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한 백내장 수술 전후의 황반두께 변화

        유재호,김수영,이승욱,이상준.Jae Ho Yoo. MD. Soo Young Kim. MD. Seung Uk Lee. MD. Sang Joon Lee. MD 대한안과학회 2012 대한안과학회지 Vol.53 No.2

        Purpose: To compare the changes in central subfield macular thickness (CSMT) using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after cataract surgery and to evaluate the risk factors of macular edema. Methods: The retrospective study consisted of 55 eyes of 50 patients who underwent phacoemulsification. All of these eyes were assessed by OCT and best-corrected visual acuity, and fundus examination before and one month after surgery. CSMT was measured based on a central thickness of 1 mm, and macular edema was defined as an increase of CSMT in 30% or more after surgery than before. Results: CSMT significantly increased by 22.2 ± 47.10 μm at 1 month after cataract surgery in the operated eye compared with the fellow eye (p = 0.01). The diabetic retinopathy group and hypertensive group showed more significant increases than the non-diabetic and non-hypertensive group. Macular edema developed in seven of 55 eyes (12.7%), and they consisted of five moderate or more severe diabetic retinopathies and two epiretinal membrane. Four weeks after surgery, the macular edema group showed more decrease in visual acuity; however, the CSMT was not correlated with the duration of diabetes mellitus, types of surgical incision, HbA1c or other factors. Conclusions: CSMT increased in the operated eye after cataract surgery, especially in eyes with diabetic retinopathy and hypertension. Moderate or more severe diabetic retinopathy and macular lesions such as epiretinal membrane increased the risk of macular edema after cataract surgery. J Korean Ophthalmol Soc 2012;53(2):246-255

      • KCI등재

        국지기상 모니터링용 필드서버를 위한 플러딩 라우팅 프로토콜의 구현

        유재호,이승철,정완영,Yoo, Jae-Ho,Lee, Seung-Chul,Chung, Wan-You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11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5 No.1

        산악지역이나 어떤 한정된 지역에서 급작하게 나타나는 기상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한 필드서버를 개발하였다. 국지적 기상변화에 의한 인명 및 재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국지역내에 배치된 필드서버간의 데이터 전달이 매우 중요한 기술이다. 일정한 국지적 지역에 배치 된 필드서버들로부터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수집되는 온도, 습도, 조도, 기압, 이슬점, 수위의 기상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플러딩 라우팅 프로토콜 전송방식을 구현하였으며, 이를 제작 된 외부센서모듈과 Telosb 계열의 센서노드에 nesC 언어를 사용한 초소형 무선센서네트워크 플랫폼인 TinyOS로 프로그램 하여서 서버 컴퓨터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였다. A field server was developed by using ubiquitous sensor network technology to monitor the abrupt weather variation in local or mountain area. The data transmissions between deployed field servers in local terrain are very important technology in disaster prevention monitoring system. Weather related information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illumination, atmospheric pressure, dew point and meteorological data are collected from the designated field at a regular interval. The received information from the multiple sensors located at the sensor field is used flooding routing protocol transmission techniques and the sensing data is transferred to gateway through multi-hop method. Telosb sensor node are programmed by nesC language in TinyOS platform to monitor the weather parameters of the local terrain.

      • 슬관절의 해부학과 신체 검진법

        유재호,Yoo, Jae Ho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1 No.1

        구조물에 대한 체계적 이해인 해부학과 그 역할에 대한 기능적 확인이라고 할 수 있는 신체 검진법은 슬관절을 진료하는 임상의로서 갖추어야 할 가장 기본적인 소양이라고 할 수 있다. 본문에서는 슬관절의 골성 구조, 반월상 연골, 전후방 십자 인대, 내외측 측부 인대, 근육, 내측 및 외측 삼층 구조 개념, 전후방 해부학, 슬관절 주위 점액낭에 대한 해부학 및 반월상 연골, 내외측 측부 인대, 전방 십자 인대, 후방 십자 인대 및 후측방 구조물에 대한 신체 검사에 대해 기술하였다. 해부학 및 신체 검진법에 대한 개념적이고 체계적인 이해는 슬관절을 치료하는 임상의에게 나침반과 등대와 같은 역할을 할 것이다. The anatomy which is the systemic understanding of a structure and the physical examinations which is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its role comprise the fundamental capability for a clinician providing medial care to the knee. This article provides the basic anatomy of the bones, meniscus, anterior and posterior cruciate ligaments, medial and lateral collateral ligaments, muscles, medial and lateral 3 layer concept, anterior and posterior aspect of the knee, bursae around the knee, and the physical examinations of the meniscus, medial and lateral collateral ligament, anterior and posterior cruciate ligament with posterolateral corner. The conceptual and systemic understanding of the anatomy and the physical examinations of the knee would be a compass or lighthouse for the physician providing medical care to the knee.

      • KCI등재
      • KCI등재

        그린캠퍼스 조성을 위한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과 온실가스 감축 잠재량 평가

        유재호(Jae-ho Yoo),이남종(Namjong Lee),한재희(Jae-Hee Han) 대한환경공학회 2018 대한환경공학회지 Vol.40 No.5

        본 연구에서는 가천대학교 글로벌 캠퍼스를 대상으로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구축하였다. 2016년 기준 가천대학교 글로벌 캠퍼스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11298.42 tCO2-eq으로 확인되었으며, 여기에는 전체 배출량의 72%를 차지하는 Scope 2 구입전력 사용 부문이 가장 높은 기여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과 LED 교체 사업에 대한 최적화와 경제성 분석 등을 통하여 온실가스 감축 잠재량과 순현재가치를 추정하였다. 두 가지 방안에 대한 온실가스 감축 잠재량과 순현재가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경우 2,362.49 tCO2-eq과 약 84억 원, LED 교체 사업(기존 대비 100% 교체 시) 의 경우 1,477.03 tCO2-eq과 약 5억 7천만 원으로 예측되었다. 이를 통해 온실가스 감축량만을 고려할 때, 총 3,839.52 tCO2-eq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수치는 2030년 배출기준치 대비 40.29% 온실가스 감축량에 해당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In this work, we report the establishment of a greenhouse gas (GHG) inventory for the Global Campus of Gachon University. In 2016, the GHG emissions of Global Campus at Gachon University is found to amount to 11298.42 tCO2-eq, to which the purchased power consumption in Scope 2 makes the highest contribution that is equivalent to 72% of the total emissions. In addition, analyses of optimization and economic feasibility on introduction of two different systems for the potential GHG reduction, such as solar cell systems and light-emitting diode (LED) replacement, have demonstrated both the potential quantity of GHG reduction and the net present value (NPV), which correspond to 2,362.49 tCO2-eq and ca. 8,400 M won for the former, and 1,477.03 tCO2-eq and ca. 570 M won for the latter (in case of 100% replacement), respectively, resulting in the total GHG reduction of 3,839.52 tCO2-eq. This quantity is equivalent to the GHG decrease of 40.29% compared to the baseline emission as of the year of 2030.

      • KCI등재

        후방 이중 후방십자인대 징후; 양동이 손잡이형 내측 반월상 연골판 파열의 드문 MRI 징후

        유재호(Jae Ho Yoo),한성호(Sung Ho Hahn),양보규(Bo Kyu Yang),이승림(Seung Rim Yi),안영준(Young Joon Ahn),윤동진(Dong Jin Yoon),김성완(Seong Wan Kim),장종범(Chong Bum Cha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0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2 No.1

        양동이 손잡이형 반월상 연골판 파열 시에 나타날 수 있는 MRI 소견들 중에서 이중 후방십자인대 소견은 후방십자인대의 전하방에서 후방십자인대와 평행한 음영을 보이는 것으로 양동이형 반월상 연골판 파열 시 전위된 절편이 중앙부로 전위되어 과간 절흔에 감돈되어 있는 상태를 반영한다. 그러나 전위된 절편이 후방십자인대의 후상방에서 관찰되는 경우는 드물며,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의 전방부에서 전각부와 분리가 생겨 절편이 후상방으로 전위된 것으로 생각할 수 있으며, 저자들은 이를 전자와 구별하여 ‘후방 이중 후방십자인대 징후(posterior double PCL sign)’로 부르고자 한다. 본 증례에서는 전방십자인대 손상과 후방 이중 후방십자인대 소견을 보였던 내측 반월상 연골판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이 동반된 환자에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과 반월상 연골 부분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Among the MRI signs of meniscal bucket handle tears, a double posterior cruciate ligament (PCL) sign manifests on the sagittal images as a low signal band anterior and parallel to the PCL. The mesially displaced fragment may be confined to the intercondylar notch. However, the torn fragment is rarely displaced to the posterosuperior region of the PCL. If it does occur, separation at the anterior horn may be assumed. We propose this type of lesion be called the posterior double PCL sign in contrast to the ordinary double PCL sign. We present a case showing the 'posterior double PCL sign' accompanying an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공개공지의 지속 가능한 활성화를 위한 운영체계 분석 - 뉴욕 공개공지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

        유재호 ( Yoo Jaeho ),김정빈 ( Kim Jungbi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8

        (연구배경 및 목적) 현재 서울의 공개공지는 새로운 설치보다는 기존의 공개공지를 관리하고 재정비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공개공지의 유지관리와 운영에는 단순한 점검과 단속을 넘어 다양한 측면을 고려한 운영체계의 필요성에서 시작한 연구이다. 공개공지는 시민에게 쾌적한 도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법·제도적으로 지정되고 설치되어있는 공간이다. 본 연구는 뉴욕의 공개공지 운영체계의 분석과 운영체계에 따른 공개공지 운영사례를 분석하여 서울시 공개공지의 운영체계 분석과 차이점과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에 있다. 운영체계 분석 비교를 통해 서울시 공개공지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유지관리와 운영을 통해 서울시 공개공지의 질적 수준의 향상과 조성 목적의 달성에 연구의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서울과 뉴욕의 전문기관, 문헌 조사를 통해 운영 주체, 유지관리 방식, 소통 방식 등 공개공지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들을 조사하고 전체적인 운영체계를 분석하였다. 이후 각 도시의 공개공지의 운영체계에 따른 사례분석을 통해 운영체계가 공개공지에 미치는 결과를 파악하였다. (결과) 뉴욕의 공개공지 운영체계는 역할이 중복되지 않고 수평적인 구조로 각 운영 주체가 개별적으로 나뉘어 있으며, 감사 및 비영리 단체 참여를 통해 다양성과 효과적인 소통을 구현하고 있었다. 반면, 서울시의 운영체계는 중복된 역할을 하는 수직적인 구조로 국토교통부, 서울시, 구 단위 지자체가 협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감사 및 비영리 단체의 참여 부족과 각 구청의 통일성 부재로 인해 혼란이 발생하고 있었다. 또한, 서울시 구 단위 지자체의 공개공지와 관련한 시민 소통의 내용들이 정보공개에 제한이 있어 뉴욕과 서울의 대등한 비교가 불가능했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통해 뉴욕은 다양성과 효과적인 소통을 갖춘 운영체계로 평가되었으며, 반면에 서울시는 지자체별로 각기 다른 공개공지 운영체계를 통일시킬 필요성이 있었으며, 정보공개에 대한 범위를 확대하고 운영체계의 구조적인 개선과 표준화된 프로세스 도입이 필요하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Background and Purpose) Currently, public notice areas in Seoul are shifting towards managing and revitalizing existing spaces rather than installing new ones. This research emphasizes the need for an operational system that goes beyond simple inspections and enforcement, and considers various aspects of the maintenance and operation of privately owned public spaces. Privately owned public spaces are designated and installed through legal and regulatory frameworks to provide citizens with a pleasant urban environment. This study analyzed the operational system of public notice areas in New York, and examined cases based on the operational system to determine differences and implications for Seoul's privately owned public spaces. This study aimed to enhance the qualitative basis and purpose for creating Seoul's privately owned public spaces through systematic and efficient maintenance and operation, as identified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operational systems. (Method) A literature review identified specialized institutions in Seoul and New York, and areas that affect the operation of privately owned public spaces, such as operating entities, maintenance methods, and communication method; further, the overall operating system was analyzed. Subsequently, the results of the operating system of privately owned public spaces were identified through a case analysis according to the operating system of each city's privately owned public space. (Results) New York's privately owned public space operating system has no overlapping roles, and each operating entity is divided individually into a horizontal structure. Diversity and effective communication are implemented through participation in audits and non-profit organizations.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operating system has a vertical structure that plays a duplicate role, making it difficult for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district-level local governments to collaborate; confusion is caused by the lack of participation of auditors and non-profit organizations and the lack of unity of each district office. It was impossible to compare New York and Seoul equally because the content of civic communication related to the privately owned public space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was limited to information disclosure. (Conclusion) These results led to the conclusion that New York is evaluated as an operating system with diversity and effective communication, while Seoul needs to unify its different privately owned public space operating systems for each local government, expand the scope of information disclosure, structurally improve the operating system, and introduce standardized processe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