforts to unify the academics with the same sense of responsibility to end the schism. Nevertheless, the scholars of the Kiho Academic have shown various differences in the process of accepting Neo-Confucianism, which creates new schools. Therefore, Kiho Academic in the late Joseon Korea coexisted with various schools with different academy positions. Some of the representative groups are Hwaseo, Nosa, Ganjae, Yeonjae, and Uuidang Schools. In addition, through the scholarly differentiation and the school division of the Kiho Academic, the debate on the mind that characterizes Neo-Confucianism of the late Joseon Korea has developed. However, there was a common value that everyone pursued in the middle of the debate: the construction of a moral ideal society, the ultimate goal of Neo-Confucianism. In conclusion, though the purpose they pursued was not fulfilled, it can be seen from the debate on the mind that they fiercely demanded that these requests were urgent in the late Joseon Korea This paper, therefore, the situation of the Kiho academic in the late of Joseon Korea, the problem consciousness of the scholars of the Kiho academic, and the issue and development of debate on the mind.

      • 신입생의 기숙형 대학(Residential College) 생활 지원을 위한 통합 서비스 디자인 연구

        정인혜(Inhye Jung),이설아(Seolah Lee),이세영(Se Young Lee),윤도경(Do Kyung Yoon),유지웅(Jiwoong Yoo),김현경(Hyoun Kyoung Kim),백준상(Joon Sang Baek) 한국HCI학회 2021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신입생의 기숙형 대학(Residential College, 이하 RC) 생활을 지원하는 통합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안하는 것이다. 특히 서비스 이용자인 신입생이 RC 생활을 통해 건강증진 생활습관까지 함양하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두고자 한다. 자아정체감 확립 및 심리·사회적 성장이 촉진되는 초기 성인기에 정착된 건강행동은 개인의 향후 건강행위 및 사회보건 문제와도 연관된다. 그러나 전인적 발달을 목표로 하는 RC 제도에서 지속적인 건강행동에 대한 중재는 아직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단일 사례연구를 통하여 RC 구성원의 요구를 파악하고 기존 서비스를 분석하여 통합 플랫폼 모형을 제시한 다음 MVP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한 서비스개발은 RC 를 구성하는 주체(신입생, Residential Assistant, RC 교육원)의 편의성을 고려하는 한편, 초기 성인기에 진입한 신입생의 균형 잡힌 건강발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기호학파 낙론계 심본선(心本善)의 이론적 구조와 도덕 실천적 의의

        유지웅 ( Yoo¸ Ji-woong ) 한국동서철학회 2020 동서철학연구 Vol.0 No.98

        성리학의 궁극적 목표는 인간 누구나 도덕적으로 완벽한 인격을 갖춘 성인(聖人)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성인의 완성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인간 행위의 주체가 되는 심이 도덕을 실천하는 것과 동시에 악의 원인이 되는 것들을 제거하는 노력을 하는 것이다. 성리학에서 인간의 도덕실천과 수양을 강조하는 것은 인간이 성인과 같은 진정한 도덕주체가 되려는 노력을 통해 모든 인간들을 선에 머물도록 함으로써 도덕적 이상 사회를 구현하려는 목적의식이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17세기부터 19세기까지의 기호학파 낙론계 역시 도덕적 이상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논의를 전개했다. 특히 이 시기에는 미발(未發), 명덕(明德), 허령(虛靈), 지각(知覺)과 같이 심의 구조와 역량을 설명하는 개념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는데, 낙론계는 심에 대한 상세한 논의를 통해 인간이 도덕을 실천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낙론계는 호론과 구별되는 심에 대한 견해인 심본선(心本善)을 주장했다. 성리학에서 인간이 도덕행위를 할 수 있는 근거는 심 안에 도덕원리이자 법칙으로서 성이 내재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이는 성리학자 모두가 승인하는 바이다. 하지만 이이 성리설을 계승하는 낙론계는 성의 실재에 대해 확신을 하면서도 이것만으로는 도덕행위를 온전하게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의식이 있었다. 이이 성리설에서 리는무위, 기는 유위하기에 성은 무위한 것이며, 심은 유위한 것이기에 성은 유위한 심에 의해서만 실현될 수 밖에 없다. 구체적으로, 성이 사단과 같은 구체적인 감정으로 나타나기 위해서는 유위한 심의 매개를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기호학파 낙론계는 도덕실천주체인 심을 통해서도 도덕실천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이 성리설에서 전제하는 ‘심시기’를 낙론계 역시 계승하기에 선악이 혼재되어 있는 기를 통해 구성된 심에서 도덕 가능 근거를 확보하는 것은 쉬운 문제가 아니었다. 기호학파 낙론계는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기본말론(氣本末論)을 통해 심을 구성하고 있는 기를 일반적인 기질과는 차별적으로 이해하여 이론적으로 심 차원에서 도덕실천 가능 근거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이것이 바로 “심은 기이지만, 심을 구성하고 있는 기는 맑고 순수한 것이기에 심의 본래 선하다”는 ‘심본선’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심본선의 이론적 배경과 구조, 그리고 심본선이 가지고 있는 도덕 실천적 의의는 무엇인지에 대해 분석한다. 결국 이 논문은 왜 기호학파 낙론계 성리학자들이 “심은 본래 선하다”고 주장하였는가?에 대한 질문에 대답하고 있다. The aim of Neo-Confucianism is to enable all human beings to become sages with morally perfect characters. To attain this perfect character, human beings need constant moral self-cultivation; namely, they must make efforts to eliminate the causes of evil things. Thus, the moral conduct of human beings is dependent on the degree of their will and effort. Neo-Confucianism emphasizes each individual’s moral practice because they aim to create a morally ideal society. The Nak School (洛學), which ran from the sixteenth to nineteenth centuries, also developed various approaches to create a morally ideal society. Historically speaking, this was the period when scholars had active discussions on concepts closely related to the mind (心), including jigak (知覺, cognition), myeongdeok (明德, bright virtue) and mibal (未發, the unaroused state of the emotions or thoughts). The Nak School aimed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human beings to put morality into practice by having in-depth discussions on the mind. As a result, they suggested a somewhat distinctive idea, “simbonseon” (心本善). Simbonseon means that the original state of the mind is good because it is made up of the pure element of gi (氣), though the mind is itself gi. As noted by the general teachings of Neo-Confucianism, human nature enables human beings to morally behave. However, while the Nak School was certain about the reality of human nature, they did not think that it alone was enough to create a morally ideal society. It is because nature can only be manifested by the mind since nature is non-active. To be more specific, without the mind, nature by itself is insufficient to actualize morality. Thus, the scholars of the Nak School were deeply interested not only in human nature but also in moral characteristics of the mind. They believed that the mind has a special capacity to spiritually perceive objects. They, therefore, aimed to come up with the argument that human beings can morally behave through the mind. However, as followers of Yi I (李珥), they believed that the mind is linked with gi. Therefore, securing a pure and good state of the mind was not an easy achievement. To overcome this problem, they analyzed the mind from various perspectives. In particular, they secured the pure and good realm of the mind based on the roots and branches in gi. As a result, they suggested “simbonseon”, which means “innate goodness of the mind”. Simbonseon is a pure and good state of the mind, where morality could be put into practice. They presented a structure of the mind that enables human beings to put morality into practice. Accordingly, the theory of simbonseon of the Nak School can be evaluated as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he mind linked with gi and providing a moral foundation for human beings in respect of the mind. There has been a wide range of discussions on the Horak (湖洛) debate. Moreover, there were new discussions on Nakron (洛論), motivated by the work on the main figures of the Nak School. However, according to most of the work, Nakron has been understood through the theory of Oeam Yi Kan (巍巖 李柬). What should be noted is that Yi Kan’s Neo-Confucian theory is similar to Nakron, but he is a scholar of the Ho School (湖學), not the Nak School. Therefore, understanding academic characteristics of the Nak School based on the theory of Yi Kan may cause misunderstandings. For example, the ideas of the Nak School can be mistakenly considered to be the same as Oeam’s Neo-Confucian theory. In addition, simbonseon was mentioned several times in the secondary literature on Nakron. However, the structure, the background or the moral meanings of simbonseon has not been fully discussed. Accordingly,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swer questions as follows: Why do Neo-Confucian scholars of the Nak School advocate that the mind is innately go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