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반사회적 성격 평가 척도 APSD(Antisocial Process Screening Device) 타당화 연구: 문항반응이론을 중심으로

        유민지,남정훈,서종한 아시아교정포럼 2024 교정담론 Vol.18 No.1

        본 연구는 이전에 타당화 된 반사회적 성격 평가 척도(Antisocial Process Screening Device; 이하 APSD)를 재타당화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내의 만 15세에서 18세 일반 청소년 400명(남,여 각각 2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EFA)을 실시하여 APSD의 요인구조를 알아보았다. 그 후 차별기능문항(Differential Item Function; 이하 DIF) 분석을 통하여 성별 간 다르게 기능하는 문항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문항반응이론(Item Response Theory; 이하 IRT) 분석을 통하여 APSD의 요인 별 문항 기능을 점검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APSD는 4요인 구조로 나타났다. 요인 1은 ‘조종(Ma)’ 요인, 요인 2는 ‘반사회성(Ant)’ 요인, 요인 3은 ‘자기애(Nar)’ 요인, 요인 4는 ‘무기력(Leth)’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총 20문항 중 세 문항(3번, 18번, 20번)이 제외되었고, 17문항이 각 요인에 적재되었다. APSD 전체와 4개의 하위척도의 Cronbach’s α는 .748, .682, .651, .578, .538로 나타났다. 각 요인의 변별도는 ‘조종(Ma)’ 요인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반사회성(Ant)’, ‘자기애(Nar)’, ‘무기력(Leth)’ 순서로 나타났다. 심각도(난이도)의 경우 역시 ‘조종(Ma)’ 요인이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자기애(Nar)’, ‘반사회성(Ant)’, ‘무기력(Leth)’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별에 따른 차별기능 문항은 17번(“미리 계획을 세우지 않고, 최대한 마지막 순간까지 일을 미룬다.”)이 여성에게 유리한 문항으로 나타났다. 17번 문항은 여성이 더 좋은 점수를 받는 문항으로 여성을 대상으로 해석 시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한 번 타당화 되었던 APSD의 요인구조를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새롭게 밝히고 문항반응이론을 통하여 요인 별 및 성별 간 문항 비교를 한 것에 의의를 가진다. 마지막으로 논의에 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 structure of The Antisocial Process Screening Device(APSD) in Korea. For this, 400 adolescents aged 15 to 18 on community sample were recruited from a total 17 regions in Korea. First, we conducted Exploratory factor analyses(EFA) for revealed factor structure of APSD. As a result, the four factor model consisting of ‘Manipulation(Ma)’, ‘Antisociality(Ant)’, ‘Narcissism(Nar)’, ‘Lethargy(Leth)’ was finally selected. Second, we conduct item response analysis of The APSD’s Four factor and 17 items. IRT with a graded response model was utilized to analyze factors of APSD. We find that the highest slope of APSD is ‘Ma’. Also, ‘Leth’ factor of APSD is the poorly informative. Third, we conduct the differential item function(DIF) that compare between male and female group. Then we find DIF in item 17(“Does not plan ahead.”). Item 17 is in advantage of female. Finally, we discussed the limitations and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of this study.

      • KCI등재

        국외 박물관 한국실 개선을 위한 전시방향에 관한 연구 : 미국 메트로폴리탄박물관 한국실의 전시공간분석을 중심으로

        유민지,김주연,전배호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6 No.2

        본 연구에서‘한국실’이란 외국에 소재하는 박물관 내에 위치하면서 다양한 영역의 한국 문화유산을 항구적으로 전시하는 독립된 전시공간을 의미한다. 이러한 국외 박물관의 한국실은 2000년대 들어 양적인 성장을 맞았다. 1980년 이전에는 15개에 불과했던 것이 지금은 22개국 65개 처에 한국실이 설치되기 이르렀다. 이는 과거 한국 문화와 국가 위상에 대한 이해 부족과 낮은 인식으로부터 국제적 인지도가 높아진 것이라 볼 수 있으며, 국외 박물관 한국실이 한국 문화 홍보의 첨병으로써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보여 진다.국외 박물관의 한국실은 소장 기관의 전체적인 계획에 의해 자체적으로 운영되어야 함은 당연하지만, 그 운영이 얼마나 활성화되었고 운영상의 문제점은 없는가 더 고민해 봐야 할 것이며, 한국문화재를 통해 한국 역사를 소개하고 한국 고유문화를 보여준다는 의미에서 우리의 끊임없는 관심과 지원,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국외 박물관 한국실의 현황파악 및 전시공간분석을 통해 이미 설치된 한국실의 전시디자인에 대한 재고와, 향후 설치될 한국실의 향상된 전시효과를 위해 총체적인 고찰을 하고자 한다. The Korean Gallery of the overseas museum faced the quantitative growth in 2000's. Before 1980, it told to be no more than 15 Korean Galleries established in overseas museums and now there are more than 60 odd pieces in 21 countries. As to this, the international recognition was enhanced from the lack of understanding about the Korean culture and status of the country and the low recognition in the past. And the overseas museum’s Korean Gallery played the important role of the advance guard in supporting the cultural promotion of Korea. In the thesis, the overall consideration is to be given to the exhibition design of the Korean Gallery already installed through monitoring the present state and the exhibition situation analysis of the overseas museum’s Korean Gallery for an improved exhibition effect.

      • KCI등재후보

        국내 박물관 개방형 수장고의 전시디자인 사례 연구 - 국립민속박물관 파주 열린 수장고를 중심으로 -

        유민지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22 전시디자인연구 Vol.19 No.1

        In the past, museums were based on the collection and possession of collections, while the paradigm of modern museums has shifted to utilization and sharing of collections. Therefore, a storage, which had been restricted from access for the preservation of collections, is evolving into an accessible and open space. In this regard, the number of open storages that have already been opened or are about to open soon,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in recent years focusing on national and public museums. However, the role is still focused on ‘storage’ and ‘conservation’, centering on the storage environment and spatial composition of a storage area for the work of storage managers (curators), and simple physical accessibility, so it is insufficient in terms of exhibition and design. This study considered a series of processes and results as a case study on a storage from the multilateral approach in terms of ‘exhibition’ and ‘exhibition design’, which cannot be overlooked in an open storage, as well as in terms of ‘storage’ and ‘preservation’, through which it was confirmed that the open storage should also be established as an integrated environment under the concept of ‘exhibition’ by recognizing and approaching the collections as a content and a medium of communication, and in the process, exhibition design was also an essential element. It is suggested that research on in-depth design methodology should be continued to communicate with various visitors and to share and utilize the contents of the collection by applying more active and three-dimensional planning and design to the open storage to be built in a future. 과거 박물관이 소장품의 수집과 소유에 근간을 두었다면 현대 박물관은 소장품의 활용과 공유로 패러다임이 변화하면서 소장품 보존을 위해 접근이 제한되었던 수장고는 접근 가능한 개방적인 공간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에 등장한 개방형 수장고는 최근 국·공립 박물관을 중심으로 이미 개관되었거나, 곧 개관을 앞두고 있을 정도로 그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여전히 ‘수장’과 ‘보존’의 역할에 집중되어 수장환경과 수장고 관리자(학예사)의 작업을 위한 수장보존영역의 공간 구성에 초점이 맞추어지고 단순한 물리적 접근성 개방에 그치는 등 전시와 디자인 측면은 아쉬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수장고의 ‘수장’과 ‘보존’은 물론이거니와 개방형 수장고에서 간과할 수 없는 ‘전시’와 ‘전시디자인’의 다각적인 접근을 시도한 실제 사례 연구로 일련의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개방형 수장고의 소장품을 콘텐츠이자 커뮤니케이션의 매체로서 인식 및 접근하여 ‘전시’라는 개념 아래 통합된 환경으로 구축되어야 하며, 이 과정에서 전시디자인 또한 필수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 생겨날 개방형 수장고는 보다 더 적극적이고 입체적인 기획과 디자인이 적용되어, 다양한 관람객과 소통하고 소장품이 지니는 콘텐츠를 공유 및 활용될 수 있도록 심도있는 디자인 방법론의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을 제언한다.

      • KCI등재

        Body shape classification of Korean middle-aged women using 3D anthropometry

        유민지,김동은 한국의류학회 2020 Fashion and Textiles Vol.7 No.1

        Most Korean apparel companies lack suitable dress forms for the different body types of middle-aged Korean women, resulting in poor clothing fit for them. As a part of an ongoing project to develop a dress form that fully reflects Korean middle-aged women’s bodies, this study classified the body shapes and examined the anthropometric characteristics of women in their 40s and 50s. The 3D anthropometric data of 302 middle-aged women of normal weight (18.5 ≤ BMI < 25) were obtained from the 6th Size Korea. Sixty-three measurements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dress form were chosen. Based on the scores from five factors, the body shapes of Korean middle-aged women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Type 1 had a broader shoulder and a slightly developed upper body but a more developed lower body; Type 2 had a longer, relatively thin and flat, vertical body; Type 3 had a shorter body and smaller torso than the other types, and the lower body was more developed than the upper; Type 4 had a bulky upper body and the highest BMI, but the lower body was rather small. The nine key measurements in classifying the body shapes of Korean middle-aged women were found by discriminant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representative body shapes obtained in this study can be useful for developing dress forms for clothing that better fits Korean middle-aged women.

      • KCI등재후보

        사출성형 CAE를 이용한 세탁기용 Base 성형용 금형의 유동 시스템 최적화

        유민지,김경아,한성렬,Yoo, Min-ji,Kim, Kyung-A,Han, Seong-Ryeol 한국금형공학회 2021 한국금형공학회지 Vol.15 No.1

        The position of the gate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for optimal injection molding. This is because inappropriate gate positions cannot fill the cavity uniformly, which can lead to defects such as contraction. In this study, CAE was performed on hot runner injection molding of the washing machine base and plasticity was compared by changing gate position from existing gate position. A total of two alternatives have been applied to compare the plasticity of the washing machine base according to its optimal gate position. The gate position of the improved molds and the gate position of the current mold is analyzed by injection molding analysis. The results of the fill time, the pressure at V/P switchover, clamping force, and deflection were compared. In washing machine base injection molding, the deflection was reduced by about 3.76% in the improved mold 2. In improved mold 1, the fill time during injection molding was reduced by 3.32% to enable uniform charging, and the clamping force was reduced by 31.24%. We have confirmed that the position of the gate can change the charging pressure and the clamping force and affect the quality and cost savings of the molded product.

      • KCI등재

        비장애 자매로서의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유민지,박주연 한국질적탐구학회 2023 질적탐구 Vol.9 No.3

        This auto-ethnography describes the process of conflict and reconciliation I experienced as a non-disabled sister of a disabled sibling. For that, I analyze diverse personal documents, including diaries, notes, and text (SNS) messages with others, after having them reviewed by my family members for better credibility. The primar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y sibling’s positive perspective motivated my academic achievements by strengthening my resilience. Second, the disparity between my high-achieving self in my 20s and another self as a sister of a disabled person created a long-lasting sense of ambivalence, decreasing the visibility of the disabled family member. Last, I came under a ‘yoke’ that society and my parents gave, which pressured me to take life-long care of my sister. These findings shed light on under-researched aspects of the life of non-disabled sisters and brothers in South Korea, challenging the pathological stereotype of families with disabled members.

      • Development of PUE Sheet for Improving Sound Insulation Properties of Electric Vehicle Motor

        유민지,김상민,박장석 한국고분자학회 2021 한국고분자학회 학술대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46 No.1

        엔진기술을 주도해왔던 내연기관 차에서 전기모터 차로 변경되면서 발생되는 자동차 주요 소음원도 변하게 되었다. 기존 내연기관의 경우 엔진 연소음이 주요 소음 원이었다. 전기차는 구동기관이 전기 모터로 변경되어 엔진 소음과 진동은 상대적으로 줄었다. 그렇지만, 기존에는 엔진 연소음으로 잘 들리지 않았던 고주파대역소음들이 상대적으로 부각되었다. 전기차의 가장 큰 소음으로는 모터소음과 로드노이즈가 많이 발생되며 이러한 소음 특성을 파악하여 전기차에 발생되는 소음특성에 최적화된 흡/차음재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흡음형 재료인 다공성 PU(Polyurethane) foam에 차음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PUE(Polyurethane elastomer) sheet를 스프레이로 도포하여 흡/차음재를 제작하였다. PUE sheet두께에 따른 성형성 평가 및 도포된 단면을 광학현미경으로 통하여 확인하였으며APAMAT-Ⅱ로 차음 성능을 시험하였다. 또한, 엔진룸에 장착되어 차량 실내로 소음이 유입돼는 것을 저감 시키는 제품인 Dash outer(D/OTR)에 PUE를 적용하여 차음 성능 변화를 BUCK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 슬림화 적용 고주파 차음 성능 향상 자동차 내장재 개발

        유민지,박장석 한국고분자학회 2021 한국고분자학회 학술대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46 No.2

        엔진기술을 주도해왔던 내연기관 차에서 전기모터 차로 변경되면서 발생되는 자동차 주요 소음원도 변하게 되었다. 기존 내연기관의 경우 엔진 연소음이 주요 소음원이었으나 전기차로 변화하면서 구동기관이 전기 모터로 변경되어 엔진 소음과 진동은 상대적으로 줄었다. 본 연구에서 적용 되는 차량 내장재인 Dash Outer 는 엔진룸 판넬에 장착돼어 차량 외부에서 실내로 소음이 유입돼는 것을 저감시키는 제품이다. 본 연구에서는 흡음형 재료인 다공성 PU(Polyurethane) foam 에 차음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TPE(Thermoplastic elastomer) sheet 를 첨가하여 흡/차음 복합구조의 Dash Outer 를 제작하면서 PU foam 의 두께를 저감하여 슬림화 시켰다. 광학현미경을 통하여 Dash Outer 단면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TPE sheet 두께에 따른 Dash Outer 의 차음성능 변화를 BUCK 시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