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50년대 북한문학과 전쟁서사

        유임하(Yoo Im-ha) 돈암어문학회 2007 돈암어문학 Vol.- No.20

        이 글은 1950년대 북한문학에서 종군문학과 소설을 중심으로 전쟁서사의 특징을 거론했다. 북한문학에서 전쟁은 ‘미 제국주의와 남한의 북침에 반공격으로’ 맞서 제국주의 질서와 대결하는 정당한 군사적 행위로 서사화되고 반복 재생산된다. 전쟁의 발발과 함께, 전장의 긴박한 현장성을 무기로 종군실기문학이라는 장르가 탄생했다. 종군문학은 전쟁의 대의와 전장의 긴박한 현장성을 전파하는 ‘무기로서의 문학적 역할’을 충실히 수행한 사례이다. 50년대 북한소설에서 발견되는 전쟁서사는 전사들의 자기헌신과 승전을 위한 국가주의적 개인들의 모험과 당위적 가치를 표방하고 있다. 이는 북한문학이 해방직후 남한의 완전한 해방을 지향하는 대의를 수용한 결과였다. 군인을 중심으로 한 전쟁서사는 국가영웅들의 로망스를 지향했다. 또한 전세의 역전과 함께 후방지역 인민들이 전쟁의 여파에 노출되면서 새로운 전쟁서사가 만들어졌다. 이 두 개의 전쟁서사는 종군문학이 보여준 생생한 현장성과 전의를 고취하는 강한 전파력과는 달리, 1950년대 소설에서 각각 구축한 역사-정치적 차원과 사회-문화적 차원을 반영하고 있다. This study is to make a discussion about a special feature of war narrative in terms of North Korea's literature and novel joining the army in 1950s. The war in North Korea's literature was narrated and reproduced to right military action against the imperialistic commend as ‘anti-attack on’ imperialism of the United States and invasion of South Korea to North Korea. With the war outbreaking, the genre called ‘Practical Literature serving in War’ was risen by the light of advantages of the urgent scene in Korean War. The literature joining in war was an example of showing fully ‘the role of literature as a weapon’ to report the great duty and the urgent situation of war. War narrative in North Korea's novels had to advocate the risky attempt of national individuals and the dutiful value for the triumph and the self-sacrifice of soldiers. It was important that North Korea's literature was a result of accepting the just and great cause intending the total freedom of South Korea just after Korea Liberation. Whereas war narrative intended the romance of national heros in the point of soldiers, new war narrative was made by exposing the home civilian to the aftereffect of war. These two war narrative reflected separately the historic-political and the social-cultural dimension differing from the strong influence elevating the lively war scene and the fighting spirit in 1950s.

      • KCI등재

        박경리 초기소설에 나타난 전쟁체험과 문학적 전환 -≪애가≫와 ≪표류도≫를 중심으로-

        유임하 ( Im Ha Yoo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2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6

        박경리의 초기소설에는 전쟁의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다. 초기 단편의 세계에는 여성 가장이 가진 죽음에 대한 공포와 불안, 가난과 궁핍, 가족 부양의 무거운 책무가 반복해서 등장한다. 이들 모티프는 1인칭 주인공 시점이나 관찰자 시점에서 활용되면서 서술자와 등장인물과의 심미적 거리가 가까운 서술문법을 가지고 있다. 이는 전쟁의 여파에 대한 체험의 직접성을 보여주는 한 단면이다. 초기단편에서는 우세한 자전적인 요소와 회상, 사유하는 내면성은 전쟁에 대한 시적 체험 상태를 담고 있으나 전쟁 체험의 성급한 객관화보다 사회악의 고발이라는 경로를 거친다. 그러나 전쟁의 자취가 사라지는 50년대 후반에 이르러 작가는 현실의 복합성을 담아내기 위해 장편 양식을 모색하게 된다. 하지만 작가는 먼저 단편양식 이 가진 장점을 활용하기보다 먼저 애정관계에 바탕을 두고 전쟁피해자의 현재를 서사화하는 방식을 택한 것이 ≪애가≫이다. ≪애가≫는 전쟁 의 상처를 가진 여성인물을 포착하는 데는 성공하지만 시적 상태에서 벗어나 산문적 현실을 구축하는 데는 실패한다. 여기에는 여성인물들이 사회적으로 생동하는 활동영역을 구비하지 못한 데 원인이 있다. 하지만 ≪표류도≫는 초기 단편이 가진 자전적 요소와 회상, 사유하는 내면성에 도 불구하고 전후 직업여성을 주인공으로 내세워 전후사회의 안팎을 조감하고 통찰하는 새로운 면모를 제시한다. 특히 다방과 감옥이라는 공간을 통해 드러내는 작중현실은 사회악의 고발과 함께 전쟁피해자로서 직 업여성의 몽상과 현실, 밑바닥으로 전락한 여성들의 불행을 다채롭고 복 합적으로 제시한다. 그러나 박경리의 초기소설이 ≪표류도≫에서 거둔 성취는 ``1인의 고통을 만인의 고통을 담는 글쓰기``로 전환시킨 데 있다. 이 전환적 인식은 전후사회의 조망과 통찰을 통해 도달한 지평으로, 훗날 60 년대의 수많은 중단편들과 장편들, 그리고 ≪시장과 전장≫을 거쳐 ≪토지≫에 이르는 문학적 동력으로 작용했다. Shadows of war were lengthening on the early novels of Park Kyoung-Ri. In the world of early shorts, fear and anxiety, poverty and destitution, responsibilities of family support with woman head of household repeatedly appeared. These motifs which are used as first-person protagonist and observer`s view point have descriptive grammar that Character and narrator`s close aesthetic distance. This is one of aspects showing immediate experience aftermath of the war. The Path of complaint against social evils goes through than hasty objectification of war experience though early shorts freighted predominant autobiographical elements, recollection and interiority. However, reached in the late 1950s when the remnants of war getting disappear, Park tried to seek the full-length form to tell the complexity of real world. First, writer chose the way narrates the current of war victims based on affection relationship than taking advantage from a short form, that is Aega. Aega succeeded to seize the women with the wounds of war but failed to make establish the prosaic realities beyond the poetic situation. The main cause is that area where women can acts vibrantly in social wasn`t equipped. But Pyoryudo presented a new aspect which insight into and out of society after war, brought a professional women despite autobiographical elements, recollection and interiority early shorts have. Especially the real world in novel exposed through the Coffee and the Prison presents unhappiness of women fallen to the bottom and also daydream and the reality of professional women as the victim of war. That she switch the One person`s pain to writing that holds the pain of all is the achievement of the early novel of Park Kyung-Ri in Pyoryudo. This transitional recognition is the horizon reached through the view and insights of post-war society, later it offered literary power leading to Toji(토지) through many of the 1960s`s mid, short stories and Shijanggwajeonjang(시장 과 전장).

      • KCI등재

        ‘순수’의 이데올로기적 기반

        유임하(Yoo Im-ha) 우리말글학회 2006 우리말 글 Vol.38 No.-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at “Ban-gong-juui (반공주의, anti-communism)” can be one of institutional and political conditions pursuing the purity of Korean literature or its intention. In the context, the second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ideological constitution and the logical process by the unity and the disunion between literature and ideology in Dong-lee Kim's “Pure Literature Theory” just after Korean Liberation. In addition, based on above purposes, the third purpose aims for describing the ideological homology in communist character images in his novels during the liberation epoch. Dong-lee Kim's Pure Literature Theory is a logic and literary discourse which is presented on the epistemological basis of anti-communism. It was organized by a series of the processes considered the leftist literature and their theories as the other against the center, the evil against the good, and the falsehood against the truth after the Korea's 8.15 Independence. His Pure Literature Theory presupposed Young-hee Park's ideological conversion became an other form replacing all the real politics and literary theories. This discourse was also the ideological status divided things into the good and the evil, the true and the false, and showed the terrain of literature as non-political politics. In the meantime, Dong-lee Kim's novels for the Korean Liberation Period well represent the process of embodying the images of leftist heroes in terms of anti-communism. Yun-hoe-seol (윤회설) and Hyoung-jae (Brothers) were the key examples for Dong-lee Kim's ideologies of pure literature. Yun-hoe-seol took the political reality as story material to present the intelligentsia as the anti-communist riding on the current, while Hyoung-jae is an example more shaped up leftist character who went through “Yeu-Sun-Sa-Tae.” Especially in Hyoung-jae, the leftist, Pal-gaeng-yee (the Red), was embodied as anti-national and anti-human character to attract the view from the surrogate of national humanism and nation. By joining these elements, Dong-lee Kim's novels represented the orientation of the rightist persons' lives absorbed in human freedom and destiny, and made up the edifice of pure literature. His orientation toward literature originated from the ideology of the Cold War, but was a historical product sublimated “purity” of literature nullifying the antagonism against the leftists.

      • KCI등재

        북한 초기문학과 ‘소련’이라는 참조점

        유임하(Yoo, Im Ha) 동악어문학회 2011 동악어문학 Vol.57 No.-

        이 글에서는 북한 초기문학에서 소련문학의 수용상을 검토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조소 문화 교류의 의의, 2차 세계대전 종전 이후 소련문학을 지배한 소위 ‘즈다노비즘’의 영향관계, 『문화전선』을 중심으로 당대 소련 문화의 수용과 관련된 태도와 양상 등을 검토하면서, 해방 직후부터 1947년 초반에 이르는 기간 동안 북한의 초기문학이 어떤 변화를 보이는 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해방 직후 북한의 초기문학은 식민지적 질서로부터 벗어나면서 다양한 문학 단체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문학단체의 통합과 함께 ‘당의 문학’으로 쇄신되는 절차를 거친다. 이 과정에서 문학 제도 변화의 외부적 조건이 생성된 첫 분기점은 1945년 10월 ‘서북 5도 당 책임자 및 열성자대회’와 ‘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 설치’였다. 두번째 분기점은 1947년 2월 북조선인민위원회의 출범이었다. 첫번째 분기점이 문학단체의 통합을 통한 당 문학으로의 제도적 재편으로 이어졌다면, 두번째 분기점에서는 문학의 공식 이념으로 사회주의적 사실주의가 채택 되었다. 이 두 분기점은 북한의 초기 문학이 당 문학으로서의 정체성을 구비하는 절차를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그러나 북한 문학의 제도 일반에는 당대 소련에서 횡행한 즈다노비즘이 교조적인 당문학의 정체성을 구비하는 토양을 제공했다. 북한 초기 문학에서 즈다노비즘이 안착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는 다양하게 모색되었던 민족문학과 문화에 대한 담론을 폐기하고 이를 단일화하며 냉전논리를 담게 되는 경과를 보여준다. This article sought to review acceptance of the Soviet literature in early North Korean literature. For this, reviewing significance of cultural exchange between North Korea and the Soviet Union, relationship with ‘zdanobism’ which dominated Soviet literature since the end of the World War II, and the attitudes and patterns associated with the acceptance of the Soviet Union at the time centered on the Moonhwajoensun(문화전선), trying to look changes of the early literature of North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right after liberation to the early time of 1947. Right after liberation, various literary organizations began to emerge in the early North Korean literature while away from the colonial order. It, however, had involved to renewal in the ‘Party literature’. In this process, the first branch of external changes in literature was ‘party officer and ardor people(열성자) of northwestern 5degrees meeting(서북 5도 당책임자 및 열성자대회)’ and ‘setup North Bureau of Communist Party(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 설치)’, the second branch was the inauguration of the People’s Committee of North Korea(북조선인민위원회) in February 1947. As the first branch led to the institutional restructuring into ‘party literature’ through the integration of literary organization, in the second branch, on the other hand, socialist realism, formal ideology of the literature, was adopted as an aesthetic principle. These two knotenpunkt constrictively show the procedures of the early North Korea literature equipping the identity as ‘Party literature’. Socialist realist aesthetic adopted by the North Korea was Zdanovism which was infested with the Soviet Union in the time. Zdanovism offered the base that set the identity of dogmatic party literature. A series of process that Zdanovism set safety shows the progress that disposes of discourses of ethnic literature and culture which had been seeking a variety, unified it and contain the logic of cold war.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소설과 분단의 아비투스 : 토지개혁의 경험과 민족 관념의 균열

        유임하 ( Im Ha Yoo ) 민족문학사학회 2010 민족문학사연구 Vol.44 No.-

        이 글에서는 한국문학에 대한 분단 아비투스의 거시적인 조감보다는 분단이 구조화되는 계기에 주목하여, 소설에 나타난 분단 아비투스의 단면들을 짚어보는 방식을 취했다. 이를 위해 이 글은 북한에서 시행된 토지개혁(1946.3)을 민족 관념이 균열을 일으키는 분단의 정치경제적 분단의 결정적인 계기의 하나였다는 점에 주목하여, 그 여파를 다룬 소설의 사례를 살펴보고자 했다. 토지개혁이라는 제도가 사회경제적 제도로 시행되면서 서로 다른 이념적 계층적 기반을 가졌던 작가들은 상이하게 반응했다. 이기영과 이태준은 토지 개혁을 사회주의 근대 기획의 출발점으로 간주하며 열광했다. 반면 채만식은 남한의 농지 개혁을 불완전한 일제청산과 대비되는 북한의 토지개혁을 유용한 참조틀로 삼아 반공 아비투스의 발생을 포착했다. 하지만, 황순원은 지주계층의 위치에서 토지개혁의 본질을 이념적 폭력과 구획, 민중의 원초적인 소유욕이 들끓는 현실로 추문화했다. 그의 『카인의 후예』는 50년대 소설사에는 장편의 희소성과 경험적인 서사의 강점을 가진 작품이었고, 토지 개혁이 가진 대의보다는 급진성과 원초적인 폭력성을 반공의 아비투스로 번역 가능한 지평을 열어놓은 텍스트였다. This article aims to study the habitus of division expressed in Korean fiction by focusing on structuralization of division, rather than on the habitus' macroscopic view on Korean literature. To do so, the article keys in on the fact that North Korea's land reform in March 1946 was one of the decisive events that led to political and economic division, which would break down nationalist idealism. It also aims to study a few examples from Korean fiction in regards to the reform's aftermath. These examples showed when the two Koreas' political and economic love-hate relations emerged as the division became structuralized after the land reform. The land reform was implemented as a socioeconomic measure, and authors with different ideological and class base had different reactions. Lee Gi-young and Lee Tae-jun regarded north korean land reform as triggering the modernization of socialism. Chae Man-sik, meanwhile, believed reforming farmland would be a way of eliminating remnants of Japanese culture following Korea's liberation and used the North Korean land reform as a useful frame of reference. Writing from the landlord's perspective, Hwang Soon-won turned the essence of the land reform into the reality where ideological violence and division, and primal possessiveness of the people are rampant. Hwang's novel, <Descendants of Cain>, was the rare feature novel in the 1950s whose narrative was based on experience. This text also dismissed the land reform's radicalism and primal violence, rather than the great cause of the movennent, as opened possibility of interpreting them as the habitus of anti-communism.

      • KCI등재
      • KCI등재

        북한의 문화정전을 어떻게 읽고 수용할 것인가 : 총서 ‘불멸의 력사’와 남북문학 교류의 전망

        유임하 ( Yoo Im-ha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9 민족문학사연구 Vol.70 No.-

        이 글에서는 ‘북한의 문화정전을 어떻게 읽고 수용할 것인가’라는 논제를 다루었다. ‘총서’로 명명된 방대한 분량의 장편소설이 어떻게 북한의 대표적인 문화정전으로서의 위상을 구축했는지, 이를 어떻게 읽고 이해하며 수용할 것인가를 탐색하고자 했다. 이 글에서는 북한 문학의 성격과 ‘총서’의 기원적 양상과 관련하여 해방 직후 북한의 초기문학에서 소련식 문학제도의 정착에 주목하는 한편, 레닌의 「당조직과 당문학」이 사회주의적 문학 제도의 근거라는 점을 논의했다. 이 글에서는 ‘총서’의 ‘문화정전’으로의 지위와 성격은 1956년 종파사건 이후 당과 군을 장악한 김일성의 절대유일체제와 김일성 김정일에 의한 ‘담론의 독점성’에서 형성되었다는 점을 확인했다. 또한 이 글에서는 ‘항일무장투쟁의 혁명전통’이자 ‘통치서사’로서 경전에 버금가는 문화정전으로서의 지위와 기능을 살펴보는 한편, 정전화와 재정전화를 고려한 ‘총서’의 독법의 가능성을 타진했다. This study is about the way to accept and read Cultural Canon of North Korea. It is aimed to explore how such enormous novel as ‘Collection’of Cultural Canon of North Korea was formed and was characterized. Also this study explored how it should be read and understood in order to accept its contents.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 literature and origin aspect of Collection were focused on cultural institution of the Soviet union which was developed from early literature of North Korea right after Korea’s liberation. Also this study discussed about that party organization and party’s literature of Lenin was the case of socialistic literature institution. This study verified that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Collection’ and ‘Cultural Canon’were formed from the exclusiveness of discourse by Kim, Il-Sung and Kim, Jung-Il. Also they were formed from the sole system of Kim, Il-Sung who dominated parties and military since denomination incident in 1956. This study looked into the status and role of this novel as ‘revolutionary tradition of Anti-Japanese armed struggle’ and ‘ruling librarian’ come close to scripture and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Collection’ reading to consider canonization and re-canonization.

      • KCI등재
      • KCI등재

        1955년 북한사회의 베트남 방문과 베트남이라는 심상지리의 탈식민적 구성 -「영웅의 나라, 월남」과 『월남방문시초 한줌의 흙』을 중심으로 -

        유임하 ( Yoo Im-ha ) 겨레어문학회 2018 겨레어문학 Vol.60 No.-

        이 글은 1955년 북베트남 방문과 문화교류의 결과물인 변희근의 기행문 「영웅의 나라, 월남」과 조학래의 시집 『한 줌의 흙』이라는 텍스트를 검토하고 있다. 이들 저작은 북베트남을 방문하여 창작한 우호친선의 결과물로서 탈식민 직후 베트남의 고양된 사회 분위기를 잘 담고 있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기행문과 시집에 담긴 베트남 인식의 특성과 의의에 주목했다. 두 텍스트는 1955년 외교관계를 공식화하고 건국 10주년을 맞이한 것을 계기로 북한-북베트남이 우호친선의 대의를 부각시키며 문화적 교류의 물꼬를 트는 가운데 베트남 현실 인식에 따른 구체적인 윤곽을 살필 수 있었다. 1950년대 북한은 중소를 포함하여 동유럽과 몽고와 문화교류에 나서면서도 베트남과는 매우 각별한 외교 관계를 유지해 나갔다. 프랑스로부터 독립을 쟁취했으나 외세에 의해 다시 남북으로 나뉜 베트남의 현실은 북한에게 동서 냉전구도와 열전의 전선이자 비동맹외교의 바로미터였다. ‘조국통일’의 군사적 결행을 관철시키지 못한 채 휴전체제로 돌입하게 된 북한의 현실에서 베트남의 과거-현재-미래는 식민의 기억을 환기하며 현재의 냉전체제를 통찰하며 미래의 통일과업을 진단할 수 있는 또 다른 원천이었다. 1965년 반둥회의로 대표되는 북한의 비동맹외교 활동이 동남아시아와 중동, 아프리카 권역에 걸쳐 있으나 그 시발점은 국교 수립에 따른 1955년 베트남과의 교류였다. 북베트남을 방문한 인민대표단과 인민군예술단의 문화교류는 앞서 살펴본 것처럼 양국이 각각 경험해온 식민과 탈식민의 상황의 유사성에 근거한 현실에서 역사적 경험의 공감과 공분을 거쳐 역사적 경험의 공유로 진전되는 것을 뜻했다. 변희근의 기행문에서 베트남을 ‘영웅의 나라’로 칭송하고 방문시초에서 ‘형제국가’임을 천명하는 것이 바로 구체적인 증거이다. This study reviewed the context in the travel essay titled 'Hero's country, Vietnam' which is written by Heeguen Byeon(변희근) and Hakrae Cho(조학래)’s the poetry book called 'Poems visiting to Vietnam, a handful of earth'. Those two books are the result of cultural exchange and North Vietnam visit in 1955. Also they are the result of friendship and created by visiting North Vietnam, thus it described well the heightened atmosphere of Vietnam society immediately after decolonizing. This study concentrated on the characteristic awareness and significance of Vietnam in these two books. Two books showed that Vietnam initiated cultural exchange with highlighted cause of friendship between North Korea and North Vietnam by giving an opportunity of 10th anniversary of the country and officially announced diplomatic relations in 1955. Therefore, the detailed outline by awareness of reality in Vietnam could be reviewed. North Korea in 1950's maintained special relationship with Vietnam as well as kept cultural exchange with Eastern Europe, Mongolia, China and Russia. Although Vietnam achieved the independence from France, they were divided into North and South by foreign power. So their reality was the Cold War between East and West, Hot-War front and also it was barometer of nonalignment diplomacy for North Korea. North Korea had to do cease-fire agreement by not accomplishing reunification with military action. Therefore,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Vietnam reminded memory of colonial period, gave an insight of the Cold War and provided the source which could examine the reunification task in the future for North Korea. Bandung Conference in 1965 which represented as nonalignment diplomacy were for all over Southeast Asia, the Middle East and Africa but the beginning was the exchange with Vietnam. In that context, the cultural exchange act by diplomatic relations with North Vietnam in 1955 was one of exchange with nonaligned nations. Visiting to North Vietnam and the cultural exchange of art company of North Korea meant that it was possible to be in condition to share the historical experience through sympathy and indignation by seeing that there were similar situation like colony and decolonizing as we have discussed earlier. This was proved in Heeguen Byeon's travel essay that complimented Vietnam is 'Hero's country' and 'Brother country' at the beginning of vis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