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한말 기호학계와 심설논쟁 -기호학계의 상황과 심설논쟁의 전개양상을 중심으로-
유지웅 ( Yoo Jiwoong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8 한국 철학논집 Vol.0 No.59
한말 기호학계는 호락논쟁이 학문 외적인 것으로 변질되고, ‘리무위’, ‘심시기’를 기반으로 하는 전통적 입장과는 다른 다양한 학설들이 크게 호응을 얻게 되면서 학계의 급속한 분열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한말 기호학계 성리학자들은 학계 내부의 갈등을 종식시키려는 동일한 지향점을 가지고 학계를 통합할 수 있는 일련의 노력들을 기울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말 기호학계는 다양한 학문적 입장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자가설을 수립하여 이를 통해 새롭게 문인 집단화 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대표적으로 심주리의 성리설을 제시한 화서, 노사학파 그리고 리무위, 기유위, 성즉리, 심시기의 전통적 입장에 대해서는 동일하게 수용하면서도 미세한 입장 차이를 보였던 간재, 연재, 의당학파가 공존하고 있었다. 그리고 기호학계의 학문적 분화와 학파 분열의 과정을 통해 한말 기호학계를 비롯한 이 시기 성리학계를 특징짓는 심설논쟁이 광범위하게 펼쳐진다. 하지만 끝내 합의되지 않는 서로간의 논쟁 속에서도 이들 모두가 추구한 공통된 가치가 있으니 바로 성리학의 궁극적 목적인 도덕적 이상사회를 건설하는 것이었다. 결과론적으로 본다면 비록 그들이 추구했던 목적은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한말이라는 엄중한 시기에 이러한 요청이 더욱 절실하였음을 그들이 치열하게 펼쳤던 심설논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Kiho Academic in the late Joseon Korea, the negative effect of the Horak debate is amplified and the division within the academic is accelerated. However, the scholars of the Kiho Academic field put forth efforts to unify the academics with the same sense of responsibility to end the schism. Nevertheless, the scholars of the Kiho Academic have shown various differences in the process of accepting Neo-Confucianism, which creates new schools. Therefore, Kiho Academic in the late Joseon Korea coexisted with various schools with different academy positions. Some of the representative groups are Hwaseo, Nosa, Ganjae, Yeonjae, and Uuidang Schools. In addition, through the scholarly differentiation and the school division of the Kiho Academic, the debate on the mind that characterizes Neo-Confucianism of the late Joseon Korea has developed. However, there was a common value that everyone pursued in the middle of the debate: the construction of a moral ideal society, the ultimate goal of Neo-Confucianism. In conclusion, though the purpose they pursued was not fulfilled, it can be seen from the debate on the mind that they fiercely demanded that these requests were urgent in the late Joseon Korea This paper, therefore, the situation of the Kiho academic in the late of Joseon Korea, the problem consciousness of the scholars of the Kiho academic, and the issue and development of debate on the mind.
신입생의 기숙형 대학(Residential College) 생활 지원을 위한 통합 서비스 디자인 연구
정인혜(Inhye Jung),이설아(Seolah Lee),이세영(Se Young Lee),윤도경(Do Kyung Yoon),유지웅(Jiwoong Yoo),김현경(Hyoun Kyoung Kim),백준상(Joon Sang Baek) 한국HCI학회 2021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신입생의 기숙형 대학(Residential College, 이하 RC) 생활을 지원하는 통합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안하는 것이다. 특히 서비스 이용자인 신입생이 RC 생활을 통해 건강증진 생활습관까지 함양하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두고자 한다. 자아정체감 확립 및 심리·사회적 성장이 촉진되는 초기 성인기에 정착된 건강행동은 개인의 향후 건강행위 및 사회보건 문제와도 연관된다. 그러나 전인적 발달을 목표로 하는 RC 제도에서 지속적인 건강행동에 대한 중재는 아직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단일 사례연구를 통하여 RC 구성원의 요구를 파악하고 기존 서비스를 분석하여 통합 플랫폼 모형을 제시한 다음 MVP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한 서비스개발은 RC 를 구성하는 주체(신입생, Residential Assistant, RC 교육원)의 편의성을 고려하는 한편, 초기 성인기에 진입한 신입생의 균형 잡힌 건강발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