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Formation and Decline of the Public Sphere in South Korea After the Liberation

        유은혜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1

        This article examines the civil society formation process based on Habermas’s concept of the “public sphere.” The public sphere is a critical factor in the institutionalization of democracy, but few scholars have focused on the preconditions for its formation. Using historical analysis on a South Korean case, I demonstrate that extreme physical violence from the state apparatus, such as the police and army, and a dearth of cultural resources were critical for explaining the failure of the public sphere in South Korea after World War II. The audience-oriented rationality in communication between ordinary citizens was paralyzed due to extreme physical violence, and the intellectuals who were supposed to form democratic discourses in the public sphere suffered from the lack of cultural resources. The results indicate that further study should revisit the preconditions of the public sphere’s formation and its role in democracy’s institutionalization.

      • KCI등재

        이중시기 다중검출기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췌장의 감쇠치 변이: 조영제추적기법과 고정시간기법의 비교

        유은혜,김명진,박승우,이우정,김기황 대한영상의학회 2007 대한영상의학회지 Vol.56 No.3

        Purpose: To clar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bolus-tracking technique and a fixed scan delay protocol in the achievement of the optimal pancreatic phase of the pancreas with MDCT. Materials and Methods: 526 patients underwent pancreatic and portal venous phase imaging of the pancreas using 16-channel MDCT. All the examinations were randomized into either scanning using a bolus-tracking technique with a scan delay of 20s after the aorta was enhanced > 100 HU (groups 1 and 2) or scanning with a scan delay of 38 s from the beginning of the injection (groups 3 and 4). A contrast material of 300 mgI/mL (groups 1 and 3) or 370 mgI/mL (groups 2 and 4) at an injection speed of 3 mL/sec was injected at 2 mL/kg body weight. The pancreatic CT attenuation values were compared. Results: The scan delay times of the pancreatic phase in groups 1 and 2 were 38±3.8s and 37.4±3.4s, respectively. At the pancreatic phase, the pancreatic attenuation values of groups 1 and 2 were slightly higher than those of groups 3 and 4 (115.5±15.4 vs 111.7±15.1HU; p=0.093, 128.3±17.1 vs 119±17.1HU; p=0.00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at the portal venous phase. Conclusion: The use of a bolus-tracking technique in the optimal pancreatic phase of pancreatic CT does not significantly improve the pancreatic enhancement but does at higher iodine concentrations. 목적: 췌장의 췌장실질기 CT를 얻음에서 조영제추적기법(bolus-tracking technique)과 고정시간기법(fixed scan delay protocol)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16 채널 MDCT 스캐너로 이중 시기 췌장 CT를 시행한 526명을 무작위로 조영제추적기법(그룹 1과 2) 또는 고정시간기법(그룹 3와 4)으로 300 mgI/mL(그룹 1과 3) 또는 370 mgI/mL(그룹 2와 4)의 비이온성 조영제를 2 mL/kg, 3 mL/sec로 주입하였다. 조영제추적기법은 대동맥이 100 HU로 조영 증강된 후 20초 뒤에, 고정시간기법은 조영제 주입 후 38초 뒤에 췌장실질기 영상을 얻었다. 췌장 감쇠치를 측정하여 그룹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그룹 1과 2에서 췌장실질기 스캔창은 38±3.8초, 37.4±3.4초였다. 췌장실질기에서 췌장 감쇠치는 그룹 1과 2에서 그룹 3과 4보다 높았지만 차이는 크지 않았고(115.5±15.4 vs 111.7±15.1 HU; p=0.093, 128.3±17.1 vs 119±17.1HU; p=0.003) 문맥기에서는 그룹 간에 차이 없었다. 결론: 최적의 췌장실질기 CT를 얻음에서 조영제추적기법을 사용하는 것이 고정시간지연기법보다 췌장 조영 증강에 큰 차이 없으나 저농도 조영제보다 고농도 조영제를 사용할 때 더 유용하다.

      • KCI등재

        한국인의 동성애에 대한 인권의식 변화

        유은혜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8 社會科學硏究 Vol.44 No.3

        Using WVS(World Value Survey) dataset of WVS 2001, 2005, 2010, this study explores the changes in attitudes towards homosexuality in South Korea. This study analyzes the trends of how individuals justify homosexuality and mention homosexuals as their neighbors and how social demographic variables affect the changes in individuals attitudes towards homosexuality. The results show that the recent trends in Korea has a U-shaped curve for favoring homosexuals and their rights, but it shows the increase in favor of homosexuality. The inclusion of new cohort in the population increases the chance of favoring human rights of homosexuals and the role of individuals’ religion has no significance in explaining the attitudes towards homosexuality. 본 연구는 한국의 2000년대에 해당하는 세계가치관조사(World Value Survey, WVS)의 개인수준의 변수를 비교하여 한국인들의 동성애에 대한 인권 의식이 어떻게 변화해왔는지를 추적한다. 동성애는 얼마나 정당화될 수 있는가와 동성애자를 이웃으로 둘 확률을 비교하여 동성애에 대한 한국인들의 담론이 2000년대 들어 어떻게 변해왔으며 인구학적인 변수들이 이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인들의 동성애에 대한 인권 의식이 2000년대 들어 점진적으로 개선되었다기 보다는 2000년대 중반 보수화로 인한 퇴보 후 다시 호의적인 방향으로 바뀌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변화 뒤에는 고령화로 인한 세대 보수화 경향에도 불구하고 이를 상쇄할 만한 젊은층의 급격한 의식변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동성애 의식변화의 문제에 있어 종교는 개개인의 종교가 무엇인지라는 접근 방식 보다는 제도와 담론을 생산하는 주체로서의 종교로 접근해야 됨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조현병을 진단 받은 환자의 사회성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유은혜,한경아 한국조형교육학회 2019 造形敎育 Vol.0 No.70

        Schizophrenia is characterized by maladaptive symptoms that distort reality, and the core goal of ambulatory treatment is to relieve symptoms and return to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erience that schizophrenic patient in group art therapy for sociality improvement and the meaning of such experiences. For this purpose, a case of group art therapy for sociality improvement of schizophrenic patients was selected and applied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Group art therapy conducts in 13 sessions, twice a week for 60 minutes from August 09, 2018 to October 04, 2018, and participants was consisted of 1 male man and 5 women diagnosed with schizophrenia. The conclusions of this case study are First, the group art therapy experience for research participants means that they tried to express their emotions and thoughts that were isolated. Second, the research participants started to interact with others who had been cut off based on the experience of group art therapy, and they actively interacted in daily life as well. Third, positive social interaction experience in group art therapy gave hope to the participant in relieving symptoms of sudden illness and returning to daily life. 조현병은 현실을 왜곡하는 부적응 증상이 특징이며 조현병 치료의 핵심 목표는 증상 완화 및 사회에 복귀하는 것이다. 따라 서 본 연구의 목적은 조현병 환자가 사회성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며,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 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조현병 환자의 사회성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사례를 선정하고 사례 연구 방법을 적용하 여 탐구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조현병을 진단 받은 성인 남성 1명과 성인 여성 5명이고, 집단미술치료 사례는 2018년 8월 9일부터 2018년 10월 4일까지 주 2회 60분간 총 13회기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첫째, 연구 참여자들에게 집단미 술치료 경험은 고립되어있던 자신의 정서 및 생각을 탐색하고 표현을 시도했다는 의미를 가진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집단미술치료 경험을 바탕으로 단절되었던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시작하며, 일상에서도 적극적인 대인관계적 소통을 하였다. 셋째, 집단미술치료에서의 긍정적인 사회적 상호작용 경험은 참여자들에게 조현병 증상의 완화와 더불어 일상으로의 복귀에 대한 희망을 갖게 하였다.

      • KCI등재

        Physical, Cognitive, and Emotional Effects of Creative Movement in Developing Children

        유은혜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5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reative movement on the physical, cognitive, and emotional development in children. This study addresses the following questions: 1. Why is creativity so important to children? 2. Why should children learn creative movement? 3. Wow does creative movement affect physical, cognitive and emotional development in children? 4. What is the convergent effect of their collective development? It is known that, in terms of physical development, creative movement helps to understand the body and encourage physical movement, in cognitive development, concentration, problem-solving, and linguistic abilities, and in emotional development, limitless self-expression and awareness of self-concept. The significance of convergent validity of physical, cognitive and emotional developments can be established when these three constructs correspond with one another through creative movement. Taken together, the results suggest that participating in creative various movement programs can contribute to physical, cognitive, and emotional development for children. The ultimate goal of creative movement is to grow up to be healthier adults.

      • KCI등재

        정치문화의 기반이 되는 공적감정의 형성과 그 설계: 누스바움의 논의를 중심으로

        유은혜 한국여성철학회 2023 한국여성철학 Vol.39 No.-

        This paper analyzes the discussion of public emotion formation in Martha Nussbaum’s recent work, “Political Emotions,”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 and the individual, as well as practical approaches to cultivating public emotions, such as state-led projects and public education. To successfully implement a public emotion project, the following premises must be considered: 1) whether societal members embody the virtues of mutual respect as liberal individuals as proposed by Rawls and Nussbaum, 2) whether individuals voluntarily agree with the norms of public emotions presented by the state while maintaining a horizontal relationship with the state and others, and 3) whether state-led laws, institutions, and the supporting political culture are based on emotions that suppress empathy, such as fear, jealousy, and shame. However, these issues are not explicitly addressed or are taken for granted in Nussbaum’s discussions. Given that discrepancies are bound to arise when a state’s social engineering project meets an authoritarian regime and a fragmented civil society, applying these discussions directly to Korean society may be challenging. A profound discussion on emotions and political philosophy regarding the state-individual relationship is necessary for this purpose. 본 논문은 누스바움의 최근 저작 『정치적 감정』에서 다루는 공적감정 형성에 관한 논의를 분석하며, 국가와 개인의 관계 및 공적 감정을 형성할 수 있는 실천 방안 중 하나로 국가 주도의 프로젝트와 공공 교육을 통한 공적 감정 함양을 탐구한다. 성공적인 공적감정 프로젝트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다음 전제들을 고려해야 한다: 1) 사회 구성원들이 롤스와 누스바움이 제안하는 상호 존중의 미덕을 갖춘 자유주의적 인간인지 여부, 2) 개인들이 국가와 타인과 수평적인 관계를 맺으며 국가가 제시하는 공적 감정의 규범에 자발적으로 동의하는지 여부, 3) 국가 주도의 법과 제도, 그리고 이를 뒷받침하는 정치문화가 동정심을 억제하는 감정(두려움, 시기심, 수치심)에 기반하는지의 여부. 그러나 누스바움의 논의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이 명시적으로 다루어지지 않거나 당연한 전제로 여겨진다. 국가의 사회 공학적 프로젝트가 권위주의적 체제와 파편화된 시민사회와 만났을 때 괴리가 생길 수밖에 없다는 점을 생각한다면 이러한 논의를 한국사회에 곧바로 적용하기는 어려울 것이라 생각되며 이를 위한 감정과 국가-개인에 관한 정치철학에 대한 깊은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공공 지식인의 소멸이라는 환영 : 마지막 지식인에서 열린 지식인으로

        유은혜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22 현상과 인식 Vol.46 No.3

        본 논문은 공공 지식인의 쇠퇴를 이야기한 러셀 저코비의 「마지막 지식인」을 사회학자 길 아얄의 개입의 사회학(sociology of interventions)을 통해 재구성해 본 비평논문이다. 미국사회에서 지난 세기 동안 어떻게 지식인과 지식인 공동체가 변해왔는지를 살펴본 저코비의 저작은 지식인이란 무엇인가, 지식공동체는 어떤 공동체인가, 지식인은 어떻게 공적 사안에 개입해야 하는가에 대해 유용한 질문거리들을 던져준다. 그러나 저코비의 저작에 그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이나 혹은 이론적 논의가 없다는 점은 큰 아쉬움으로 남는다. 따라서 본 논문은 길 아얄의 작업을 중심으로 저코비의 「마지막 지식인」의 내용을 재점검하고 새로운 지식인, 지식공동체, 그리고 지식인의 개입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역사적으로 지식인에 대한 개념은 뒤레피스 사건에서부터 시작되어 그간 많은 논쟁과 개념의 정의를 불러왔지만 과학과 기술의 전문화가 가속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점점 더 공공과 유리된 개념이 되어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저코비가 이야기하고 있는 ‘공공 지식인’의 쇠퇴란 무엇이며 이러한 맥락은 현대사회의 전문가라는 개념과 어떻게 연결시켜 생각해볼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 길 아얄의 작업을 중심으로 새롭게 정의되는 지식인의 개념은 직업이나 사회적 범주로 규정되지 않는 개방적인 것이어야 함을 주장한다. 또한 지식인이 공공 사안에 개입하는 방식 역시 전문 지식의 전시가 아닌 혼종된 개입 방식이 포함되는 운동이여야 함을 이야기한다. 마지막으로, 지식인이 어디에서 개입해야하는지에 대한 대답으로 영역의 경계짓기를 넘어선 ‘간극의 영역’에서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주장한다.

      • KCI등재

        COVID-19에 따른 체육교사 간 온라인 수업 운영 차이 분석

        유은혜,조건상,양동석,권용철,Yoo, Eun-Hye,Cho, Gun-Sang,Yang, Dong-Suk,Kwon, Yong-Chul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9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체육 수업을 위한 초·중·고교 체육교사 간 온라인 수업 운영의 차이와 온라인 교육의 개선점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체육교과연구회에 소속 된 166 명의 체육 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교차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개학을 시작으로 성별에 차이가 없었다. 둘째, 고용 유형에 따라 온라인 체육 수업의 방법과 동기에 차이가 있었고 개선에는 차이가 없었다. 셋째, 교직 경력에 따라 온라인 체육 수업 동기에 큰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 체육 수업을 위한 교육 및 교사의 적응 및 개선을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the teaching method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for online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the improvement of online education. To this end, an onlin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166 physical education teachers belonging to the Busan Metropolitan Physical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community, and cross-analysis were conducted. There 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in gender, starting with online school.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method sand motivation so online physical education classes according to the type of employment,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improvement. Thir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otivation for online physical education classes according to the teaching career.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is expected that various efforts will be needed to promote the adaptation and improvement of education and teachers for online physical education cla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