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복지사각지대를 위한 지역기반 모바일 기부 플랫폼 컨셉 및 기능 제안

        유은,김정현,곽정은,김서연,이재성 한국기초조형학회 2023 기초조형학연구 Vol.24 No.6

        현 사회에는 도움을 필요로 하나 사회 관심 부재와 복지 정책의 사각에서 발생하는 문제로에서의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복지사각지대’에 위치한 사람들이 다수 존재한다. 더군다나 사회 내에서 점차증가하는 개인주의 속에서 사람들은 복지사각지대에 위치한 이들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민간차원에서 찾기 쉽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이를 보완하는 방식으로 ‘기부’를 채택하고, 부담 없이 지속적인나눔과 기부를 유도하여 기부의 진입장벽을 낮추고 기부자와 기부 대상자 간의 쌍방향 작용을 통해궁극적으로 복지사각지대에 위치한 이들에게 도움을 주는 서비스 방향성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먼저 복지사각지대와 기부를 중심으로 한 현황 조사 및 선행연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온라인 설문조사와 심층 인터뷰를 통해 이해관계자들의 세부적인 니즈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기부금 및물품 사용의 투명한 공개, 기관과의 원활한 소통을 위한 창구의 필요성, 기부 대상자가 겪고 있는 정책 지원 과정에서의 문제점과 같은 페인포인트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서비스 내 이해관계자 간의 원활한 소통과 신뢰 및 부담 없는 나눔과 기부를 지속하기 위한 핵심적인 기능(기부공고 선택 및 작성, 동네 및 기관과의 정보교류 커뮤니티, 이해관계자간 직접 채팅기능, 시각적 동기부여)들을 기획하고 이를 프로토타입으로 구체화하였다. 본 연구는 복지사각지대 문제에 도움을 주기위해 지역을 기반으로 한 이웃 간의 기부라는 대안을 제시하고 이를 구체화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결과가 향후 복지사각지대를 돕기 위한 다양한 솔루션을 도출하는데 하나의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청년정책 활용을 증진시키기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컨셉 및 디자인 방향성 제안

        유은,김혜진,남승주,신수빈 한국기초조형학회 2023 기초조형학연구 Vol.24 No.3

        시대의 흐름에 따라 청년들이 마주하는 문제가 사회구조적으로 점차 심화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 따라 국가적으로 청년들을 지원할 정책의 필요성도 늘어나고 있으며, 관련하여 청년정책에 관한 논의 또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청년의 상당수가 청년정책의 존재를 모르거나 정책의 자세한 내용에 대한파악을 어려워하거나 자신에게 해당되는 정책혜택을 파악하지 못하는 등 전반적으로 청년 정책에 대한 낮은 참여율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년 당사자들이 청년정책을 더 쉽게 전달받고 참여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컨셉과 디자인 방향성을 제안하는 것을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배경에 대한 데스크 리서치와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관련 개념과 현황을 파악하였다. 둘째, 설문, 인터뷰, 관찰을 통한 사용자 조사를 통해 문제를 정의하고 조사결과를 분석하여 서비스에 대한 컨셉과 주요 특징, 세부기능들을 도출하였다. 해당 서비스는 청년들 개개인에 ‘맞춰진’, 청년들이 정책 참여를 ‘잊지 않게’, 청년 당사자의 참여를 ‘도와주는’이라는 세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각 특징들을 위한 청년정책 정보제공, 정책 캘린더, 관심정책 북마크, 맞춤정책 추천, 서류 체크리스트, 알림 설정 등의 세부 기능을 갖추고 있다. 셋째, 연구 결과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서비스 프로토타입으로 사용자 테스트를 진행하여 연구 성과를 파악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정리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청년 세대의 청년정책에 대한 접근성과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서비스의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사회적 고립청년의 은둔 극복과 사회관계망 구축을 위한 서비스 방향성 제안

        유은,유예린,김민경,정서영,정집원 한국디자인학회 2024 디자인학연구 Vol.37 No.2

        연구배경 국내 사회적 고립청년의 수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사회가 개인주의화되면서 청년들의 사회관계망이 더욱 약화되고, 사회 단절이 심화되어 다양한 범죄로 이어지는 등 사회적 고립청년 문제의 심각성이 대두되고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 차원에서부터 사기업까지 다양한 극복 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나 아직 한계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사회적 고립청년의 특성과 심리를 고려하여 사회관계망 형성을 장려하고 스스로 사회적 고립단계를 극복할 수 있도록 돕는 서비스를 통해 접근성 높고 실용적인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데스크 리서치와 사용자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사회적 고립청년 당사자와 주변인, 고립청년 지원 센터 관계자 및 고립 극복 청년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실제적인 니즈와 페인포인트를 파악하였다. 페르소나와 서비스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서비스 방향성 및 세부 기능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검증을 통해 향후 보완 방향을 시사하였다. 연구결과 고립청년 문제 해결을 위한 서비스의 방향성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고립청년 스스로 생활 습관을 개선할 수 있도록 개인 맞춤형 챌린지를 제공하고, 서비스 사용자 간 챌린지 공유 시스템을 통해 동기를 부여한다. 둘째, 소모임 및 채팅 서비스와 응원하기 등의 기능으로 서비스 내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을 장려하여 타인과의 소속감과 유대감을 고취한다. 셋째, 사회적 고립청년과 관련된 정책과 프로그램을 모아 보여주는 지원 사업 아카이빙 기능을 통해 접근성을 향상하고 절차를 간소화한다. 결론 본 연구는 사회적 고립청년들의 단절 문제 해결에 도움을 주기 위해 다양한 이해관계자 및 사용자경험을 반영하여 청년 고립 극복 지원 서비스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사회적 고립청년 문제 해결을 위한정책과 서비스 디자인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Background The number of socially isolated young people in South Korea is increasing every year. As society becomes individualistic, the social network of young people is further weakened, and social disconnection intensifies, leading to various crimes, and raising the seriousness of the social isolation youth problem. To solve this problem, various measures are proposed from the government level to private companies, but they are still immature and have limitations. This study sought more accessible and practical solutions through services that encourage the formation of social networks and help them overcome the social isolation stage by themselve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and psychology of young people in social isolation. Methods Desk research and user surveys were conduct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various stakeholders such as socially isolated young people, those around them, those involved in the isolated youth support center, and young people who overcome isolation to identify practical needs and pain points. Based on persona and service scenarios, service directions and detailed functions were derived, and future complementary directions were suggested through verification. Results The direction of the service for solving the problem of isolated youth was proposed as follows. First, the service provides personalized challenges so that isolated youth can improve their lifestyle habits themselves and motivates them through a challenge sharing system among service users. Second, the service promotes a sense of belonging and bond with others by encouraging interactions between users in the service with functions such as consumption and chat services and support. Third, accessibility is improved and procedures are simplified through the support project archiving function that collects and shows policies and programs related to socially isolated youth. Conclusions This study presents a support service for overcoming youth isolation by reflecting various stakeholder and user experiences to help solve the disconnection problem of young people in social iso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policy and service design to solve the problem of social isolation.

      • KCI등재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여가제약, 협상, 여가활동 선택 전환의도에 대한 연구

        유은,류예빈,김이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021 관광레저연구 Vol.33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dividual stress levels in leisure constraints, negotiations, and switching intention of the selection of leisure activities. To this end, it was divided into 'Latent stress group' and 'High risk stress group' according to the degree of Psycho-social Well-being Index and the correlation and difference between constraints, constraint negotiations, and switching intention of the selection of leisure activitie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leisure constraints, negotiations and switching intention differed according to the level of stress. Considering that stress is caused by social and psychological aspects, these results believe that there will be a significant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stress and each facto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leisure, and confirmed the possibility that stress may act as a motivation factor in choosing leisure activities. However, the degree of difference for each factor appears to be narrow, requiring research and discussion to expand the size of the sample in the future.

      • KCI등재

        반려견주들의 지역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모바일 서비스 제안: 노원구 경춘선숲길을 중심으로

        유은,이산하,김지현,최연이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5

        1인 가구의 증가와 저출산 등으로 반려견을 키우는 가구는 급증함에 비해 반려견주를 매개로 한 지역기반 서비스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는 지역 공동체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반려견주들을 매개로 한 지역 공동체 활성화 방안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지로 노원구 경춘선숲길을 선정하고, 해당 지역의 견주들을 중심으로 그들의 경험과 요구사항 등을 파악하고 견주들의 편의를 증진시키는 동시에 지역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안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우선 온라인 리뷰와 탐방 조사 등의 예비 데스크 리서치를 실시하였고 설문 조사 및 심층 인터뷰가 진행되었다. 사용자 조사 결과 견주들이 신뢰할 수 있는 경춘선숲길산책로 관련 정보의 제공과 공유, 펫시터와 산책메이트의 탐색과 발견, 반려견 케어를 도와주는 관리기능 등의 필요를 도출할 수 있었다. 그 결과 본 연구는 소통, 연결, 케어라는 핵심 서비스 컨셉을 도출하였고 이를 토대로 커뮤니티, 산책 메이트 및 펫시터 매칭, 반려견 케어 기능을 제공하는 모바일서비스를 구상하였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하였다. 해당 서비스를통해 사용자들은 펫시터 탐색과 신뢰도 확인, 산책메이트 찾기, 견주들의 에티켓 개선을 위한 정보 획득, 산책로 추천 및 코스 공유와 명소 안내, 산책로 혼잡도 확인, 전문가와의 질의응답 매칭 등의 기능들을 통해 효과적으로 반려견을 케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지역 견주들과의 커뮤니티를 활성화 시킬수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반려견주들을 통한 지역 기반 서비스들이 확대될 것을 기대한다.

      • KCI우수등재

        인터넷 개인방송의 영향력에 대한 인식과 규제 지지 평가: 국내 이용자와 비이용자의 차이 비교

        유은,송해엽,정재민,김영주 한국방송학회 2019 한국방송학보 Vol.33 No.3

        인터넷 개인방송의 생산과 소비가 확대되면서 영향력이 커지고 있지만 이에 따른 사회적 역기능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다. 본 연구는 인터넷 개인방송의 영향력과 규제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만15세 이상부터 50대까지 이용자 825명과 비이용자 33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응답자들은 전반적으로 인터넷 개인방송을 규제할 필요성에 공감하였고, 현재 자율규제 방식은 적절히 작동하지 않는다고 인식했다. 하지만 이러한 인식은 현재 인터넷 개인방송을 이용하고 있는 응답자와 그렇지 않다고 응답한 비이용자 사이에서 차이를 보였다. 기존 제3자 효과에 대한 연구 결과와 같이 비이용자는 인터넷 개인방송은 자신의 미디어 이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청소년에게는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여겼다. 규제와 관련된 인식에서도 비이용자는 이용자에 비해 높은 수준의 규제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이러한 결과는 인터넷 개인방송 규제에서 제3자 효과에 의한 이용자와 비이용자 간 차이를 파악하고 실제 미디어의 영향력을 고려한 규제 정책을 정립할 필요성이 있음을 보여 준다.

      • KCI등재

        소비자들은 항상 독특한 색상명의 제품을 구매할까?: 통제 결핍과 지각된 불안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유은,최지은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22 No.2

        Recently, products with unusual color names have attracted consumers’ attention. However, despite the growing interest and importance of color names in practice, academic research on color names is very limited. Based on the theory of congruity theory,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color name on consumer responses when the color name would not match the existing consumer’s schema.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s on consumer experience of control deprivation and aims to reveal that consumers who have experienced lack of control may prefer plain color names to unique ones. Specifically, it is predicted that consumers who feel high level of anxiety in the event of a lack of control would prefer products with a more consistent color name with their schema, that is, a more plain color names.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was supported after surveying 177 college students. These findings have expanded existing research areas and provided practical implications. 최근 독특한 색상명을 지닌 제품들이 소비자의 주목을 끌고 있다. 그러나 실무에서 색상명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대두됨에도 불구하고 색상명에 대한 학술적 연구는 매우 제한적인 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불일치 이론을 근거로 하여 색상명이 기존 소비자의 스키마에 일치하는 경우와 불일치하는 경우에 나타나는 소비자 반응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소비자의 통제 결핍 경험에 주목하여 통제 결핍 경험을 한 소비자는 독특한 색상명보다는 평범한 색상명을 더 선호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통제 결핍 상황에서 높은 불안을 지각하는 소비자들은 자신의 스키마와 일치성이 높은 색상명, 즉 명확성이 높은 선택안에 해당하는 평범한 색상명의 제품을 더 선호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이러한 주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대학생 17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가설을 검증한 결과 본 연구의 가설은 지지되었다. 즉, 통제 결핍 상황에서 지각된 불안감이 높을수록 소비자가 기존에 가지고 있는 스키마와 일치성이 높은 색상명의 제품을 선호하였으며, 통제 결핍 상황일지라도 불안감을 낮게 지각하는 소비자의 경우에는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기존의 연구 영역을 확장하고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후보

        상황적 요인에 따른 온라인 식품구매 소비자 행동 - 확장된 Triandis 모델의 적용 -

        유은,김주향 한국호텔리조트학회 2023 호텔리조트연구 Vol.2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the purchasing behavior of online food purchasing consumers by applying Triandis' model with a cognitive approach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models for predicting human behavior. Since offline and online consumers' behaviors are different, it is to predict online food purchasing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and present implications for management strategies by applying situational factors that affect online consumers' purchasing decisions as regulatory variabl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400 people and used for analysis. It was analyz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by introducing variables such as social factor, perceived consequence, affect, purchase intention, habit, facilitating condition, purchase behavior, and situational factor, and all hypotheses were adopt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 of situational factor variables in Triandis' model, and it is possible to introduce a model that can predict the purchasing behavior of online food purchasing consumers.

      • KCI등재

        Kano 모델 적용을 통한 소믈리에 서비스품질에 관한 연구

        유은,고재윤,성혜진 한국외식경영학회 2013 외식경영연구 Vol.16 No.2

        This study is for understanding Kano model of the sommelier's service quality and its increasing and decreasing factors with questionnaire in pairs of positive/negative questions of Kano model. The survey questionnaires are composed to draw 14 questions from five dimension - tangible, reliability, responsiveness, assurance, empathy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SERVQUAL (Parasuraman et al., 1985) to measure the sommelier's service quality. A total of 226 useful samp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are blows. All of responsiveness attributes - ‘immediate service to customer's demands’, ‘service prepared always’ is one-dimensional which draws customer's satisfaction. ‘Sommelier given active investment’, ‘recognition of customer's name and face’ and ‘necessary service in good times’ are attributes of assurance, which are reverse attributes to draw dissatisfaction. It means customers consider atmosphere and professional uniform of sommelier more seriously not professional skills. Reliability attribute, ‘good communication of wine information’ and empathy attribute, 'exact explanation wine label’ are also reverse, which means difficult wine informations cause customers' dissatisfaction. 본 연구는 Kano 모델을 기반으로 긍정적 질문과 부정적 질문을 쌍으로 하여 설문지를 구성하고, 이를 통하여 레스토랑에서의 소믈리에 서비스품질에 대한 Kano모델의 품질 요소를 파악하고, 서비스품질 요소 중 고객만족 증가 요인과 고객불만 감소 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 설문지의 구성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Parasuraman, et al.(1985)의SERVQUAL을 바탕으로 소믈리에의 서비스 품질 측정에 맞도록 와인소믈리에학과 대학원생 10여명과의 토론을 통하여 유형성, 신뢰성, 반응성, 확신성, 공감성의 5차원 14 문항을 도출하여 직접 응답하는 방식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유형성에서 ‘인테리어’와 ‘복장 단정‘은 고객 만족을 이끌어내는 중요한요소이며, ‘최신의 기물 사용’은 크게 고객 만족이나 불만족을 초래하지 않는 요소로 나타났다. 이것은 소믈리에 서비스의 유형성에 전문성을 부여하는 와인바의 분위기와 소믈리에를 나타내는 복장의 중요성을 나타내며, 최신의 기물 사용 여부는소믈리에의 전문적 서비스를 보여주는 조건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