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어린이집의 영아를 위한 그림책 읽기 현황과 교사의 인식

        유정(Kong, Yu jung),정가윤(Chung, Kayo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6

        본 연구는 영아를 위한 그림책 읽기 현황과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에 위하고 있는 어린이집의 영아반 교사 466명을 연구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PS 21.0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어린이집 기관 유형 변인과 교사 변인에 따라 x²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영아 그림책 읽기가 매일 이루어진다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기관의 유형의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자유놀이시간에 그림책 읽기가 주로 이루어진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으며 교사 학력과 담당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반복읽기에 있어 영아들이 원할 때까지 그림책을 반복적으로 읽어준다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고 경력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영아 그림책 읽기 목적에 대해 언어 발달 촉진을 위해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기관 유형과 담당 학급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영아 그림책 읽기의 어려움은 영아들의 주의 집중력 유지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기관 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보다 체계적인 교사 교육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 궁극적으로 영아를 위한 그림책 읽기가 현장에서 좀 더 의미 있게 진행될 수 있길 기대한다. The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how infant teachers organized picture-book reading practices in classroom and what was their perception on picture-book reading to infants. The researchers surveyed 466 teachers in infant-toddler classes at day care centers in Seou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The data were represent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were analyzed using x ² in accordance with the types of institution and teacher’s variables like teaching experience, educational levels and ages of infant they were teaching. First, the teachers the most likely to read picture-books to infants everyday,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reading to infants according to the types of institution. Second, most teachers read picture-books to infants during free play time,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ime the teachers read to infants in accordance with education levels and teaching experiences of the teachers. Third, most teachers answered that they read picture-books to infants repetitively as many time as the infants desired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s of repetition of reading depending on the teachers’ teaching experiences. Fourth, the most teachers answered that the purpose of reading picture-books to infants was to promote language development,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urpose of reading to infants in terms of institution types and ages of infants the teachers were teaching. Fifth, the most teachers had difficulty in reading picture-books to infants because infants lost interest easily and had short attention span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ifficulty the teacher felt when they were reading to infants regarding institutional types.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provide a basis for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ultimately allowing infants’ picture-book reading to develop in a more meaningful way.

      • KCI등재

        <장주묘암도(漳州茆庵圖)>에 표현된 영조(英祖)의 통치철학에 관한 연구

        유정(Yujung Kong) 바른역사학술원 2024 역사와융합 Vol.- No.19

        이 논문은 조선의 21대 국왕 영조(英祖, 1694-1776)의 어명으로 1746년에제작된 <장주묘암도>에 관한 연구이다. 이 작품은 어제시(御製詩)에서 주자의 후원과 ‘기수무우(沂水舞雩)’의 깨달음을 그림에 담고자 하였다. 주자의후원에는 ‘홍범구주’를 통한‘황극(皇極)’을 표현하고 묘암에는 주역의괘상을 그렸다. <장주묘암도>는 채색과 묘사가 간결하고 부감시법(俯瞰視法) 을 사용하여 정원의 모습을 공중에서 바라보듯이 표현하고 검박(儉朴)하고간결하게 묘사하였다. 이 연구는 <장주묘암도>의 회화적 특성과 영조의 제작동기인‘홍범구주’와‘황극’,‘기수무우’를 고찰하기로 한다. 주희의정치론에 공감한 영조는 <장주묘암도>에서 표현된‘홍범구주’와‘기수무우’를 통해 그의 통치 철학을 내세우고 내성외왕(內聖外王)의 이상적 통치를 이루고자 한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Jangjumyoamdo’ that was produced in 1746 (the 24th year of King Youngjo’s (1694~1776) rule by his royal command. This anonymous but royal and political painting depicts the backyard of the palace that was described in Sir Hoiam Jangjumyoamdogi. King Youngjo attempted in his royal poem to have Zhūzǐ’s backyard and enlightenment ‘Kisumuwoo’ featured in painting. In Zhūzǐ’s backyard, Hwangkeuk through Hongbeomguju was expressed, while the Goesang of Changes of Book was depicted. ‘Jangjumyoamdo’ features simple coloring and depicting, while using Bugamsibeop to simply and concisely describe the backyard as if it were seen from the air. This study discusses the painting characteristics of ‘Jangjumyoamdo’ and King Youngjo’s motives or ‘Hongbemguju’, ‘Hwangguk’ and ‘Kisumuwoo’. King Youngjo sympathizing with Zhūzǐ’s political doctrine attempted to present his governance philosophy and realize the ideal rule of ‘Naeseongoewang’ (sage inside and king outside) through ‘Hongbeomguju’ and ‘Kisumuwoo’.

      •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 만들기 활동에서 나타난 만 5세 유아의 내러티브 탐구

        유정,김수연,윤소정,허현정 한국질적탐구학회 2015 질적탐구 Vol.1 No.2

        본 연구는 소집단 내에서 글 없는 그림책 읽기활동을 통하여 일어나는 만 5세 유아들의 내러티브를 탐구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만 5세 유아의 글 없는 그림책을 통한 내러티브는 크게 함께 이야기 만들어 가기, 그림책 안에 머물기, 그림책 밖의 세상 끌어오기로 범주화 할 수 있었다. 유아들은 혼자 동화를 읽을 때와는 달리, 함께 이야기 꾸미기를 하며 서로가 서로의 반응을 끌어주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텍스트가 없는 동화책을 가지고 때론 책 속에 나오는 그림 을 있는 그대로 읽어 나가며 이야기를 만들어가기도 하였고 자신들의 경험을 연결시켜 내용을 재구성하기도 하였다. 한편 의성어와 의태어를 사용한 상상적 내러티브를 통해 동화 내용을 더 욱 풍성하게 만들기도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글 없는 그림책 읽기 활동을 계획하는 교사들이 아동들이 소집단 내에서 주고받는 또래 내러티브 활동 경험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데 조금이나 보탬이 되고, 그 의미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ducational aspects of reading picture books and wordless picture books with children in a small group. Based on these educational benefits,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process in which 5-year old children read and comprehend wordless picture books. This study found that the narrative of children when reading wordless books is categorized into three different processes: developing a plot individually, constructing a plot within the book, and, lastly, bringing a plot into the outside world. When children were reading the wordless book together, they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while creating a storyline; on the other hand, when they were reading alone, children did not communicate as much. Additionally, some of the children described a picture in the book and reconstructed a new story, projecting their own experience. Meanwhile, some children added up more plots to a book through an imaginative narrative, using onomatopoeia mimetic words ? words that are formed by imitation of a sound. I expect the study can offer insights for teachers, planning an activity with wordless picture books, to better understand the inner psychological workings in children’s learning, development, and the importance of a cooperative narrative between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