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가변안내표지판 메시지 표출형식 및 지체수준 별 운전자 우회율 분석 연구

        유수인,김병종,김원규 한국ITS학회 2013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2 No.6

        본 연구는 가변안내표지판(VMS, Variable Message Sign)의 표출방식과 제공되는 정보의 지체수준에 따른 운전자 우회율을 분석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20대 이상의 운전면허소지자를 대상으로 차량시뮬레이터를 이용한 가상주행 실험 후 SP 조사를 실시하였고, 조사결과에 대하여 로짓모형을 구축하였다. 분석결과 문자식과 도형식 간 표출형식에 따른 운전자 우회에는 차이가 없었다. 또한 우회도로가 원활상태 일 경우, 주도로의 지체수준 125% 시점에서 우회하기 시작하였고, 지체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우회율은 근소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회도로가 지체상태 일 경우, 주도로의 지체수준 125% 시점에서 우회하기 시작하였고, 지체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우회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운전자의 우회시점에 대한 기준점을 제시하고 있으며, 향후 교통성능향상을 위한 교통정보제공 전략 수립 시 이를 반영한 교통정보제공전략이 검토·적용 되어야 할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version rate by the levels of delay and the types of display. For this study, we developed the logit model by analyzing the result of SP survey of drivers who have driver’s licence after manipulating a virtual driving simulator. The result of analysis was that the types of displa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the diversion rate. On the other hand, the levels of delay was very meaningful factor with the diversion rate. When the main road was flowing smoothly, drivers started to detour at the levels of delay 125% under the traffic free flow state. Similarly, when the levels of delay got worse, the diversion rate kept the same percentage as it was at the levels of delay 125% state which represented a smooth road condition. Likewise, when the main road’s traffic flow was slow, drivers appeared to make detours at the same state of the levels of delay 125%. It was found that as the levels of delay got worse, the diversion rose higher than the diversion rate at the condition of slow traffic flow situation with the levels of delay 125%.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e criterion of drivers detour point. For the conclusion, the result of study would be a reasonable reference for establishing transportation strategies by reflecting drivers’ detouring property and would improve the efficiency of traffic flow.

      • KCI등재

        강황 분말 첨가 파운드케이크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유수인,김서린,신유진,이승아,장예진,장경태,김정환 (사)한국조리학회 2022 한국조리학회지 Vol.28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appropriate level of turmeric powder for pound cake. The moisture content, pH, sugar content, chromaticity, texture profiles, antioxidant activity, and quantitative descriptive analysis were examined using the samples in proportions of 0%, 10%, 20%, 30% and 40% by varying the ratio of turmeric powder. Results are as followed. First, the moisture content and pH of pound cakes were found to increase with an increased in the addition of turmeric powder,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ugar content between samples. Second, Hunter L valu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Hunter a value and b value were increased according to add the turmeric powder. Third, the hardness, cohesiveness, and springiness increased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adhesion or cohesiveness according to add the turmeric powder. Fourth,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increas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add turmeric powder in the antioxidant activity. Based on these results, current study found that the level of addition that can minimize the effect of the flavor of turmeric was confirmed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sensory characteristics. Therefore, this founding will contribute to develop the formulation of pound cake according to add the turmeric powder.

      • KCI등재

        장혁주의 「氷解」에서 보는 국책과 조선인 ―‘빙해’를 중개하는 朝鮮人코레이 이야기―

        유수 한국일본학회 2008 日本學報 Vol.75 No.-

        1939年2月に発足した大陸開拓文芸懇話会は、「内地」の作家たちが「大陸開拓地」を視察し、「満洲」 に取材した作品を生産することを目指して結成され、その年10月にはアンソロジー『開拓地帯』を出している。そ こに収録された張赫宙「氷解」(初出『新満洲』第3巻第7号、1937.7)は、主人公「王三」が「満蒙開拓青 少年義勇軍」の少年たちに対する反感が自分の誤解から来るものであることを悟り、日本側に協力していくという 典型的で単純な国策的内容である。 このテキストは朝鮮出身作家張赫宙の身体が持つエスニシティを被せることにより、被植民者自らが発する、ま たは代弁する帝国の言説という意味で、国策文学としてのプロパガンダ性が強まる。本研究では、登場人物と作 家と作品のメッセージの送信先、つまり張赫宙が想定した読者のエスニシティまでを視野に入れ、「氷解」が日 本帝国の国策文学として持つ意味とテキストに内在されている帝国主義に対する批判という両義性を踏まえた上、 もう一回「氷解」の国策文学としての戦略を捉えてみた。それに基づいて「氷解」のなかの二つの物語と二つの 国策の関係を日本帝国と朝鮮と「満洲国」に関連付けて考察した。

      • KCI등재

        국방연구개발사업 성과에 대한 귀속 주체 및 제3자 실시방안 연구 -전력지원체계사업을 중심으로-

        유수,김정중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9 지식재산연구 Vol.14 No.3

        In the case of national R&D projects, R&D institutions may hav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attribution to developers under the Framework Act on Science and Technology, but as an exception to this provision, the nation may retain it if necessary for national security. Accordingly, the IPRs belong to the nation in most of the current defense R&D projects, but there is no standard for judgment on cases which are necessary for national security, and the current law system regulates the weapons system mainly. Under these laws, the force support system projects appear to have a weak basis for the attribution of IPRs to the nation, and the government’s stable procurement plan may be problematic if the R&D institutions own it as in general R&D projects. To solve these problems, we will look at the relevant systems and Bayh-Dole Act and present legislative bills to overcome them with several ways including the third party practice in this study.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경우 과학기술기본법상 개발자 귀속의 원칙에 따라연구개발기관이 지식재산권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대한 예외조항으로 국가 안보상 필요한 경우에는 국가가 이를 보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현행 국방연구개발사업은 대부분 지식재산권을 국가 귀속하고 있으나, 현행 법령은국가 안보상 필요한 경우에 대한 판단 기준이 부재하고, 무기체계를 중심으로 규율하고 있다. 이러한 법제하에서 전력지원체계사업은 지식재산권의 국가 귀속 근거가 약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권리 귀속 주체를 일반연구개발사업과 같이 연구개발기관으로 전환하는 경우 국가의 안정적 조달 방안이문제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련 국내 제도 및 국방 최강대국이자우리나라의 최우방국인 미국의 바이돌법을 살펴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방안으로서 제3자 실시를 위한 입법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생명윤리 담론의 주요 전제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인간관과 국가관을 중심으로

        유수정 ( Yoo Sujung ) 한국윤리학회 2019 윤리학 Vol.8 No.1

        서구뿐만 아니라 한국의 생명윤리 담론에서도 자유주의적 이데올로기(ideology)가 지배적인 하나의 접근법으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자유주의적 생명윤리 접근법이 전제하는 자유주의적 인간관과 국가관의 한계로 인해 자유주의적 접근법은 생명윤리적 쟁점들을 효과적으로 다루기에는 빈약하다. 이에 생명윤리에 대한 올바른 전제와 합리적인 출발점을 설정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공동체주의적 인간관과 국가관을 이론적으로 검토하였고, 생명윤리적 쟁점의 특성을 제대로 다루기 위해 생명윤리 담론에서 전제되어야 할 바람직한 인간관과 국가관을 재구성하였다. 이러한 재구성을 통해 생명윤리학의 새로운 목표는 자율성과 공동선의 균형 잡힌 공존을 추구하고 다원주의 사회에서 이성적 불일치로 보이는 생명윤리적 문제들에 대해 단순히 어떤 행위가 타인의 권리나 이익을 침해하느냐는 문제를 넘어서서 공적 담론을 통한 사회적 합의를 모색하는 것이 되어야 한다. 생명윤리학의 새로운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수행해야 할 과제들을 제안한다. Liberal ideology has become the dominant approach not only in the West but also in Korea's bioethics discourse. However, personal and state liberalism are too weak to effectively deal with bioethics issues. As part of the efforts to establish a proper premise and a rational starting point for bioethics, both the communalistic nature of human beings and views of the state were reviewed; further, the desirable personal and state views that should be predicated on bioethics discourse were reconstructed in order to properly address the characteristics of bioethics issues. Through these reconstructions, I argue that the direction and goal of bioethics should be to pursue a balanced coexistence of autonomy and common good, and to seek social consensus through a public discourse that goes beyond the question of which acts infringe upon the rights or interests of others and appear to be rational discrepancies in a pluralistic society. I propose that the tasks be carried out to reach the goals of bioethics.

      • KCI우수등재

        12주간 한국무용에 기반한 낙상예방 프로그램 참여가 노인의 균형감각, 보행기능,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유수정 ( Sujung Yoo ),정희정 ( Heejoung Joung ),이용호 ( Yongho Lee ) 한국체육학회 2021 한국체육학회지 Vol.6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12주간 한국무용에 기반한 낙상예방 프로그램 참여가 70세 이상 노인의 균형감각, 보행기능,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로 모집된 실험군에게는 12주간, 주 3회, 60분 간 중재프로그램을 제공하였고, 통제군에게는 건강교육 1회를 제공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사전과 사후에 신체조성, 간단신체수행력, 균형감각, 보행기능, 낙상효능감에 대해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Window SPSS 23.0 version을 이용하여 제 2요인을 반복측정한 이원분산 분석과 이원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질량지수는 두 집단 모두 시간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신체수행력은 실험군에서 보행속도와 의자 일어서기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 균형검사와 종합점수에서도 향상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균형감각은 정적균형감각에서 실험군과 통제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확인하였다. 동적균형감각에서는 실험군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하였다. 셋째, 보행기능은 시간적 보행변수인 분속수는 감소한 반면, 보행속도는 실험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공간적 보행변수인 활보장과 보장은 실험군에서 좌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하였다. 넷째, 낙상효능감의 경우 통제군은 감소하는 반면 실험군은 중재 이후에도 유지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a 12-week Korean traditional dance based fall prevention program on balance, gait function, and falling efficacy among Korean older adults over 70 years old.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60 minutes of Korean traditional dance based fall prevention program 3-times per week for 12 weeks and the control group was provided one session of health education program. Both groups were measured on body composition, physical function, balance (BBS, TUG), gait function, and fall efficacy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For statistical data analysis,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 on the 2nd factor and two-way ANCOVA with repeated measure on the 2nd factor were performed using Windows SPSS 23.0version program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body mass index tended to decrease with time in both groups, and the physical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walking speed (p<.01) and sit to stand up (p<.01)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balance test and the overall score within the physical performance test showed a tendency to improve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in balance, significant improvement was observed in the static balance (BBS) on both groups (p<.01). But,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dynamic balance in the experimental group (p<.01). Third, in the gait function, cadence decreased in both groups, while the gait speed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the experimental group as the temporal gait parameters (p<.01). The spatial gait parameters stride length (p<.01) and step length (p<.01)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both left and right legs of the experimental group. Finally, fall efficacy score decreased in control group whil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tendency to be maintained after the intervention.

      • KCI등재

        외사시 환아에서 사시 수술 전후 주의력결핍 과다활동의 양상

        유수리나,장윤희,이종복,정승아 대한안과학회 2009 대한안과학회지 Vol.50 No.5

        목적: 외사시 환아에서 사시 수술 전후 주의력결핍 과다활동 양상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외사시 환아 67명을 대상으로 사시 수술 전과 수술 후 3개월에 주의력결핍 과다활동장애 평가설문을 작성하여 이를 전향 적으로 분석하였다. 수술 전 설문 점수 15점을 기준으로 두 군을 나누어 연령, 성별, 사시각, 항상성, 사시 발견 시기, 유병기간, 수술 결과를 조사하고 수술 전후 설문 점수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결과: 15점 미만군은 43명, 15점 이상군은 24명이었고 남아에서 15점 이상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p=0.048). 수술 전후의 설문 점수는 15점 미만군에서 술 후 1.30점 증가, 15점 이상군에서 1.04점 감소하였으나 의미 있는 변화는 아니었다. 사시 수술 성공여부를 고려하였을 때 수술결과에 따른 설문점수의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론: 외사시 환아에서 부모 설문에 의한 주의력결핍 과다활동 양상은 사시 수술 후에도 의미 있는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 of strabismus surgery in exotropia patients suspected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Methods: Parents of 67 exotropia patients answered the Conner Teacher Rating Scale-Revised for suspecting ADHD before and after 3 months of surgery. Patie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by preoperative scale scores. Group 1 had scores under 15 and group 2 who were suspected to have ADHD had scores above 15. Characteristics of exotropia and scale score differences were evaluated. Results: Group 1 had 43 patients and group 2 had 24 patients. The ratio of group 2 was significantly higher in boys than in girls (P=0.048). The scale scores increased by 1.30 points in group 1 and decreased by 1.04 points in group 2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cale scores in each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urgical outcome. Conclusions: In exotropia pati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scale scores of ADHD after strabismus surge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